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취 시기 및 추출 용매에 따른 환삼덩굴의 항산화 및 기능성 화장품 활성

        채정우 ( Jungwoo Chae ),조희선 ( Huiseon Jo ),염현지 ( Hyeonji Yeom ),이진영 ( Jin-young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채취 시기 및 추출 용매에 따른 환삼덩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6월에 채취한 환삼덩굴의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1.09 mg/g GAE, 같은 시기에 채취한 70% 에탄올 추출물은 56.64 mg/g GAE를 나타내었으며, 8월에 채취하여 추출한 열수 추출물은 31.56 mg/g GAE, 에탄올 추출물은 31.81 mg/g GAE의 함량을 나타내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6월에 채취하여 추출한 것이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같은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하여 환삼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6월 채취 7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8월 채취 추출물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모든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 항산화에 관여하는 물질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활성이 높게 유지된다고 판단되었다. 미백활성 평가를 위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환삼덩굴 열수 추출물은 6월 채취 추출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8월 채취 추출물은 최고농도에서의 활성이 16.18%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최고농도의 활성이 6월 채취 추출물은 8.07%, 8월 추출물이 14.7%로 나타나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6월보다는 8월에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부 주름 생성 방지 활성 평가를 위한 elastase 저해활성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은 매우 미미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모든 추출물에서 수렴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환삼덩굴을 주름 생성 방지를 위한 기능성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6월 채취 환삼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MTT assay) 결과, 저농도인 5~10 μg/mL에서는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 μg/mL에서 64.13%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 능력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w 264.7의 NO 생성이 억제되어 1,000 μg/mL에서의 NO 생성량이 40.7%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인지, 추출물의 효능에 의한 것인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olyphenol content of Humulus japonicus (HJ) extract according to the collection time and extraction solvent, bothhot water extract and 70% ethanol extract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in June, and the polyphenol content was high. When the harvesting time was the same, the polyphenol content of the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water extrac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J extract by measuring electron-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HJ6E, which has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tract collected in August, the polyphenol content was similar.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high, sothe antioxidant activity remained high when extracted with 70% ethanol. As a result of measur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for evaluating skin whitening activity, HJ6W did not show any activity. The activity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16.18% for HJ8W, 8.07% for HJ6E, and 14.7% for HJ8E. Therefore, the content of ingredients showing skin whitening activity was higher in August than in June. In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for evaluating the anti-wrinkle activityof the skin, the ethanol extract showed very little activity, and the hot water extract did not. In addition, since all extracts do not show astringent activity,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HJ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preventing wrinkle forma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ell viability of HJ6E, which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t showed a cell proliferation effect at low concentrationsbut strong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above 50 μg/mL. In the case of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ability,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O production of Raw 264.7 was suppressed. Theamount of NO production at 1,000 μg/mL decreased to 40.7%. However, whether these results are due to cytotoxicity or the extract’s efficacy is a part that requires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추출방법에 따른 잣나무(Pinus koraiensis) 구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개선 및 미백 효능 비교

        채정우 ( Jungwoo Chae ),김정유 ( Jeongyou Kim ),조희선 ( Huiseon Jo ),이진영 ( Jin-young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3

