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추계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진세준,박세헌,유승훈,Jin, Se-Jun,Park, Se-Hun,Yoo, Seung-Ho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5

        Using the inter-industry tables over the period 2010-2013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uncover the national economic rol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ir market size and value-added, and to analyze their economic effects through inter-industry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rket siz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has increased from 1.34 trillion won in 2010 to 1.97 trillion won in 2013 and their share in total national output went up from 0.04 % in 2010 to 0.05 % in 2013. Moreover, the value-added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618.5 billion won in 2010, amounted to 841.5 billion won in 2013 and their proportion in total national value-added has grown from 0.05 % in 2010 to 0.06 % in 2013. Three findings emerge to be used demand-driven model from the inter-industry analysis. First,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1.0 won production or investment in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has decreased from 1.8845 won in 2010 to 1.8115 won in 2013. Second,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that has declined from 0.7680 won in 2010 to 0.7063 in 2013. Third, the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1.0 billion won production or investment in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has went down from 10.17 people in 2010 to 9.18 people in 2013. In short, the market size and value-added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show an increasing trend, but their economic effects reveal a diminishing trend.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4년(2010-2013) 동안의 산업연관표로부터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를 따져보고,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를 추계한 결과, 총 산출액은 2010년 1조 3,406억원에서 2013년 1조 9,723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산출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0.04%에서 0.05%로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액은 2010년 6,185억원에서 2013년 8,415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국내총생산에서 해양환경산업의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0.05%에서 0.06%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가 국민경제 전체에 야기하는 생산유발효과는 2010년 1.8845원에서 2013년 1.8115원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0년 0.7680원에서 2013년 0.7063원으로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2010년 10.17명에서 2013년 9.18명으로 감소하였다. 요컨대, 해양환경산업의 산출액 및 부가가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의 원단위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필리핀에서의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경제성장 간의 인과성 분석

        진세준(Jin, Se Jun),안소연(Ahn, So Yeon),유승훈(Yoo, Seung Hoon) 한국아시아학회 2016 아시아연구 Vol.19 No.3

        필리핀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성을 밝혀내려는 목적에서 본 논문은, 1965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간 에너지 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실질 국내총생산이라는 3개의 시계열 자료에 대해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오차수정모형 추정을 시도하였다. 3개의 경제시계열 모두 단위근을 가져 불안정하였으나 1차 차분을 하였더니 안정화되었다. 공적분 검정결과 공적분이 존재하였기에 오차수정모형을 적용하여 인과성을 검정하였다. 본 논문의 인과성 분석결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양방향의 장기 인과성 및 강한 인과성이 존재한다. 이는 에너지의 소비증가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대를 낳고, 이산화탄소 배출의 증가 역시 에너지의 소비확대를 야기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단기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배출에서 에너지 소비로의 단일방향 인과성만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는 단기, 장기, 강한 인과성 모두 경제성장이 에너지 소비를 높이는 단일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경제성장은 에너지 소비증가로 이어지지만 에너지 소비증가가 반드시 경제성장을 유발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경제성장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로의 단기 및 장기 단방향 인과성이 존재하며, 강한 인과성은 양방향으로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 및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양방향의 인과성이 발견되었으며,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는 경제성장에서 에너지 소비로의 단일방향의 인과성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paper investigates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ergy consumption, carbon dioxide(CO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n the Philippines. It uses annual data covering the period 1965-2014. Its research method comprises such tests for unit roots, co-integration, and Granger-causality based on error-correction model. The time series data of these three variables are all non-stationary, because each of them has its unit root. As their first-differenced data, however, appeared to be stationary, it was possible for the co-integration test to find out whether or not some co-integrations exist. According to finding, error correction model also could be used for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gained by doing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bi-directional long-run causality and strong causality from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This means that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directly affects CO2 emissions and that CO2 emissions also stimulate further energy consumption for long running and strong. Nevertheless, there is uni-directional, short run causality from CO2 emissions to energy consumption. The second is the type of uni-directional for long-run, short-run and strong causality from economic growth to energy consumption, signifying that economic growth can induce energy consumption but not vice versa. Lastly, the third is one of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exists uni-directional short and long causal relationship from economic growth to CO2 emissions, also bi-directional strong causal relationship. Such a sort of bi-directional causality are found not only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but also between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Whereas that of uni-directional causality exists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 KCI등재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김태영,진세준,박세헌,표희동,Kim, Tae-Young,Jin, Se-Jun,Park, Se-Hun,Pyo, Hee-Dong 한국에너지학회 2013 에너지공학 Vol.22 No.2

