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수치모의

        지운,장은경,Ji, Un,Jang, Eun Kyung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1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및 하상유지공 유실 문제가 발생했던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지점을 대상으로 지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특성을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구간의 수치모의 분석결과, 본류에서는 흐름집중 현상에 의해 지류 유입유량에 관계없이 합류 전에 비해 합류 후 유속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류 유입유량이 클수록 지류하천의 하도 침식이 가속화되고 따라서 주하도가 형성되어 지류에서의 마름영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한 지류에서의 하도 침식은 지류에서의 유사발생량을 증가시키고 침식된 유사는 합류부 구간에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부 퇴적은 본류 흐름을 좌안으로 집중시키고 좌안의 하상이 저하되는 현상을 야기하였다. Flow and bed changes due to tributary inflow vari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Geumdang Stream were analyzed in this study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analysis, the velocity downstream of the confluence was greater than the velocity upstream of the confluence in the main channel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ributary inflow. However, as tributary discharge increased, the channel erosion was accelerated and the dry area was produced at the tributary. Due to the bed erosion at the tributary, sediment transport was increased and the eroded sediments were deposited in the confluence area. The deposition in the confluence area changed the flow direction at the main channel to the left side and the localized flow eroded the channel bed at the left sid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ank failure due to continuous bed degradation is possible in this area.

      • KCI등재

        CAD/CAM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한 milled-bar 피개의치 증례

        지운,장재승,권주현,김선재,Ji, Woon,Chang, Jae-Seung,Kwon, Joo-Hyun,Kim, Sunjai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2

        상악 완전 무치악에 6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경우 임플란트-지지형 피개의치 제작이 가능하다. 임플란트-지지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착장치 중에 milled-bar의 경우 의치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연결 고정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에 심한 골소실을 동반한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세 가지 다른 시스템으로 구성된 7개의 임플란트 상부에 CAD/CAM 맞춤형 지대주와 시멘트 접착형의 milled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여 상실된 심미와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였다. In patients with fully edentulous maxilla, fabrication of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can be a viable treatment option, when a minimum of six implants were strategically placed. Among several attachment systems used fo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milled-bars prevent rotational movement of denture, thus showing great stability, and have the advantage of splinting multiple implants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report, a milled-bar supported overdenture was fabricated for a patient suffering from condition of fully edentulous maxilla with severe ridge resorption in the anterior residual ridge. Seven implant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systems were effectively utilized by CAD/CAM customized abutment and cement-retained milled bar.

      • KCI등재

        토지이용도, RUSLE, 그리고 산사태 위험도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양 침식에 대한 위험성 및 잠재성 분석

        지운,황만하,여운광,임광섭,Ji, Un,Hwang, Man-Ha,Yeo, Woon-Kwang,Lim, Kwang-Suop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6

        The land use map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was classified by each land use contents and analyzed to rank the risk of soil loss and erosion. Also, the soil loss and erosion was evaluated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nd the subbasin with high risk of soil loss was evaluate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land use contents. Finally, the analyzed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landslide risk map, henc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using developed and analyzed resul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land use analysis and RUSLE calculation, it was represented that the Naesung Stream watershed had the high risk for soil loss among the subbasin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It was also presented that the high risk area identified by computation of RUSLE was corresponding to the landslide risk area. However, the high risk of soil erosion by land use near the river or wetland was confirmed only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s of RUSLE.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토양 침식 및 유실의 위험성을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해 토지이용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유역별 토양침식 발생의 위험성을 순위화하였다. 또한, 토양침식량을 RUSLE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지이용도 분석 결과와 함께 토양침식 위험성이 높은 유역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해당 유역에 산사태 위험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유역내 토양유실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의 활용 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토양침식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선정된 유역은 내성천유역으로 토지이용도 분석결과와 RUSLE 모형의 결과에서 모두 토양유실 측면에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USLE 모형 결과에서 토양침식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유실의 위험성은 RUSLE를 이용한 산정 결과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단기 홍수사상으로 인한 사행하천의 하상변동 수치모의 분석

        지운,장은경,이찬주,Ji, Un,Jang, Eun Kyung,Lee, Chan Joo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행도를 갖는 내성천 하도 구간에 대해 단기 홍수사상 발생시 나타나는 흐름과 하상변동 특성을 2차원 모형인 CCHE2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성천 하도 구간은 사행도가 1.2, 1.6, 2.2인 3개 구간으로 나누어 흐름 및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2011년 6월에 발생한 6일 동안의 홍수사상에 대해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 사행도가 큰 구간에 비해 사행도가 1.5 미만인 구간에서 흐름 집중현상에 의한 평면적 유속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만곡부에서의 하상침식이 시간에 따라 더 크게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행도가 1.5 미만인 구간에서는 최대홍수량이 발생했을 때 최대유속이 국부적으로 1.6 m/s에서 2 m/s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flow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s during a short term flood event were analyzed using the two-dimensional CCHE2D model for a meandering sand-bed river, the Naesung Stream. Flow and bed change simulation was carried along the three sub-reaches with sinuosity of 1.2, 1.6 and 2.2 for the 6-day flood event occurring in June 2011.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velocity variation due to flow concentration was larger along the sub-reach with the sinuosity less than 1.5 and bed erosion at the outside of the bend was increased by time. In the sub-reach with the sinuosity less than 1.5, the maximum flood discharge produced the maximum flow velocity over 1.6 m/s to 2 m/s locally.