        본 연구에서 잣 구과피의 3가지 추출법(에탄올 추출, 초임계 추출, 에탄올과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항산화 활성, 주름개선 그리고 미백활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임계 추출물이 11.03 mg/g GAE, 70% 에탄올 추출물이 33.79 mg/g GAE이었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1,000 μg/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13.60%, 70% 에탄올 추출물은 91.37%, 혼합물은 71.62%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 μg/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16.49%, 에탄올 추출물은 21.84%, 혼합물은 10.7%이었다. ABTS<sup>+</sup> radical 소거능은 1,000 μg/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38.19%, 70% 에탄올 추출물은 80.23%, 혼합물은 78.72% 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 μg/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24.54%, 70% 에탄올 추출물은 36.55%, 혼합물은 15.23%이었다. Elast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 μg/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15.62%, 70% 에탄올 추출물은 22.56%, 혼합물은 26.64%이었다. 피부수렴활성 결과는 70% 에탄올 추출물이 5000 μg/mL에서 81.23%이었고, 초임계 추출물과 혼합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활성 결과는 잣 구과피 70%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 초임계 추출물 순으로 우수하게 측정되어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모두 초임계 추출물이 높을 것으로 판단한 가설과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skin wrinkle reduction, and whitening activity of Pinus koraiensiscone scale extracts made with three different solvents (ethanol, supercritical fluid, and a mixture of both).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1.03 mg/g GAE i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and 33.79 mg/g GAE in the 70% ethanol extract.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1,000 ig/mL extract was 13.60% i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 91.37% in 70% ethanol extract, and 71.62% in mixed solvent extract. SOD-like activities in 100 ig/mL extract using supercritical fluid, 70% ethanol, and mixed solvents were 16.49%, 21.84%, and 10.7%, respectively. The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1,000 ig/mL extract were 38.19%, 80.23%, and 78.72%for supercritical fluid extract, 70% ethanol extract, and mixed solvent extract,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in 1,000 ig/mL extract were 24.54%, 36.55%, and 15.23% for supercritical fluid extract, 70% ethanol extract, and mixed solvent extract, respectively.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in 1,000 ig/mL extract were 15.62%, 22.56%, and 26.64% for supercritical fluid extract, 70% ethanol extract, and mixed solvent extract, respectively. Skin astringent activity (81.23% with 5000 ig/mL extract) was only detected in the 70% ethanol extract. Supercritical fluid and mixed solvent extracts showed no such activity. Our analysis of Pinus koraiensiscone scale extracts show that the highest aggregate activity was found in the 70% ethanol extract, followed by mixed solvent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Therefore, our results oppose the hypothesis stating supercritical extract has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 사용자 참여 환경 색채계획

        채정우(Jungwoo Chae),이혜경(Hyekyung Lee)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하는 학교 공간의 색채환경계획을 위해서는 색채전문가의 전문성과 교직원, 학생, 학부모 등의 사용자의 참여가 동시에 요구되어 진다. 이러한 요구조건에 적합한 색채계획 방법을 마련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색채교육, 사용자가 계획에 직접 참여하는 워크샵, 계획가와 사용자간의 균형 있는 소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목동중학교 환경색채계획의 사례를 통하여 상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색채계획 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용자의 색채교육과정에서는 환경 색채를 이해하기 위한 색상, 채도, 명도의 실제적인 체험과 배색의 방법을 교육하였으며, 비전문가가 실제로 계획에 참여할 수 있는 색채계획 템플렛을 활용하여 정서적 요구사항과 선호색을 추출하였다. 또한 색채팔레트의 구성과정에서는 색의 선정보다는 톤인톤(tone in tone)등을 활용한 배색방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통한 표준색채 팔레트는 환경색채 뿐만 아니라 학교의 인쇄물, 사인, 온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용방법을 함께 마련하였다. 사용자가 색채계획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비전문가의 표현을 돕는 템플렛의 활용, 교육과 워크샵을 통한 소통, 반복적인 평가와 피드백 등이 사업의 과정에서 수행되어져야 한다.

