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고이익 기준점 달성이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지현미(Ji Hyun Mi)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30

        본 연구에서는 보고이익이 기준점을 달성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두 가지 기준 즉, 단순한 이익 금액이 증가한 경우와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반영하여 이익금액을 표준화시킨 주당순이익이 증가한 경우에 있어서 각 각 연차이익의 주가배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 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기업으로, 본 연구의 표본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1,647개의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단순한 전기이익 금액 대비 당기이익 금액이 증가한 경우에 연차이익의 주가배수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반영하여 당기이익을 표준화한 주당순이익의 증가에 대해서는 연차이익의 주가배수가 유의하게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기이익의 금액적 증가여부에 관심을 보이는 대부분의 언론보도와 마찬가지로 자본시장 참여자들도 계산과정이 복잡한 주당순이익의 증가보다 단순한 당기이익의 금액적 증가를 연차이익 정보에 추가하여 주식가치에 반영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attached to earnings figures, and the assumption that investors rely on simple heuristics suggest that reporting (1) positive earnings; (2) earnings greater than last year; as well as (3) earnings greater than the consensus analyst forecast will have positive valuation implications. Specially, Managers are more likely to avoid earnings decreases. Academic research has provided evidence that managers use a wide variety of techniques to meet benchmarks. When the benchmark beating is the last year earnings, there are two type earnings. One is the magnitude of annual earnings and another is Earnings Per Shares that is standardized by weighted average number of common stock outstanding.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pricing multiples on annual earnings are affected (1) by the magnitude of annual earnings increases or not and (2) by the EPS increases or not relative to annual earnings increases. The samples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1,647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that report annual financial statements over 2006-2008. These results strengthen evidence of prior research that the increase of earnings enhances value relevance of earnings. This is true because we document that investors consider the magnitude of annual earnings increases or not, but not consider the EPS increases or not.

      • KCI등재

        서비스업종의 재량적 수익 인식을 이용한 이익조정

        지현미(Hyun-Mi Ji),박홍조(Hong-J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5

        일반적으로 건설업이나 프랜차이즈 거래, 광고 및 운송, 통신, 교육 및 문화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업종의 경우에는 수익인식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금액의 추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수익인식 시기 및 금액을 자의적으로 조정하여 경영자가 원하는 수준의 이익을 보고하는데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출 등 영업 관련 수익과 해당 매출채권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이용한 재량적 수익모형(Discretionary revenue model)을 이용하여 서비스업종에서 불완전한 수익 인식을 통한 보고이익의 자의적인 조정이 더 많이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의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총 5,855개 기업-년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업종에 속한 기업들이 다른 업종에 속하는 기업들에 비해 수익의 인식을 이용한 자의적인 보고이익 조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표본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적용 이전과 이후로 각각 구분한 추가분석에서도 일관되게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매출 등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매출채권 발생액만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매출채권을 산출하는 재량적 수익모형(Discretionary revenue model)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재량적 발생액 측정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익인식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검증이라고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도 더욱 부합된다. 또한 서비스업종의 이익조정 행태를 직접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서비스업종에 대한 외부감사 및 회계감리기능의 강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Revenue recognition procedures of service industries are complicated and sometimes needed to estimate to determine revenue amounts or recognition time. Therefore managements of service industries would be easier tempted to manage earnings to meet the target using discretional earnings recognition then other industries. We examined empirically that whether earnings managements in service industries using discretionary sales revenue recognition are occur more seriously then other industries. We performed empirical tests using 5,855 firm-year samples from 2008 to 2013. We used discretional revenue model to measure earnings management for empirical tests. Our results show that earnings management is stronger in service industries then other industries. This finding is stand up to additional examination using divided sub-sample, which is listed companies on KOSPI and KOSDAQ market as well as before and after adoption of K-IFRS. This study used discretional revenue model instead of discretional accrual, and has discrimination in terms of supplementation of measurement error in earnings management. Also, this study coul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that it needed to strengthen external audit and supervision for sales revenue recognition of service industries.

