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arly Infantile Meningitis Trends in Full-term Infants: A Korean Single-center Study, 2008-2013

        천경렬(Kyeong Ryeol Cheon),박상현(Sang Hyun Park),양재혁(Jae Hyuk Yang),정재근(Jae Keun Chung),송은송(Eun Song Song),최영륜(Young Youn Choi),우영종(Young Jong Woo),김영(Young 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목적: 만삭으로 분만된 평소 건강했던 영아에서 발생한 수막염의 임상적 특징은 미숙아나 과거 다른 질병을 가지고 있던 영아들에서와는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만삭 분만된 평소 건강했던 어린 영아만을 대상으로 한 수막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아, 이에 대한 최근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3년 사이에 본원에서 수막염으로 진단되었던, 만삭 분만된 평소 건강했던 3개월 미만의 어린 영아들을 대상으로 임상 기록과 척수액, 혈액, 소변 및 대변에서의 검사 자료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총 162명의 수막염으로 진단되어 입원하였던 만삭 분만된 어린 영아들(남자, 56%; 평균 연령 45일)이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 중 바이러스성 수막염군이 75.3%(엔테로바이러스­증명군 63명, 바이러스성­의심군 59명), 세균성 수막염군이 24.7%(세균­증명군 18명, 세균성­의심군 22명)였다. 3개월 미만의 전체 본원 입원 환자수 대비 수막염 환아수는 1.6%에서 3.1%로 조사 기간 동안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바이러스성 수막염이 1.1%에서 2.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어린 영아에서 발생한 수막염 환아수는 2년마다 크게 증가하였다. 바이러스성 수막염은 2011년까지는 7월에 가장 호발하였으나, 2012년 이후에는 6월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B군 사슬알균이, 원인이 밝혀진 세균성 수막염의 88.9%를 차지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으며, 이는 흔히 후기­발병 수막염을 일으켰다(16명 중 14명). 엔테로바이러스 유전형 분석이 가능하였던 총 54명의 바이러스성 수막염 환자들 중에서는 Coxsackie B 바이러스군이 59.3%에서 분리되어 가장 흔하였다. 결론: 만삭 분만된 평소 건강했던 3개월 미만의 어린 영아에서의 수막염은 2008년부터 2013년 동안 크게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바이러스성 수막염이 차지하였다. 바이러스성 수막염은 2012년 이후에는 6월에 조기 호발하는 양상을 보였다.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infantile meningitis in full-term and previously healthy infants may differ from those in preterm or previously ill infants. However, full-term and previously healthy infant data remain scarce, and the recent trends are not well known. Method: Full-term and previously healthy infants (<3 months old) diagnosed with meningitis in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3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Results: A total of 162 full-term and early infants with meningitis (male, 55.6%; mean age, 45 days) were enrolled. Among them, 122 patients (75.3%) were diagnosed with viral meningitis (63 enterovirus-proven and 59 viral-suspected), and 40 patients (24.7%) were diagnosed with bacterial meningitis (18 bacteria-proven and 22 bacterial-suspected). The proportion of early infantile meningitis among all infants admitted (<3 months of ag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6% to 3.1%, and viral meningitis increased from 1.1% to 2.3% (P<0.01). Early infantile meningitis increased significantly at each 2-year interval. The seasonal viral meningitis peak shifted from July to June after 2012. Group B Streptococcus was the most common bacterial pathogen (88.9%) and usually caused late-onset meningitis (14 of 16). Coxsackie B viruses were most commonly isolated (59.3%) from the 54 patients with viral meningitis using available genotype data. Conclusion: Early infantile meningitis in previously healthy full-term infants (<3 months old)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2008 and 2013, and most cases were viral meningitis. The seasonal viral meningitis peak shifted from July to June after 2012.