      • KCI등재

        낙동강의 보 구조물 설치 후 장기 하상변동 분석 및 평형하상고 예측에 관한 연구

        지운(Ji, Un),장은경(Jang, Eun-Kyung),김원(Kim, 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논문에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수행된 낙동강의 하상변동 양상을 해석하기 위해 과거 장기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하상변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4대강 살리기 사업 후 가장 큰 하상변동이 관측된 구간을 대상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장기 하상변동을 1차원 하상변동모형을 구축하여 예측하였다. 유입유사량 조건 및 유사이송공식에 따른 하상변동 예측 결과 값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단기 모니터링 실측자료와 하상변동 모의결과 값을 비교하여 모형 보정을 수행 한 후 10년 장기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모니터링 자료 분석 결과, 4대강 창녕·함안보-합천·창녕보 구간에서 전반적으로 가 장 큰 최심하상고 변화가 나타났다. 1차원 하상변동 모형을 활용한 10년 동안의 장기 하상변동 수치모의에서는 창녕·함안보 와 합천·창녕보 구간에서 구간별로 최대 2.07 m에서 3.26 m의 유사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d changes in the Nakdong River were analyzed with long-term monitoring data for analyzing riverbed change patterns after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FMRRP). Also, possible long-term bed changes were predicted using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the section where the largest change was observed after FMRRP. The sensi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ifferent incoming sediment discharge conditions and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The numerical model was calibrated by comparing short-term monitoring data and simulated results, and was applied for predicting bed change after 10 years. As a result of monitoring data analysis, the largest change in bed elevation occurred at the section between the Changnyeong-Haman and Hapcheon-Changnyeong weirs. The result of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for 10 years indicated that maximum depositions of 2.07 m and 3.26 m were produced in this section.

      • KCI등재

        설계구속인자를 고려한 자갈하상 하천의 안정하도 설계

        지운(Ji, Un),장은경(Jang, Eun-K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안정하도 설계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설계 단면에서 발생하는 유사량이 같아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하도의 하폭, 수심, 경사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하도를 설계할 때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단면 발생 유사량 계산을 위한 공식의 선정이다. 특히 자갈로 구성된 하상의 유사량을 산정할 경우 모래 하천을 기준으로 개발된 유사 이송공식을 활용하게 되면 산정 값에서 큰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갈하상에 적용가능 한 유사이송 공식을 기존의 안정하도 설계 프로그램에 추가하여 자갈하천 안정하도 단면을 계산하였으며, 특히 설계구속인자가 존재할 경우에 대해 해석적 방법을 적용하여 안정하도 단면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하폭의 변화가 제한된 조건의 경우 가장 얕은 수심을 제시한 공식은 Ackers and White 공식이었으며, 자갈하상 공식 인 Meyer-Peter and M?ller 공식의 경우 실제 하천 수심 2.4 m에 비해 0.8 m 깊은 수심이 발생하였다. 수심의 변화가 제한된 조건에서는 Engelund and Hansen 공식이 실제 하폭에 비해 약 2배 큰 하폭을 제시하였으며, Meyer-Peter and M?ller 공식의 경우 실제 하천 하폭 44 m 보다 약 20 m 큰 하폭을 제시하였다. Stable channel design is to determine the width, depth and slope for satisfying the condition that the upstream incoming sediment rate is equal to the sediment transport rate at the design channel. Therefore, the most sensitive variable when designing a stable channel is the selection of a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pplied for the channel design. Especially if in the case of gravel beds the designer uses the equation developed by using the data of sand rivers,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stable channel section has large errors. In this study, the stable channel design has been applied to the gravel bed river using the previous stable channel design program with newly added the sediment transport equation for gravel beds, and the stable channel section considering design constraints has been produced by using the analytical method. As results,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with the fixed width, the depth predicted by Ackers and White’s equation was the shallowest and Meyer-Peter and M?ller’s equation was 0.8 m deeper than the current section of 2.4 m.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with the fixed depth, the width predicted by Engelund and Hansen’s equation was twice wider than the current section and by Meyer-Peter and M?ller’s equation was 20 m wider than the current section of 44 m.

      • KCI등재

        비점착성 하상에서의 두부침식 메커니즘 분석에 관한 실험 연구

        지운(Ji, Un),장은경(Jang, Eun-Kyung),강진욱(Kang, Jin-W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2

        하천의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 구간에서 시작된 두부침식은 시간에 따라 지류 상류로 전파될 수 있으며, 급격 한 하상저하로 인해 지류에 설치된 수리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두부침식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서는 발생원인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수로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비점착성 유사로 이루어진 하상에서의 두부침식에 관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수리 조건에 따른 천급점 이동 및 최종 하상경사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하류단의 유속차가 2.5배 큰 조건에서 천급점 이동이 약 1.5배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안과 우안에 비해 중앙의 침식 및 붕괴가 먼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하류단 유속차가 클수록 두부침식 이동길이가 길어지고 더 완만한 하상경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는 수위차의 경우 유속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부 침식 이동성 및 하상경사에 미치는 상관관계가 일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headcut erosion at the confluence section of a mainstream and tributary can migrate up the tributary streams, and rapid degradation can threaten the stability of hydraulic structures installed in the channel. Therefor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and mechanism of headcut erosion is needed to prevent damage due to the headcut. In this study, hydraulic experiments for headcut erosion in the channel with noncohesive materials were performed and the knickpoint movement and final bed slope change were analyzed based on the different hydraulic conditions. As a result, the knickpoint movement was 1.5 times faster when the difference in velocity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s was 2.5 times greater and the central part of the cross-section was eroded and collapsed earlier tha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movement length of headcut erosion was longer and the final bed slope was milder as the velocity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s was increased. This study showed that a correlation between the knickpoint movement and bed slope change by headcut erosion and the water level difference of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s was not constant compared to the velocity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