      • KCI등재

        주채무계열 규제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결정

        지현미(Hyun-Mi Ji),박홍조(Hong-J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3

        주채무계열(main debtor groups)제도는 채무의 절대적인 금액을 중심으로 그 대상 기업계열을 선정하는데, 해당 계열기업군으로 선정되면 채권자들의 소속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감시활동이 강화되고 경영 전반에 대한 주기적인 보고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채권자와 기업사이의 정보불균형이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자의적인 보고이익 조정과 같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 감소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채계약가설이 우리나라 여신관행의 특성에 맞게 구체화된 형태라고 볼 수 있는 주채무계열 규제제도에 주목하고, 정보불균형 완화 및 회계투명성 제고 측면에서의 정책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채권자들의 감시활동과 규제가 실질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경영자의 대표적인 기회주의적 행동이라 할 수 있는 자의적인 보고이익 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량적 수익모형(discretionary revenue model)을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 동안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총 5,855개 기업-년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채무계열 규제를 받는 기업들이 재량적인 수익 인식을 이용한 보고이익 조정을 상대적으로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채무계열 지정을 통한 감시활동이 채권자와 기업사이의 정보불 균형을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주채무계열 제도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회계투명성을 제고하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정책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managements have to be taken the agreements to improve corporate financial structure including debt reduction and disposal of affiliates, restructuring, arbitrary arrests based on the outcome of Main Debtor Groups regulation. Therefore, their earnings have to be controlled in good condition as early as possible, in some cases, the discretionary income management will also have a manned. On the other hand, the intensified creditors" surveillance of the companies as well as periodic reports of the general activities can eased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opportunism of the executive such as increasing reported earnings discretionary can be reduced due to the Main Debtor Groups reg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analysis the influence debtor"s surveillance activities under the Main Debtor Groups regulation to typical opportunistic behavior, discretionary income adjustment. As a results from 5,855 firm-years for 2008 to 2013 using the discretionary revenue model, it appears that firms regulated relatively less adjust their reported earnings discretionary using revenue recognition. So, Main Debtor Groups regulation is identified as something that will bring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balance of information between creditors and business. However, despite this positive aspect of the regulatory, it appears that the regulated companies with higher debt ratio bring the more arbitrary adjustment in earnings relatively. It was evidence that debt ratio is still an important role as the motivation of the income adjustment.

      • KCI등재

        국내 상호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을 이용한 자기자본비율 조정

        지현미 ( Hyun Mi Ji ),박홍조 ( Hong Jo Park ) 한국회계학회 2006 회계저널 Vol.15 No.특별

        본 연구는 상호저축은행의 경영자가 대손충당금을 이용하여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을 자의적으로 조정하는지 검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조정 전 자기자본비율이 전기에 감독당국에 보고했던 수준보다 감소하는 경우 자기자본비율을 조정할 유인이 있다고 보고, 이 경우 그 조정 수단으로 대손충당금을 이용하는지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조정 전 자기자본비율이 기준 자기자본비율인 5%에 미달하는 경우에도 대손충당금을 이용한 자기자본비율 조정행위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2년에서 2005년 동안 금융감독원의 감독대상이 되는 443개의 상호저축은행 기업-년으로 구성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조정 전 자기자본비율이 목표했던 수준에 미달하는 정도가 클수록 대손충당금 설정율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상호저축은행들의 경우 자기자본비율을 관리하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조정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즉, 전기에 비해 자기자본비율이 감소하는 상황에 직면하거나 또는 기준 자기자본비율인 5%에 미달하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 대손충당금을 과소 계상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자기자본비율을 상향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같은 조정행위는 조정 전 자기자본비율이 목표수준에 미달되는 정도가 클수록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독당국이 상호저축은행을 감독 및 검사할 경우, 대손충당금을 이용한 자기자본비율 상향조정의 가능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철저한 감독 및 검사를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당해 상호저축은행을 회계 감사하는 외부 감사인도 대손충당금을 이용한 자기자본비율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손충당금에 대한 감사범위의 결정이나 감사증거 수집 등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saving banks manage capital ratio using loan loss provisions to avoid capital ratio decrease compared with last year. We expect that loan loss provisions provide a good opportunity to meet capital ratio target, and involve the complexity and discretion necessary for information asymmetry to persist. Thus, loan loss provisions are powerful settings to examine capital ratio management among a wide range of savings banks. Considering this background, we hypothesize that changes in loan loss provisions are related to whether firms miss their reported capital ratio of the previous year. We als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apital ratio management through loan loss provisions depending on the amount to be managed. The sample consists of saving banks(443 firm-years) supervised by Financial Supervisor Services that report financial statements over 2002-2005.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we find that savings banks decrease the loan loss provision ratio over outstanding loans to meet the previous year`s reported capital ratio and 5% of regulatory capital ratio. We also find that managers incentives to manage capital ratio are stronger when the gaps to be managed are bigger. These results provide an implication on making the supervisory decision to the regulatory body and on auditing saving banks to the external auditors.