      • KCI등재

        배아와 건축 구조의 위상기하학적 유비(類比, analogy)를 응용한 파빌리온 디자인 제안

        강우석 ( Kang Wooseok ),채정우 ( Chae Jungw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모든 동물의 형태는 다양한 분화 과정을 거쳐 복잡한 기관들을 지닌 하나의 개체로 창조된다. 생물체의 형태는 수정란이 수정 직후 분열과 조직화 등의 다양한 상호 작용에 의해 성장하는 기초적 단계를 거쳐 발생한다. 이러한 자연의 모든 대상의 초기 단계에서 형태는 배아 구조와 위상적 동형을 이루고 있다. 이 초기 단계 중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으로 분화되는 상태의 낭배기 단계(囊胚期, gastrula stage)에서 배아는 생명의 각 조직 기관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배아가 성체로 발생하는 과정 동안에 생명의 동력을 위한 기능의 부여, 형태 및 구조의 발생, 그리고 성장을 유발하는 공간과 시간의 종합적 조절 등이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디자이너가 만들어내는 건축물은 배아의 초기 발생 상태와 유사한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다. 건축물의 배아의 창발(emergence)적 과정과 유비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위상기하학적 건축 동향에 따라 변화하는 담론을 심화하기 위한 새로운 사례의 디자인을 진행한다. 현대의 비정형적이고 유기적인 공간을 재현하기 위해 실제로 현대의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생물의 발생적이고 동역학적인 공간 디자인 작품 연구를 진행함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배아가 유연하고 확장하는 발생적 매커니즘의 특징을 활용하여 일시적이고 가변적인 파빌리온의 구조를 계획한다. 첫 번째로 발생 생물학적 관점에서 배아의 분화 개념 및 배아의 배엽 형성의 위상기하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 연구가 진행되고, 건축의 위상기하학적 맥락과 특성을 파악하여 배아와의 유비(類比, analogy)적 개념 요소를 도출한다. 이 요소들을 적용할 파빌리온의 합목적성을 문헌 연구를 통해 탐구하고 디자인 적용 단계를 진행한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배아의 구조적 요소를 고려한 외피와 구조, 그리고 내부 공간을 설정하여 형태를 구체화한다. 그리고 분화된 각 배엽 층의 기능적 요소에 따른 공간 물성, 프로그램 및 기능을 대입하여 모델링과 렌더링 결과물을 산출한다. (결과) 본 연구는 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공통적 요소를 보이는 배아 구조의 발생 생물학적 의미와 이 중 생명 기관의 최초 창발 단계인 낭배기와 건축적 요소 간 유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한 비선형적 구조모델, 동역학적 소재, 유기적 공간 프로그램의 기능 등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현대 기술로 생물의 유기적이고 자체적으로 변화하는 유기적 구조를 대입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론) 이는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형태로서 생물의 외관만을 적용하는 방식의 일차원적 단순성을 지양하고, 생물학에서의 형태 발생, 즉 발생 생물학에 기초한 생물의 자기조직화적 알고리즘으로부터 추출되는 성장, 적응, 진화 매커니즘을 응용하여 건축 자체의 유연한 성질을 지님에 의미가 있다. 더하여, 새로운 현대 공간의 디지털 기술로 이러한 생명의 자체적 적응성을 적용하여 앞으로 생물 발생적 건축의 가능성 확대를 위한 새로운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ll animals are created for individuals equipped with complex organization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process. Living beings’ formation process emerges from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cell division and systematization when the primary embryo stage, which is defined as the topologically same shape. In particular, in the gastrula stage divided into three germ layers known as ectoderm, mesoderm, and endoderm, the embryo is differentiated to each organ. During the process from the embryo to maturity, it decisively requires the supply of functions to sustain its life force, which leads to the emergence of the formative structure, the comprehensive space-time control inducing its growth, and so on. After figuring out the an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e primary embryo, it proceeds to study the dynamic spatial design involved with the life force, aiming for the intensification of topological architecture discourse. (Method) This study propels the design of a pavilion in the public space by utilizing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the fluid and replicative embryo. First, after analyzing the initial concept of the embryonic differentiation and formative process with regard to developmental biology, it is investigated for the topological properties of the embryo in the stage to prove that topologically, the torus geometry has the same shape. Second,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embryo’s structure and the space composition of modern architecture deduces the analogical concept. Following the purpose of using the pavilion after the relationship, design application includes structured process experiments for establishing interior, exterior, and connecting space in the pavilion based on the analogical relationship. Material selection on the surface is influenced by dynamics and self-organization features, which results in applying the principle of bimetal, new material to the architecture skin. Lastly, the shape is materialized through the interior program planning, modeling, and rendering with Rhino 3D and Grasshopper. (Results) In conclusion, the result implies that there are common elements among an animal’s embryonic emergence processes regarding the topological perspective. Furthermore, the analogy between biological organism and non-biological structure is practically applied to the pavilion design, which appears to the nonlinear prototype model, kinetic material, and organic space program for another design application. (Conclusions) Instead of the simplicity of the method to copy the appearance of life as a symbolic shape, modern architecture has worked itself through the essential mechanism of biological form and morphogenesis. Thus, due to the new technologies and digital base, it is expected that this independent adaptability of living beings would be used as a new example of the intensified architecture in various ways.

