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n information quality with SERVQUAL: The case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Chai, Sangmi(채상미),Kim, Minkyun(김민균)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5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6 No.5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formation quality of government service responding to Middle East Respirotaty Syndrome (MERS) based on SERVQUAL. Among dimensions of SERVQAUL, this research used relia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suitability) and assurance (timely confidence) and examined whether those four dimensions make a pos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 By collecting 303 responses,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quality of government service and citizens’ satisfaction. Our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reliability, responsiveness, suitability and timely confidenc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 quality. In MERS situation, time confidence and suitability make more impacts on information quality comparing with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Information quality of government service also affects positvely on citizen’s satisfaction. Our research contributes that SEVQUAL model can be applied in the context of emergency situation like MERS. Additionally, improvement of information quality would result in increasing citizens’ service satisfaction.

      • KCI등재

        사이버 정보보호 인력의 양성과 유지를 위한 방향

        채상미(Sangmi Chai),김민균(Minkyu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2 No.2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사이버 정보 보호는 가장 중요한 분야로 대두 되고 있는 가운데 전문적인 정보 보호 인력에 대한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 하고 있다. 전문적이고 능력 있는 정보 기술 인력의 보유는 정보화 사회에서 향후 경쟁력과 리더십을 얻는데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정보 보호와 관련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그들의 전공선택과 향후 정보보안 과 관련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 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학생들이 전공 선택과 직업선택에 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과 학생들의 전공 및 직업선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 사회가 보다 우수하고 전문적인 정보 보호 인력을 양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ecent field, cybersecuriyt has become one of the critical area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and demands for cyberseucirty professionals have been increasing tremendously. However, there is In the recent past, cybersecurity has become one of the critical area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field, and demands for cybersecurity professionals have been increasing tremendously. However, there is a shortfall in the qualified cybersecurity workforce which is a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vulnerability of society to various cyber threats. Our study articulates a model to explain career selection behavior in the cybersecurity field. The study explored factors that affect scholars" behavioral intention to pursue a cybersecurity career. Positive outcome expectations from a cybersecurity career as well as high self-efficacy about skills and knowledge about cybersecurity have a strong impact on the scholars" cybersecurity career decisions. Further,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ybersecurity curriculu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cholars" career deci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implications for retaining a qualified workforce in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security fields.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정보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과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대한 연구

        박민정(Park, Minjung),채상미(Chai, Sangmi),김민균(Kim, Minkyun)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8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9 No.2

        Since there are growing concerns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users may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t. It makes users try to possess and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by their own intentions. Therefore, we assumed users now have begun to recognize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Our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erceive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ir protection behaviors on personal information. Additionally, we figure out how users’ self-efficacy, response-efficacy, perceived severity and vulnerability toward information security influence to their psychological ownership by apply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 a survey and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esting hypothesi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related research as a foundation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can provide a way for how firms have to requir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with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s.

      • KCI등재

        코로나19 (COVID-19)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코로나19 예방 행동 및 정보 공유에 미치는 영향

        박민정(Minjung Park),채상미(Sangmi Chai) 한국IT서비스학회 2020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9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s of COVID-19 risk on their seeking and processing of relevant information as COVID-19 emerges and spreads worldwide in 2019. We apply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RISP Model) to verify whether users’ COVID-19 related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behavi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reventive and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bout 400 of social media users. The users perceptions of risk for COVID-19 increased their perceived insufficiency of COVID-19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erceived insufficiency of users information form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eking and searching of information behaviors. The processing of COVID-19 related information has increased related preventive behaviors and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While searching for information related to COVID-19 prompted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reventive behaviors.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as well as overall user health-related behaviors it can be inferred that additional measures are needed in addition to pursuing relevant in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정보보호 교육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연령 및 직무 맞춤의 이원화(Two-track)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민정(Minjung Park),이기혁(GI Hyouk Lee),채상미(Sangmi Chai) 한국정보보호학회 2021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1 No.5