      • KCI등재

        분기 이익정보가 연차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지현미 ( Hyun Mi Ji ),백원선 ( Won Sun Paek ),박홍조 ( Hong Jo Park ) 한국회계학회 2007 회계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분기이익의 질이 연차이익의 질에 추가하여 연차이익에 대한 주가배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연차이익 증가의 분기별 구성이 연차이익에 대한 주가배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1,443개 기업-년)으로 구성되었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로서 분기이익의 질은 연도별-분기별-산업별 수정 Jones 모형으로 추정된 유동재량발생액과 분기검토 여부로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분기이익의 질이 높을수록 연차이익에 대한 주가배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차이익 증가의 분기별 구성의 경우에는 연차이익 증가액중에서 분기이익 증가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4분기에 가장 큰 집단에서 연차이익에 대한 주가배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즉, 연차이익 증가액 대비 분기이익 증가액의 비중이 4분기에 가장 큰 기업이, 그 비중이 다른 분기에 가장 큰 기업에 비하여 연차이익에 대한 주가배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분기검토를 받은 기업의 경우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식시장 참여자들이 분기이익 정보를 연차이익 정보에 추가하여 주식가치 평가에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분기이익 정보는 적시성 제고에 따른 가치관련성 향상이라는 의미 있는 경제적 효과를 유발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quarterly earnings information has incremental effect on value relevance of annual earnings. Korean firms have been required to disclose quarterly reports since 2000 in order to enhance timeli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Hoping that usefulness of quarterly earnings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we investigate whether quarterly earnings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relative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vis-a-vis annual earnings affects value relevance of annual earnings. And we examine whether the pricing multiples on annual earnings are affected by the magnitude of quarterly earnings increases relative to annual earnings increases. It is thus hypothesized that (i) the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strengthens the pricing multiples on annual earnings and that (ii) the pricing multiples on annual earnings are distinguishable for different magnitudes of quarterly earnings increases relative to annual earnings increase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1,443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that report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over 2002- 2005. We measure the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as (ⅰ) the absolute value of current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re estimated from modified cross-sectional Jones model for each combination of quarter, year, and industry and (ⅱ) the binary value of whether or not quarterly reports are reviewed by external auditors. Empirical findings support our hypotheses. First, we find that the pricing multiples on annual earnings are greater for firms with higher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that show the lower absolute value of current discretionary accruals and whose quarterly reports are reviewed. Second, we find that annual earnings obtain the greatest pricing multiples for firms of which fourth quarter earnings increases are the largest component in annual earnings increases. These results strengthen evidence of prior research that the quality of earnings enhances value relevance of earnings. This is true because we document that investors consider the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in addition to the quality of annual earnings in equity valua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as far as we know,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on value relevance of annual earnings. Second, we examine the usefulness of quarterly earnings information by providing evidence that the quality of quarterly earnings has incremental effect on value relevance beyond the quality of annual earnings. Third, despite of the potential lack of reliability in quarterly earnings that are aggregat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their timeliness tends to enhance value relevance. Finally, this study supports the informational effectiveness of quarterly review and it provides the political implication to policy makers who try to expand quarterly review to enhanc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quarterly reports.