      • KCI등재

        국내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정책 현황 연구

        황동호 ( Dongho Hwang ),채정우 ( Jungwoo Ch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의 인구가 감소하면서 빈집과 기타 건축물 등 유휴공간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5년마다 발표되는 통계청의 전국 빈집 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국의 빈집의 개수는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약 26%가 증가했다. 이는 2005년에서 2010년 사이에 9%가 증가된 것에 비해 상당히 급격히 늘어났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휴공간은 도시를 슬럼화 시키고 범죄에 이용되기도 하며 인간에게 정주공간으로서의 심리적 안정감을 주지 못한다. 하지만 급격히 늘어나는 유휴공간은 공공부문의 문제를 가진 요소이기 보다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산업유산과 유휴공간에 대해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들이 ‘문화적 재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에 관한 연구 중에는 공간계획과 현황분석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바탕이 되어야 할 공간디자인정책과 그 정책을 구체적으로 집행하는 법제와 정부정책 사업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다.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에 대한 디자인과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의 실현을 위한 정책과 법제가 뒷받침 된다면 보다 실용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선행연구와 국내정책과 법제 및 사업사례를 분석 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정책이 지향해야할 기본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현재 국내의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 정책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제시된 선행연구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문화적 공간재생정책의 집행 수단인 현행 법제도를 연구한다. 토지 및 건축물 등에 관한 하드웨어적 법제와 인력과 정보공개 등에 관한 소프트웨어적 법제, 규제법과 진흥법으로 나누어 법제 각각의 분포도를 나타낸다. 또한 공간활용을 위한 기본법제를 바탕으로 공간 보존 및 관리를 위한 법제, 공간 정보 서비스를 위한 법제, 문화적 공간디자인 관련 법제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문화 기반의 재생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법제들의 관계를 연구하여 보여준다. 그러한 법제들의 관련 법을 토대로 적용된 사업 사례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 관련 정책과 법제들이 주는 시사점을 연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의 유휴공간의 문화적 관리와 활용에 대한 정책과 기본방안을 도출한다. (결과)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해서는 현재의 하드웨어에 한정된 정책보다는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정책과 법제 마련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정부와 사용자, 전문적 재생 공간디자이너의 역할이 필요하다. 유휴공간을 DB화하고 재생 공간디자인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제도와 재정을 기반으로 각 거주자들의 협의체와 전문적 재생 공간디자이너와 지역예술가들이 연계하여 공공부분의 문제로 대두되어온 유휴공간을 문화적 자산으로 바꾸는 기본방안을 제시한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공간디자인정책 수립을 위한 사전 연구다.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기본방안을 바탕으로 ‘유휴공간 정보서비스 구축방안 연구,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전문조직 구성방안 연구, 한국형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 매뉴얼 개발연구’등의 후속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는 공간디자인의 영역에서 공공부분의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을 제안한다. 유휴공간 정보서비스 구축, 전문조직 및 민간조직 구성 및 활용을 통해 슬럼화 된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과 미관을 살리고 인간의 정주환경을 안정시킨다. 또한 부동산가격의 하락과 범죄를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population of Korea decreases, vacant spaces such as empty houses and other buildings are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National Employment Survey, which is released every five years, the number of empty houses nationwide increased about 26% between 2010 and 2015. This represents a dramatic increase when compared to the period between 2005 and 2010, which was characterized by a 9% increase. These vacant spaces become slums in the city. They are used for crime and do not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as spaces for human settlement. However, the rapidly growing number of vacant space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new resource rather than a factor with public sector problems. Many studies on industrial heritage and vacant space hav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ultural regeneration.” Among the studies on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the vacant space,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situation through space planning and research are underway. Through this, we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comprehensively and present a basic plan for space design policy for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vacant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analyze policies related to space design for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vacant space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is. In additio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ing laws and promoting law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We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pace design policy and laws for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vacant space;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draw up policies and plans for the cultur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vacant space in the future. (Results) For the cultural revitalization of vacant space, policies and legislation related to software are needed in place of the current hardware-specific policies. For this process, the government, users, and professional space designers need to play a rol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vacant space DB and to construct the design space for the reproduction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establish space design policies for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vacant space in Korea. The basic plan derived from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may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examining the policy of recycling cultural space, the plan for fostering recreational space designer experts, and the design policy for recycled space. This suggests a polic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ublic part in the area of space design. It constitutes an information service of vacant space and a professional organization.