        최근 사용자의 인터넷 의존성 증가와 각종 IT 디바이스의 보급과 확산에 따라, 과거에 비하여 개인 생활 전반에 정보보호가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이와 더불어 보안을 위협하는 침해 요인들이 지속적으로 복잡, 다양해지고 가짜뉴스 확산, 온라인 신분 도용, 사이버 불링 등을 비롯한 개인의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사회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정보보호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기업의 정보보호 업무 종사자 이외에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정보보안의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됨에 따라, 개인의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제고와 자발적인 정보보호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보호 교육 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외 정보보호 교육 과정의 현황과 특징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정보보호 교육필요성과 교육 체계 수립의 전략을 모색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정보보호 교육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개인의 정보보호 인식과 지식 수준을 제고하여 국내 정보보호 전문 인력 양성과 더불어 개인과 조직, 사회 전반의 정보보안 수준을 향상시켜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sers’ dependence on the Internet and the spread of various IT devices,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ecurity on the users’ has expanded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ave an increased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in personal life. In addition, as the intrusion factors that threaten security continue to become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eg., fake news, cyberbullying, identity theft), the need for nurturing information security experts is increasing. Furthermore, not only corporate information security workers, but also all individuals, cannot be free from the threat of information 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to improv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induce proactiv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ourses are analyzed and provide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pplicable to the domestic environment.

      • KCI등재

        중·노년층의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인터넷 사용자를 중심으로

        전양 ( Tian Yang ),박민정 ( Park Minjung ),채상미 ( Chai Sangmi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0 情報시스템硏究 Vol.29 No.1

        Purpose Since the number of personal information breach incidents increased, many people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recent. Especially, the number of personal information breach targeti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rapidly increa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o fail of onlin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among the elderl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research model by adop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ed on the elderly and middle ages users who have nations of Korean and Chinese respectivel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we identified that onl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vulnerability affecte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n contrast, it was also discovered that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response efficacy did not affect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dditionally, the awar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also did not affect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did mor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than people those who no education experiences. Korea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education significantly did more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s than the people without the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교육의 메타버스 활용 현황 및 도입 전략에 대한 연구: 단계별 메타버스 도입 프레임워크 개발을 바탕으로

        손영진 ( Son Young Jin ),박민정 ( Park Minjung ),채상미 ( Chai Sangmi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3 지식경영연구 Vol.24 No.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는 전 산업에 걸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하였고 교육 분야에서도 IT 기술과 교육 서비스가 융합된 에듀테크(Edutech)가 확산되며 대학 교육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강의는 오프라인 학습의 병행 또는 보조적 수단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확산된 비대면 온라인 동영상 수업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부재, 학습자의 학업 이해도 저하 등의 한계를 보였고 대안으로 실시간 온라인 강의가 병행되었으나 상호작용 한계를 해결하지 못하고 기존 온라인 교육의 장점인 시공간 제한 없는 학습마저 없애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대학내 활동 참여 기회 감소에 따른 경험 부재로 인한 사회화 능력 감소가 우려되나 Zoom 과 같은 2차원 디지털 환경의 웹 회의 플랫폼을 사용한 온라인 활동은 학생들의 사회활동에 충분히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사용하는 3차원으로 구성되는 가상세계이나 상호작용, 사회적, 경제적 활동과 같은 실생활을 구현한 기술적 특징을 가져 온라인 교육의 한계 및 의사소통 한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공간, 비교과 활동 지원 플랫폼으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메타버스를 이용한 대학 교육의 실제 적용을 위해 도입 전략의 마련이 필요한 시점으로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메타버스의 개념, 특징, 서비스 유형 등 메타버스와 관련된 전반적인 선행연구와 메타버스 적용사례를 고찰하고 둘째, 기술수명주기 모델과 혁신 기술 확산 이론을 바탕으로 한 메타버스 도입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단계적 도입 전략 및 주 사용층에 따른 특화된 도입 방안을 수립하여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신기술 도입의 이론적 배경, 메타버스 연구의 확산 뿐 아니라 효율적 도입 전략 형성과 연계 서비스 모델 기초 제공, 대학의 부가가치 창출 전략을 제공할 수 있는 실무적 기반을 제시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digital transformation across all industries and daily life. Edutech is spreading in the education field, also bringing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Non-face-to-face online-only classes at universities have spread after the COVID-19 pandemic physical distancing started. Online-only or real-time online classes showed diverse educational imitations. ‘Metaverse’ started to attract attention as a learning space and community activity support platform that may solve the limitations of online education and communication. It is time to prepare an introduction strategy for the actual application of education using metaverse. This study, first,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cases of metaverse application, and second, establishing a metaverse introduction framework based on the technology lifecycle model and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Finally, we provide an introduction strategy in steps, a specialized introduction plan according to the main users is established and presented as a scenario.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new technology introduction and the spread of metaverse research. Also, we present an efficient introduction strategy, the basis for a service model, and a practical basis for the university’s value-added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