      • KCI등재

        원칙중심의 영업손익 회계정보가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지현미(Ji, Hyun Mi)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8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영업손익을 재량적으로 정의하고 산출하는 방법은 기업의 사적 효용 추구와 투자자 간의 정보비대칭의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기업마다 영업활동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영업손익 산정에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업의 경제적 실질을 보다 잘 반영하게 되어 회계정보의 정보적 효과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한 재량적 영업손익과 K-GAAP을 적용한 규범적 영업손익 간에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의 12월 결산법인 5,941개 기업-년을 대상으로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Ohlson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의 재량적 영업손익이 K-GAAP에서의 규범적 영업손익에 비해 영업손익에 대한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칙중심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기업의 경제적 실질을 보다 더 잘 반영한 재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제고되었다는 점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perating income has been considered useful information to assess firms value.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do not require for firms to disclose operating income in the financial statements. IFRS makes even no guidance of operating incom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also did not require a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and any mention. The lack of guidance as to how to compute operating income and no requirement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caused inconsistency and information asymmetry. But previous Korean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 (K-GAAP) did require a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and guide detailedly as to how to compute operating income.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of alternative operating income under K-IFRS and definite operating income under previous K-GAAP.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a sample of 5,941 firm-years listed companies in Korean Stock Exchange over 2009-2012.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alternative operating income under K-IFRS are more value relevant than regular operating income under K-GAAP.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operating income under principle based K-IFRS provides more useful information.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과 공정가치 회계

        지현미(Ji, Hyun-Mi)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2 會計情報리뷰 Vol.- No.17

        2011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한 재무제표가 작성?공시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한 재무제표는 그 양식과 내용 면에서 과거의 회계기준(K-GAAP)을 적용한 재무제표와 많은 차이가 있다. 특히, 유형?무형자산 및 투자자산 평가 회계처리와 관련하여, 취득원가를 기본원칙으로 하던 과거의 회계기준과 달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공정가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자산 평가 회계처리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형?무형자산 및 투자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함에 따라 재무비율에 미치는 영향 및 외국의 공정가치 평가사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무제표의 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정가치 평가의 신뢰성 확보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Financial reporting using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is to become mandatory for all listed companies beginning in 2011. IFRS requires fair value option in tangible asset, intangible asset, and investment asset. Fair value option increases the validity of earnings in Income Statements and financial rato. In this paper propose the effect of fair value option on financial ratio, abroad cases, and some directions of increasing reliability on fair value option.