      • KCI등재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의한 도시 생태성 개념의 확장

        심윤선 ( Yunsun Shim ),채정우 ( Jungwoo Ch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는 다양한 환경적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을 위해 도시, 건축, 디자인, 예술 각 분야에서는 기술 융합을 통한 다학제적인 방식의 작업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도시 공간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역할에 주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인간-사회-환경 간 관계의 재구축을 통해 도시 생태성 개념을 확장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속성들을 이론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천적 디자인 방법론의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도시 환경과 관련하여 이제까지 나타난 생태성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론고찰을 통해 윤리-미학적 측면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생태성 개념 확장 방식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도출하였다. 분석의 틀에 따라 최근 10년간 도시의 공공공간에 설치된 인터랙티브 미디어 작품들 중에서 대표성이 있는 다섯 가지 유형별 사례들을 살펴보고 주요 속성을 도출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생태성 개념의 확장이 나타나는 방식을 밝히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사례분석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징을 기반으로 크게 정보의 공유, 환경의 경험, 기술의 생산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 정보의 공유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사례에서 수치적인 정확도보다는 메시지의 전달에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의 활용으로 확장성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탈중심적, 탈위계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환경의 경험과 관련하여,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환경-인간 관계를 재구축하는 방식이 나타나며,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결과물이 비고정적, 비예측적인 특징을 가진다. 사회적 영향력의 레벨은 작품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혹은 이후에 걸쳐다르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기술의 생산과 관련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관련 분야의 친환경 기술과 융합되어 실질적인 환경적 효과를 가지기도 하는데, 실질적인 기능이 강화될수록 미학적, 경험적 측면이 약화되는 경향이 발견된다. 또한 경제적 효과는 응용되는 기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기술이 사용되는 상황적, 사회적 맥락도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들 전반적으로 산업-학계 간 연계 및 관련 분야간 협업에 의한 다학제적인 특성과 기술융합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환경 정보의 공유를 통해 생태적 담론을 활성화하고, 인간-환경 관계의 재정립을 통해 생태적 미학을 형성하며,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가진 생태적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을 통해 생태성의 의미를 확장시키고 있다. 도시적 스케일에서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생태적 디자인 방법론으로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천과 이론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cities are faced with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crisis. In order to tackle this problem, multidisciplinary work is being conducted through technology convergence in urban design, architecture, design, and art field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interactive media in contemporary urban spaces, and explores the ways in which interactive media extends the concept of urban ecology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practical design methodology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ecological concepts that had been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urban environment and drew the framework for analyzing how to expand the ecological concept of interactive media in terms of ethico-aesthetics through theoretical review. Five types of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representative cases among interactive media works installed in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 main attributes and analyzed them. (Results) Case analysis wa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and resulted in three aspects: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technology production. First, in terms of information sharing, most cases focused on delivering messages rather than numerical accuracy, and had a certain level of publicness. Recently, social networking systems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extendibility, and have decentralized and disorganized the means of information sharing. Second,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the way of reestablishing the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through the playfulness of sensation appeared, and the result is characterized as non-static and non-predictive by interactivity. The levels of social influence differed during o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k. Third,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technology, interactive media was fused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ies in related fields, and had a substantial environmental effect. As practical function was strengthened, aesthetic and empirical aspects tended to be weakened. In addition, although the economic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applied technology, the contextual and social context in which the technology was use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 cases, strong evidence of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y convergence by industry-academia linkage and related field collaboration were found. (Conclusions) Interactive media is expanding the meaning of ecology in terms of the ways of activating ecological discourse through the sharing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ming ecological aesthetics through reestablishing human-environment relations, and developing ecological technologies with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an ecological design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on an urban scale, the role and importance of interactive media should be acknowledged, and pract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