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협업전시부터 공동발굴까지 - 상해박물관의 아시아에 대한 시각 -

        천지에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29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useums of ancient art in China, the Shanghai Museum value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foreign countries, while collaborative exhibition is the museum's most traditional mode of exchange. In Asia, major exhibitions were held in conjunction with museum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e region. Many of the initial collaborative exhibitions were held jointly with Japan, but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Korea, Southeast Asia, and Southwest Asia. In recent years, the Shanghai Museum has expanded its horizons, and a new model of cooperation has been tried: joint excavation. The text first outlines the process of the museum's exchanges within Asia, and analyzes its gradual development and expansion in the course of collaborative exhibitions. It then discusses the museum's focus in the Asian region in recent years, and introduces part of the achievements of the joint excavation with Sri Lanka in 2018. From collaborative exhibitions to joint excavation, the Shanghai Museum's ever-expanding cooperative orientation and model in foreign exchanges can be revealed. In addition, one can also see that the museum's view of Asia is becoming clearer and more focused than ever before. In future overseas cooperation, the Shanghai Museum hopes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ex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by seeking a pluralistic method of cooperation. 상해박물관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종합적 고대예술박물관 중 하나로 해외와의 교류와 협력을 중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전시는 박물관의 가장 전통적인 교류방식이다. 아시아의 경우 지 역 내 박물관 및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중요 전시를 적지 않게 개최하기도 하였다. 초장기 협업전시의 다수는 일본과 공동으로 개최하였지만, 점차 한국 및 동남아, 서남아 등지로 확대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상해박물관은 시야를 넓히면서 새로운 협력 모델을 시도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공동발 굴’이었다. 본문은 먼저 아시아 내에서 교류가 전개되는 과정을 정리하고, 협업전시 과정에서 끊임없이 심화 되고 확대되는 교류의 방향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최근 몇 년간 상해박물관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심을 논하고자 하며, 이에 2018년도 스리랑카와 함께 진행하였던 공동발굴 의 일부 성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협업전시부터 공동발굴에 이르기까지 상해박물관의 대외교류에 있어 끊임없이 넓혀가는 협력적 지향과 모델을 살펴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아시아에 대한 시각이 점점 더 명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중간 상태에 관한 이론 유형들

        천지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그리스도교 신학에서 개인의 죽음과 일반 부활 사이의 시기를 의미하는 중간 상태는 교도권 문헌상에서 베네딕투스 12세의 Benedictus Deus(1336) 에 기원을 갖고 있다. 그것은 심판에 있어 ‘사후 즉시’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심판 때’ 사이의 긴장을 내포하고 있다. 지난 세기에 영혼불멸과 분리된 영혼에 관한 비판으로부터 자극되어서 중간 상태를 해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 유형들이 제시되었다. 중간 상태에 대해 단순히 부정하는 영혼의 잠 이론과 전인의 총체적인 완전한 죽음 이론이 재론되었고, 죽음을 부활의 시작으로 보는 죽음 안에서의 부활 이론이 새롭게 제시되었고, 이로부터 죽음과 부활과 재림의 동시성 이론까지 파생되었다. 죽음 안에서의 부활 이론은 가톨릭 신학자들로부터 한때 폭넓은 동의를 얻었으나, 신앙교 리성(1979)과 국제신학위원회(1992)의 개입은 전통적인 표현들이 존중되기를 요청하였고 전통적인 관점의 재해석이 다시금 논의되고 있다. 논쟁은 끝나지 않은 채 열려있고 계속해서 논의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In Christian theology, the intermediate state which refers to the period between one’s death and the general resurrection has its magisterial origin in Pope Benedict XII’s Benedictus Deus(1336). It involves the tension between ‘immediate(mox) judgement after one’s death’ and ‘nevertheless(nihilominus) last judgement after the resurrection’. In the last century, various types of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explain the intermediate state; they were motivated from the criticism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separated soul. The theory of soul sleep which simply denies the intermediate state and the theory of complete death which implies the end of whole person were re-discussed. Also, the theory of the resurrection in death that understands death as the beginning of resurrection was newly suggested, and it led to the theory of the simultaneity of deathresurrection-second coming. While the theory of the resurrection in death had been widely received by Catholic theologians,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1979) and the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ission(1992) called for respect for traditional expressions. Since then, reinterpretations of traditional view have been retrying, and personal oneness of the postmortem human being have been focusing. The debate on different views is not finished, and attempts for ongoing discussions are succeeding.