      • KCI등재

        매도가능증권의 선별적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

        지현미 ( Hyun Mi Ji ),송인만 ( In Man Song ) 한국회계학회 2009 會計學硏究 Vol.34 No.1

        보고이익이 목표에 미달하면 경영자는 당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매도가능증권의 평가손익은 자본항목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중에서 이미 평가손익이 발생한 특정 매도가능증권을 선별적으로(cherry picking) 처분하여 실현시킴으로서 보고이익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기업이 매도가능증권의 처분이익을 통해 보고이익을 조정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평가손익이 발생한 매도가능증권의 선별적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은 외부감사 과정에서도 지적될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시장성이 있다면 언제든지 이를 쉽게 처분함으로써 처분손익을 즉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를 처분할 때 발생하는 거래비용도 다른 이익조정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경영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2003년에 기업회계기준서 제8호(유가증권)이 도입된 이후 기업은 유가증권을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 또는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매도가능증권이 공정가치로 평가됨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에 반영시키지 않고 자본항목(누적기타포괄손익)으로 분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공정가치 회계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한계점과 함께, 평가손익이 발생한 매도가능증권을 선별적으로 처분함으로써 기업에게 이익을 조정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게 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8호의 적용 이후에 기업이 매도가능증권의 처분손익을 통해 보고이익을 조정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표본은 2004년부터 2005년 사이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1,000개 기업-년)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매도가능증권의 처분손익과 평가손익이 모두 기업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분설명력이 있으며, 특히 처분손익 회귀계수가 평가손익회귀계수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기업은 매도가능증권의 처분손익으로 보고이익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익조정은 만기보유증권의 처분이나 유·무형자산 및 리스자산의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공헌은 매도가능증권의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이 다른 자산의 처분을 통한 이익조정보다 더 크게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매도가능증권의 경우 평가손익을 당기손익이 아닌 자본항목으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경영자가 선별적처분을 통해 이익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사적 원가회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유가증권 시가평가 회계처리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Firms` stock price as well as their credit ratings could be seriously deteriorated if firms` reported earnings could not meet market expectations. This is because interest parties are paying great attention to firms` reported earnings for their decision making. Thus, there exist strong incentives for firms to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if their earnings do not reach specific targets. To date, a great deal of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o examine accounting accruals, accounting changes, or intra-trading with affiliated companies as a means to manage firms` reported earnings. However,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ccounting accruals could be detected during the course of external audits. Accounting changes have critical limitations because their details and subsequent effects should be publicly disclosed in audit reports. Furthermore, intra-trading with affiliated companies is also accompanied by considerable transaction costs. On the other ha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he disposal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may not be challenged easily by external auditors and incur much less transaction cos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use disposal gains/losses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to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In accordance with Korean Accounting Standards No.8 (Securities), firms can classify financial assets into trading, available-for-sale, or held-to-maturity categories based on their holding intention as well as holding ability. Moreover, if financial assets are classified as availablefor- sale, their valuation gains/losses are not reflected on net income, but treated as comprehensive income, which will be directly included in the equity part of balance sheet. Therefore, this selective classification of financial assets can provide considerable rooms for firms to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This will create incentive for firms to classify their financial assets into available-for-sale category as many as possible. And then, when unmanaged earnings are less than targets, firms could dispose selectively some part of those available-for-sale securities. We used samples consisting non-banking firms (1,000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which report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over the year 2004 to 2005. This is because the Korean related accounting standard (No.8) has been enacted from year 2003.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disposal gains/losses and valuation gains/losses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have significant value relevance. However, the pricing multiple of disposal gains/losse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valuation gains/losses. This may be because there exist realization risks in the valuation gains/losses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and also because firms possibly use those valuation gains/losses in managing their reported earnings. Second, firms dispose available-for-sale securities selectively to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Also, firms tend to use the disposal gains/losses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to beat earnings target more than the disposal gains/losses of tangible, intangible, and lease ass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ke the assets recorded at historical costs, the assets adjusted based on fair market values could also be utilized in managing firms` reported earnings by timing the disposition of those assets. This is becaus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allow valuation gains/losses to be reported directly in the equity category of the balance sheet. Therefore, if unmanaged earnings are less than target earnings, firms could realize gains/losses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by disposing selectively a specific part of those securities. For accounting policy makers, our results suggest that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reporting valuation gains/losses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as capital adjustment item should be re-evaluated. Specifically, due to the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many accounting standard bodies including IASB allow firms to reclassify their financial assets from trading category to available-for-sale category. We have to pay great attention to this movement since it will provide considerable rooms for firms to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and will eventually deteriorate the usefulness, especially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Further subsequent studies could be performed by extending the examination periods and including financial institutions in samples. Also, some researches may try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each components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which are reported directly in the equity part of balance sheet.

