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치과 병·의원에서의 구강보건교육업무에 대한 직무분석

        지민경,박영남,Ji, Min-Gyeong,Park, Young-Na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5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업무실태 및 비중을 조사함으로써 직무의 개선을 통한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일 업무비중을 분석한 결과, 진료협조업무의 비율이 35.4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주처치업무 21.54%, 행정 및 관리업무 16.08%, 구강보건교육업무 15.88%, 예방처치업무 11.23%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내용 및 구강보건교육자료의 종류별 활용비율에서는 대상자별 잇솔질 교육법이 3.7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강보건위생용품사용법 3.51점, 정기검진에 대한 교육법 3.26점, 치과질환 예방교육법 3.13점, 식이조절교육법 1.39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악치모형물이 38.0%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두로 설명 23.9%, 구강내 카메라 12.2%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라 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질환의 예방관련 업무비율이 높이 않아 이에 지속적인 관심과 활용가치가 높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향후 환자의 구강보건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performing systematic and desirable task through improving job by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task weight in dental hygienists. As a result of analyzing daily task weight in subjects of this study, the ratio of medical-cure cooperation task was indicated to be highest with 35.45%.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periodontal therapy service with 21.54%, of administration & management task with 16.08%, of oral health education task with 15.88%, and of preventive treatment service with 11.23%. As for kind-based utilization ratio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and oral health education data, a toothbrushing education method by subject was indicated most highly with 3.70 points.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usage on oral hygiene device with 3.51 points, of educational method on regular check-up with 3.26 points, of educational method of preventing dental disease with 3.13 points, and of educational method on diet control with 1.39 points. Jaw-plate model was indicated to be used the most with 38.0%.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orally explaining with 23.9% and of camera inside the mouth with 12.2%. Thus, establishment of a system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patients in the future by performing diverse programs with high utilization value in addition to a steady interest.

      • KCI등재

        치과 의료소비자의 대기시간과 병원이미지 및 환자만족도간의 융합적 연구

        지민경,이미라,Ji, Min-Gyeong,Lee, Mi-Ra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among dental care consumers' responses to waiting time, hospital image, and patient satisfactio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qualitative waiting conditions management related to health care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8 to June 20, 2016 in adults who had spent waiting time at dental hospitals or clinic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Hospital image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reliance on dental care centers in case of long wait, the changes in reuse intentions, and the reservation system, and patient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gender, explanation of expected waiting time, the changes in reliance on dental care centers in case of long wait, the changes in reuse intentions, and the reservation system. The positive responses to waiting ti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spital image and patient satisfaction; the negative reaction to waiting ti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ospital image and patient satisfaction; and hospital im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본 연구는 일부 치과 의료소비자들의 대기시간에 대한 반응과 병원이미지 및 환자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적 대기환경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치과 병 의원에 내원한 대기시간을 경험한 성인으로 하였고, 2016년 5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병원이미지는 장시간 대기 시 치과 의료기관 신뢰도 변화, 재이용의사 변화, 예약시스템, 환자만족도는 성별, 예상 대기시간설명, 장시간 대기 시 치과 의료기관 신뢰도 변화, 재이용의사 변화, 예약시스템과 관련이 있었다. 대기시간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병원이미지, 환자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부정적 반응은 병원이미지, 환자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병원 이미지와 환자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병원이미지 제고와 환자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접근방안이 요구되며, 대기의 불안과 부정적 반응을 해소 할 수 있는 IT기술 및 여러 컨텐츠를 접목한 대기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취실태와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 연구

