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매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모션 종류가 SNS 프로모션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할인 vs 현물 보상 프로모션 참여에 대한 인식된 사회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강준(Choi, Kangjun),안동균(Ahn, Dongkyu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3

        최근 경험재를 판매하는 많은 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발하는 SNS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SNS 마케팅의 내용은 소비자들이 SNS에 제품을 업로드할 경우 판매자로부터 가격할인이나 현물보상 등의 혜택을 제공받는 것이다. 이러한 SNS 프로모션은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험재를 중심으로 SNS 프로모션이 소비자의 프로모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번의 온라인 실험을 하였다. 먼저, 실험 1의 결과 SNS 활용도가 낮은 소비자는 가격할인 SNS 프로모션에 대해서 SNS 참여 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NS 활용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 프로모션 방식에 따른 프로모션 참여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실험 참가자들이 인지하는 프로모션 유형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본 연구는 SNS 활용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 가격할인 SNS 프로모션에 대해 자신이 인지하는 사회적 가치가 위협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위의 결과들을 해석하고, 이론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며, 실무자들에게 효과적인 SNS 프로모션의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Recently, many companies that sell experience goods often conduct promotions that ask consumers to share the contentswith the goods in their socialmedia for generating viral. The social media marketing is providing price discounts or in-kind rewards when consumers share the contents about the goods. Although the social media is a pervasive instrument of marketing promotion, research on social media promotion is very scarce. Therefore, the current research attempt to find out the effect of SNS promotion on consumer’s participation intention of promotion by using two online experiments. In Experiment 1, we demonstrate that when participantswho make less use of social media are provided price discount promotion,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for SNS promotion are increased. However, for participants who make more use of social medi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tention of promotion between the promotion types. In Experiment 2, we confirm that these effects are caused by the level of participants’ perceived social value toward the SNS promotions. To be more specific, participants who make more use of social media, think their social value are threatened by price discount promotion. We suggest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effective SNS promotion.

      • KCI등재

        [철회논문] 스마트폰 푸시 알림에서의 이모지 사용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동균 ( Dongkyun Ahn ),최강준 ( Kangjun Choi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1

        Today, many companies are actively using smartphone push notification messages to promote their products. Even though smartphone push notifications are low-cost and highly-efficient means of promotion, corporate messages are often considered as annoying, and thus it is not delivered properly to the consumers as they disapprove of the messages. Regarding this issue, we have identified whether the use of Emojis in push notification messages can be used as a way to reduce such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hrough experiments. We divide the key components of smartphone push notifications into 1) application provider and 2) push notification messag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moji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push notifications. In experiment 1, we confirm that for application providers with more hedonic attribute, using Emojis in push notification messages creates consum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otifications. Moreover, experiment 2 shows that for push notification messages with more hedonic attributes, using Emojis leads to consumers' positive attitude toward push notifications. We also confirm that these effects occurs by mediating the affective arousal of consumers. Finally, we interpret these results and discus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