      • 사회진출용 회계교육 수요에 대한 현황 분석

        지현미(Ji Hyun Mi) 啓明大學校 産業經營硏究所 2011 會計情報리뷰 Vol.- No.16

        회계학은 대표적인 실용학문이며, 실무적으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회계학의 학문적 특성상 다양한 기업에서의 광범위한 수요가 존재하므로 전공에 관계없이 회계교육을 받은 학생의 경우 효과적이고 실직적인 사회진출과 취업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업 경영의 일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를 읽고 이해하며, 이를 해석하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대학 내에서 기초적인 회계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 즉 회계교육은 사회진출용 기초 교양과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과 학생을 대상으로 회계교육에 대한 수요 현황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기업의 경우 전국 소재 53개 기업의 인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의 경우 지방 소재 K대학교의 15개 단과대학에서 재학생의 약10%에 해당하는 1,9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기업과 학생 모두 실용적인 교양과목으로서의 회계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회계교육이 취업 시, 취업 이후, 그리고 취업 이외의 일반적인 경제 활동을 이해하고 영위하는데도 반드시 필요한 사회진출용 교양과목이라는 답변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회계교육에 대한 기업과 학생의 요구 수준을 전략적으로 연계하여 대학 내에서 회계교육을 확대 실시함으로써 교육의 수요자인 산업계와 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할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unting is very practical study and is needed various industries and entities. The demand for practical accounting education is increasing regardless of major courses due to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in getting a job. It is very important ability to understand financial statements including financial position and performance of business and analyze financial statements to do economic decision making. To increase these ability, practical accounting education is basic course in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 This paper surveys the demand for practical accounting education in the subjects for general education course. The subject consists of 53 firms(in the whole country) and 1,968 students(enrolled K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15 colleges in local area). The firms and students all put a premium on practical accounting education to getting a job and becoming a working member of society. This survey research attempts to make a suggestion to educator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analysis which prove that the efficient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practical accounting course is necessary for many firms and many students.

      • KCI등재

        주채무계열 규제가 외부감사인 교체에 미치는 영향

        지현미(Ji Hyun-mi),박홍조(Park Hong-j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2

        기업이 주채무계열(Main debtor groups)로 선정되면 주채권은행을 통해 여신상황을 포함한 기업경영의 전반적인 기업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매년 채권단으로부터 재무구조 및 경영상태에 대한 종합 평가를 받게 된다. 이를 통해 채권자들의 기업에 대한 감시활동이 강화되고 경영전반에 대한 주기적인 보고활동이 이루어져 채권자와 기업사이의 정보불균형이 완화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보고이익을 자의적으로 조정하고자 하는 유인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경영자는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낮은 외부감사인을 선임하여 회계처리기준 위반의 적발가능성을 줄이고자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주채무계열 규제 하에서 경영자는 차입거래에서의 실질적인 이득을 얻고자 정보불균형 해소에 더욱 적극적일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에는 감사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채무계열 규제를 통해 은행들의 감시활동이 강화되는 것이 기업의 외부감사인 선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 주채무계열 규제를 받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우수한 대형회계법인을 외부감사인으로 선임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채무계열에 선정된 당해연도에는 소형회계법인에서 대형회계법인으로 외부감사인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주채무계열로 선정된 이후 연도에도 기존의 대형회계법인을 그대로 유지하고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주채무계열 규제를 받고 있는 기업들이 감사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하여 정보불균형을 해소함으로써 차입거래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이득을 누리고자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채무계열 규제 정책이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우수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하도록 유도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회계정보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는 정책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Regulation for Main Debtor Groups push the companies for periodic reports of the general activities, and imbalance of information between companies and creditor could be mitigated. The managements has the tendency to appoint the external auditor with higher quality for tangible benefits in debt covenants. Therefore, the pro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empirically whether Regulation for Main Debtor Groups affect the companies" selection of external auditor. As the results of analysis, regulated companies as Main Debtor Groups have a strong tendency to select large accounting firm with higher audit quality relatively. There is some kinds of tendency to replace the external auditor from the small accounting firm to bigger one at the year of getting selected as Main Debtor Groups. Also, the companies retain existing large accounting firm in following years after being selected. These results show that regulated companies want to select external auditor with relatively superior quality to have tangible benefits in debt covenant with creditors. Additionally, we conform that regulatory policy influence positively to the selection of external auditor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