        지민경,이미라,Ji, Min-Gyeong,Lee, Mi-Ra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5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인자각구취의 관련요인과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구취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스트레스 평균은 1.76점, 강박증의 평균은 1.62점, 본인자각구취도의 평균은 1.84점으로 나타났다. 혀에 흰 막이 가끔 끼는 군에서 스트레스 1.79점(p=0.003), 강박증 1.64점(p=0.042), 본인자각구취 1.89점(p=0.001), 본인의 구강 내 증상에서는 혀가 하얗고, 입안이 끈적인다고 느끼는 군에서 스트레스 2.02점(p=0.000), 본인자각구취 2.00점(p=0.000)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감에서는 자주 느끼는 군이 스트레스 2.23점(p=0.000), 강박증 1.95점(p=0.000), 본인자각구취 1.89점으로 나타났다(p=0.046). 본인자각구취는 강박증과 r=0.133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스트레스와 강박증은 r=0.425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구취의 다양한 원인을 파악함과 더불어 정서적 요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미래의 환자 구취 관리를 담당할 치과위생사로서 꾸준한 교육을 통한 인식의 고취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preventing halitosis by understanding about the factors related to self-awareness of halitosis and about the relationship with stress and compulsion targeting studen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s a result of research, the whole subjects were indicated to be 1.76 points for the mean in stress, 1.62 points for the mean in compulsion, and 1.84 points for the mean in self-awareness of halitosis. The group of feeling the tongue to be white and the inside of the mouth to be sticky in own symptom inside the mouth was indicated to be 2.02 points(p=0.000) for stress and 2.00 points(p=0.000) for self-awareness of halitosis. The group of often feeling a sense of oral dryness was indicated to be 2.23 points(p=0.000) for stress, 1.95 points(p=0.000) for compulsion, and 1.89 points(p=0.046) for self-awareness of halitosis. The self-awareness of halitosis stood at r=0.133 with compulsion, thereby having indicated slight positive correlation. Stress and compulsion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r=0.425. Accordingly, there is a need of infusing recognition through steady education as a dental hygienist who will have interest in emotional factor along with grasping diverse causes for halitosis, and who will be in charge of a future patients' halitosis.

      • KCI등재후보

        일부 대학생의 구강질환으로 인한 활동제한실태 연구

        지민경,Ji, Min-Gye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질환으로 인한 활동제한실태를 조사하고,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활동제한경험율은 24.1%, 평균활동제한일수는 0.44일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주거형태, 개인적 특성에서는 일상생활의 분주도, 학비조달의 어려움, 구강진료이용 시 시간적 부담, 구강진료이용 시 교통편의 어려움이 대학생의 활동제한과 관련이 있었다. 학비조달의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서 활동제한경험 및 와병경험, 학업수행지장경험, 학업손실경험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구강진료이용 시 교통편의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서 학업수행지장 및 학업손실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보다 체계화된 사회적 구강건강도를 확립하고, 구강건강증진을 높이기 위한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enhancing oral health by surveying the activity limitation realities caused by oral disease in university students and then by analyzing its relevant factors. As a result of research, university students' activity limitation experience rate accounted for 24.1%. The average number of activity limitation days stood at 0.44 day. Matter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activity limitation included housing type as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usyness in daily life, difficulty for supplying school expenses, temporal burden given using dental treatment, and difficulty for transportation given using dental treatment as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case of feeling difficulty for raising school expenses, the possibility was indicated to be high in activity limitation experience, illness experience, experience of having trouble in performing schoolwork, and schoolwork loss experience. Also, in case of feeling difficulty for transportation given using dental treatment, the possibility was indicated to be high in experiencing a trouble in performing schoolwork and a loss of schoolwork. Accordingly, a national interest and support are earnestly deman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more systematized oral health level and to increase oral health promotion.

      • KCI등재

        일부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 관련 영향요인

        지민경,Ji, Min-Gyeo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측두하악 건강관리에 있어 도움이 되는 접근성이 용이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대전·전북지역의 일부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통계분석은 t-검정, 일원분산분석법,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 악습관과 특성불안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성불안은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 악습관, 건강습관, 특성불안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등학생들의 시기에 맞는 적절한 불안 대처 및 구강 악습관 관리에 적극적인 소통과 개입이 요구되며, 더불어 사전예방할 수 있는 사회심리적 대응을 접목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적용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warenes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asy-to-access program to help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and North Jeolla Province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 to 30, 2019.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ral parafunctional hab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xiety and both of th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awareness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oral parafunctional habits, health habits, and trait anxiety. It is necessary to make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vention, which meets high school age, in coping well with anxiety and managing oral parafunctional habits and apply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involves socio-psychological efforts to prevent them.