      • KCI등재

        협업전시부터 공동발굴까지 - 상해박물관의 아시아에 대한 시각 -

        천지에 ( Chen Jie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29

        상해박물관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종합적 고대예술박물관 중 하나로 해외와의 교류와 협력을 중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전시는 박물관의 가장 전통적인 교류방식이다. 아시아의 경우 지역 내 박물관 및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중요 전시를 적지 않게 개최하기도 하였다. 초장기 협업전시의 다수는 일본과 공동으로 개최하였지만, 점차 한국 및 동남아, 서남아 등지로 확대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상해박물관은 시야를 넓히면서 새로운 협력 모델을 시도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공동발굴’이었다. 본문은 먼저 아시아 내에서 교류가 전개되는 과정을 정리하고, 협업전시 과정에서 끊임없이 심화 되고 확대되는 교류의 방향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최근 몇 년간 상해박물관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심을 논하고자 하며, 이에 2018년도 스리랑카와 함께 진행하였던 공동발굴의 일부 성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협업전시부터 공동발굴에 이르기까지 상해박물관의 대외교류에 있어 끊임없이 넓혀가는 협력적 지향과 모델을 살펴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아시아에 대한 시각이 점점 더 명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useums of ancient art in China, the Shanghai Museum value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foreign countries, while collaborative exhibition is the museum's most traditional mode of exchange. In Asia, major exhibitions were held in conjunction with museum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e region. Many of the initial collaborative exhibitions were held jointly with Japan, but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Korea, Southeast Asia, and Southwest Asia. In recent years, the Shanghai Museum has expanded its horizons, and a new model of cooperation has been tried: joint excavation. The text first outlines the process of the museum's exchanges within Asia, and analyzes its gradual development and expansion in the course of collaborative exhibitions. It then discusses the museum's focus in the Asian region in recent years, and introduces part of the achievements of the joint excavation with Sri Lanka in 2018. From collaborative exhibitions to joint excavation, the Shanghai Museum's ever-expanding cooperative orientation and model in foreign exchanges can be revealed. In addition, one can also see that the museum's view of Asia is becoming clearer and more focused than ever before. In future overseas cooperation, the Shanghai Museum hopes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ex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by seeking a pluralistic method of cooperation.

      • KCI등재

        NDEO Standards의 관점에서 표현활동의 목표 탐색

        천지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표현활동을 교육무용(education through dance)관점에서 바라보고, 비교적 최신의 무용교육모형인 NDEO(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Standards에 비추어 표현활동의 목표를 탐색하였다. NDEO Standards에서는 무용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inner core) 과정으로 수행하기(performing), 창작하기(creating), 반응하기(responding), 연계하기(inter-connecting)를 제시하였으며 각 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목표는 다음과 같다. 수행하기(performing)는 움직임 실행을 의미하는 것이며 학생들은 댄스요소와 움직임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여 공연할 수 있어야 한다. 창작하기(creating)는 움직임을 탐구하고 창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학생들은 움직임 구성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를 협력하여 해결하고 생각, 느낌,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하기(responding)는 움직임에 대한 성찰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들은 언어 및 신체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적절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연계하기(inter-connecting)는 교육, 문화, 삶의 제 영역을 춤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들은 의미, 아이디어, 경험을 다른 분야의 지식과 관련짓고 다양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NDEO Standards가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 중 표현활동 영역에 시사하는 바는 3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표현활동 목표의 체계화, 성취기준의 세분화 및 목표차원의 통합교육 활성화가 그것이다. NDEO Standards에 근거하여 제시한 대안적인 표현활동의 목표와 성취기준은 향후 표현활동 교육과정 개정 및 수업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Objective in terms of the NDEO(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Standards in Dance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unique value of dance, the NDEO Standards consist of 4 inner core experiences; "Performing", "Creating", "Responding", and Inter-connecting". Performing is the execution of dance movement. Students can execute original or existing artistic dance movement or a work of art, using elements and skills of dance. Creating means the exploration or invention of dance movement. Students can communicate solution to movement problems and choreograph dance movement based on ideas, feelings and stories. Responding is to express one’s reflection on the movements in the observation and performance. Response may be communicated ideas to others via other ways of expression verbally and kinesthetically. Inter-connecting is to understand in education, culture, and life in relevant to dance. Through this phrase, students can connect their meanings, ideas, experiences via dance with other areas of learning and apply to it. Performing, creating, and responding phrases are connected to inter-connecting. Students can relate and transfer meanings, ideas, and experiences from other disciplines and areas of knowledge to dance experiences. Inter-connecting is a phrase of the ultimates goals to understand dance in terms of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to expand knowledge, and to project onto the life. Therefore, to accomplish Inter-connecting, we should teach dance through the integrative model and understand dance education through holistic perspectives. The implications of NDEO Standards are the systemization of expressive activities’ objectives, the subdivision of achievement goals, and the vitaliz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make an alternative objective and achievement goals of physical expressive activities.

      • KCI등재

        ‘즐거운 생활’수업은 얼마나 즐거운가?-‘즐거운 생활’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

        천지,전세명 한국초등체육학회 201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on the practice of Pleasant Life class as an integrated curriculum. A case study approach was adopted and a teacher who have expertise in the integrated Pleasant Life class wa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Patton, 2003). Using non-participant observation technique, Pleasant Life classes were observed. Besides, teacher interviews, lesson plans from the teacher, student interview data, and student drawings wer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an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was used in order to categorize them by subtopic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roblem(Miles & Huberman, 1994). To secure truthfulness of this study,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approach were used by sharing data with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Denzin & Lincoln, 2008). Finding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 and students toward the Pleasant Life class were turned out to be opposite. While teachers undergo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time, unsatisfactory materials and lack of interest, students perceived the integrated Pleasant Life as the time to relieve the desire to move, to interact with friends and to feel the joy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