      • KCI등재후보

        소아기 엔테로바이러스 수막염의 연령별, 바이러스 혈청형별 임상양상

        양재혁(Jae Hyuk Yang),송지호(Ji Ho Song),천경렬(Kyeong Ryeol Cheon),정재근(Jae Keun Chung),송은송(Eun Song Song),최영륜(Young Youn Choi),우영종(Young Jong Woo),김영옥(Young 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1

        Purpose: Enteroviru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septic meningitis, and there are many different serotypes of enteroviruses that cause diverse clinical symptom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enteroviral meningitis in different age groups and viral serotypes. Methods: Patients younger than 18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aseptic meningitis in the Pediatric Department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4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clinical records. Results: Enterovirus was tested in 66.6% of 655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with the testing being more frequent in younger patients (P<0.001). Enterovirus was present in 69.7% of patients, and able to be serotyped in 52.6%. Headache and irritability were more frequent in older children, whereas respiratory and neurologic symptoms were more common in infants and early childhood (P<0.05). Marked pleocytosis in the cerebrospinal fluid (CSF) was more frequent in neonates and infants, whereas marked increases in CSF proteins were more common in adolescents (P<0.05). The most common enterovirus was coxsackievirus B1 (CB1) in neonates and enterovirus 71 (EV71)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Compared with the mean frequencies of symptoms in enteroviral meningitis, less frequent symptoms were fever in echoviruses (Es), headache or irritability in CBs and EV71, and vomiting in CBs. Neurologic symptoms were frequent in EV71 (P<0.05). Marked CSF pleocytosis was more frequent in CBs and Es (P<0.05). Conclusi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of childhood enteroviral meningitis differ with age and viral serotype. In addition, the prevalent enteroviral serotypes differ with age.

      • KCI등재후보

        Bickerstaff 뇌줄기 뇌염 양상으로 발현된 신경정신성 전신 홍반성 루푸스 1례

        최하영(Ha Yeong Choe),송태양(Tae Yang Song),천경렬(Kyeong Ryeol Cheon),정금희(Ku Mi Jeong),박수민(Soo Min Park),우영종(Young Jong Woo),김영옥(Young 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3

        신경정신성 전신 홍반성 루푸스는 소아 루푸스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예후 및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신홍반성루푸스는 대부분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며 말초신경계 침범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하지 및 안면의 근력 저하와 기면으로 내원하였던 12세 여아에서 감염성 수막뇌염 혹은 자가면역성 뇌줄기 뇌염을 의심 하였다. 환자는 구강 궤양과 건조증, 사지 망상형 홍반을 보였고, 뇌자 기공명영상 및 뇌자기공명혈관촬영술은 정상이었으나 뇌척수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증을 보였다. 내원 직후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저용량 덱사메타손과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다가, 내원 3일 째 안면 홍조와 함께 혈청 항핵항체 및 anti­dsDNA 양성 소견을 보여 신경정신성 전신 홍반성 루푸스로 진단하고 고용량 스테 로이드 투여한 후 환자의 임상경과는 호전되었으며, 안과검진, 침샘 스캔검사 및 소타액샘 조직검사에서 쇼그렌 증후군으로 추가 진단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Bickerstaff 뇌줄기 뇌염 양상으로 발현된, 쇼그렌 증후군을 동반한 소아 신경정신성 전신 홍반성 루푸스 환아에서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후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Neuropsychiatric events are commonly reported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they are an important contributor to both morbidity and mortality. Neuropsychiatric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NPSLE) mainly involves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rarely invades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A 12-year-old girl presented with sudden-onset motor weakness in her lower extremities and face, as well as drowsines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angiography produced no abnormal findings, and a cerebrospinal fluid examination revealed only pleocytosis. Reticular erythema in the extremities, oral ulcers, and a dry mouth were noted at her first visit, but a malar rash appeared on the third day with positivity for serum antinuclear and anti-dsDNA antibodies. Therefore a high-dose steroid was administered based on a diagnosis of NPSLE.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alivary gland scan, and biopsy of minor salivary gland resulted in the additional diagnosis of Sjögren’s syndrome. The reported patient represents a rare pediatric case of NPSLE accompanied with Sjögren’s syndrome, presenting as Bickerstaff’s brainstem encephalitis and being successfully treated with early steroid pulse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