      • KCI등재후보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지민경,Ji, Min-Gye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 상태와 치주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흡연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전체 대상자의 CPI 평균은 1.92이었고, 전체 대상자 6989명 중 CPI가 0-2인 그룹은 4707명(67.3%), 3-4인 그룹은 2282명(32.7%)이었다. 혼란변수를 보정하지 않았을 때 CPI가 3 이상인 그룹에서는 전혀 흡연을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과거 흡연을 한 그룹에서의 치주질환의 유병율에 대한 위험도는 1.78배(95% CI:1.56-2.02),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그룹에서는 1.75배(95% CI:1.55-1.82)로 증가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과 당뇨병 유무를 보정하고도 치주질환의 유병율에 대한 위험도는 전혀 피우지 않는 그룹보다 과거 흡연한 그룹에서 1.28배 (95% CI:1.08-1.53), 현재 흡연하는 그룹에서는 1.82배(95% CI:1.54-2.16)로 높았다. 이에 흡연과 치주질환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환자 스스로의 확고한 인식확립과 더불어 치과위생사는 진료실 내 체계적인 금연교육지도를 함으로써 치주 건강향상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grasp the influence of smoking upon periodontal disease by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moking realities and the periodontal disease risk in adults aged over 19 in our country. In the findings, the mean in CPI of the whole subjects was 1.92. Among 6989 whole subjects, the group whose CPI is 0-2 included 4707 people(67.3%). The group whose CPI is 3-4 included 2282 people(32.7%). As for the group whose CPI is more than 3 when confounder wasn't corrected, the risk on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the group with smoking in the past increased by 1.78 times(95% CI:1.56-2.02),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 smoking. In the group with the current smoking, it increased by 1.75 times(95% CI:1.55-1.82). Even with correcting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diabetes appearance, the risk on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higher by 1.28 times(95% CI:1.08-1.53) in the group with smoking in the past and by 1.82 times(95% CI:1.54-2.16) in the group with the current smoking than the group without smoking at all. Accordingly, smoking was indicated to be related to periodontal disease. Thus, the positive publicity needs to allow patients themselves to establish firm consciousness. In addition, dental hygienists need to perform systematic non-smoking educational guidance within doctor's office. Thus, it is thought to necessarily contribute to improving periodontal health.

      • KCI등재후보

        직무만족 및 전문직업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분석

        지민경(Min-Gyeong J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및 전문직업성과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치과에서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어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소속감, 자신감,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은 수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직업성은 학력, 수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주거상태에서 하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만족은 임상경력이 3년 미만일수록, 치과 의료기관의 형태가 병원급일수록, 직위가 책임급 치과위생사일수록 높게 나타났고, 전문직업성은 직위가 책임급 치과위생사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주중 근무 형태가 주중 6일 근무에서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전문직업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전문직업성과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전문화 추세가 강조되고 그에 따른 역할의 확대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의식 고취 및 함양을 위해 그에 맞는 현실적인 방안을 찾는 것과 치과 의료기관 내에서 효과적인 방법의 적용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and turnover intention,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in dental clinics, reduce turnover intentio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them get a sense of belonging, self-confidence, and a good sense of values as professional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income; professionalism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education and income; and turnover intention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boarding for residence status. As for the working condition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linical career, the hospital level for dental care institution status, and dental hygienists in charge for position; professionalism was higher with dental hygienists in charge for posi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with the six-day work week system. For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ism, whic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s emphasis is placed on the tendency of dental hygienists to be professionals and their roles expand gradually,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develop practical plans for inspiring and cultivating a professional sense and to apply effective methods within dental care institutions.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민경(Min-Gyeong J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근무경력 3년 이하 신규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대전 ․ 전북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21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직몰입에서는 근무시간이 9시간 미만인 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직의도에서는 치과 형태가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인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양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과는 음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이 낮을수록, 직무소진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5.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신규 치과 위생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나 요인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건강한 전문직업인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 관리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We have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a self-conducted survey on June 1st through August 30th of 2015. The average of committing into a workforce from the group of participants who work less than 9 hours was shown as high and the average of an intentions of turnover from the group of participants who work at dental clinics or university hospitals was shown. The intentions of turnovers and an job stres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an Burn out, and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tentions of turnovers are shown to be higher when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ower; this also applies when Burn out and job stress is higher as well. The explanation variance appeared remarkably high as 55.1%. In conclusion, effects in intentions of the new dental hygienists transferring jobs were because of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 out, and job stress. Thus, the programs to manage those causes should be operated in order for them to be able to work in a healthy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