        We need to develop new renewable energy that could fundamentally replace fossil fuel, since the volume of economy and industry of our time becomes uncontrollably enormous. One of the alternative is to develop energy based on marine biomass, which would meet environment and energy needs at the same time. The marine bio-energy productions is supposed to occupy 50% to 500 million TOE in bio-energy production that is based on the Korean 3rd new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utilization, supply plan until 2030.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input-output analysis to investig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s what national economy effec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employment-inducing effect, and R&D-inducing effect are explored with demand-driven model.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and classify the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sector from I-O table. Also,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by taking the industry as exogenous specification and then investigating its economic impacts. The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case 223 billion won,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312 billion won, 87 billion won, 1,151 persons, and 5 billion won respectively. These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olicy-making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경제 발전과 산업의 발달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이 필수적이며, 그 대안으로 해양 미생물에 기초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해결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계획에 근거하여, 2030년까지 바이오에너지 부분의 50%인 500만TOE를 해양 바이오에너지에서 생산하려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서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생산유발, 부가가치 유발, 취업유발에 미치는 효과 및 연구개발 유발효과 4가지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기준 403부문 중에서 66개 부문을 해양 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이라 정의한 후, 해양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한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에 2,23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면, 생산유발효과 3,12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65억원, 취업유발효과 1,151명, 연구개발 유발효과 47.8억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상용화에 대한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녹조 발생의 심미적 환경비용 추정

        조용철 ( Yong-cheol Cho ),진세준 ( Se-jun Jin ),최한주 ( Han-joo Choi ),류문현 ( Mun-hyun Ryu ),유승훈 ( Seung-hoon Yoo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6 環境政策 Vol.24 No.4

        녹조 발생으로 하천 생태계 훼손 및 정수 비용 증가 등의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수돗물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댐의 추가방류 및 고도정수처리 시설 운영을 통해 조류 저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녹조 발생의 심미적 환경비용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하여 녹조 발생을 막기 위한 일반 국민들의 지불의사액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하여 일대일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수행하되 지불수단으로는 가구당 연 소득세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과정에서 다수의 응답자들이 영의 지불의사액을 밝혔기에 이를 반영하기 위해 스파이크 모형을 적용한다. 분석결과, 모든 추정계수는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가구당 연 평균 4,129원의 지불의사액이 도출되었고 이 값 또한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값을 전국으로 확장하면 연간 808억 원에 해당한다. 즉, 국민들이 느끼는 녹조 발생의 심미적 환경비용이 결코 낮지 않으므로, 정책당국은 녹조 발생을 줄임과 동시에 녹조 발생과 관련된 수돗물에 대한 우려를 제거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Not only does algal bloom cause the destruction of river ecosystems and an increase in the cost of water purification, it also gives rise to growing public anxiety about the quality of tap water. Therefore,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reduce the instances of algal bloom occurrence and improve water quality using artificial flood methods with dams and operating advanced water treatment facilities.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the aesthetic and environmental costs caused by algal bloom occurrence.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ed appli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analyzed public willingness to pay (WTP) to avoid algal bloom occurrence. Moreover, a nationwide survey of 1,000 randomly selected households was carried out, and yearly income tax was used as a payment vehicle. In the course of the survey, a considerable number of respondents reported zero WTP and thus the spike model was utilized to deal with the zero W TP response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parameter estima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with yearly household WTP estimated to be 4,129 KRW, which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Expanding WTP to the national population results in a total of 80.8 billion KRW per year. Therefore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at policymakers take steps to alleviate public anxiety about tap water quality arising from algal bloom occurrence as well as work to reduce instances of algal bloom occurr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