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거주 이민자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역할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미영 ( Ji Miyou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2

        한국 거주 이민자 한국어교육은 중앙부처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이들이 실제 생활하는 지역인 지방자치단체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더불어 사회구성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이민자의 원활한 정착의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는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강구하고자,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거주 이민자에 대한 한국어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한 후, 지방자치단체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위한 역할 정립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인 이주민 대상 관련 부서에서 대상자 별로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주관부서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 운영 여건 개선으로, 한국어교육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한국어교육 강좌 개설, 외국인 이주민 한국어교육 참여자에게 교재비 정도의 학습비 징구 가드라인 마련, 학습동아리 및 배달강좌를 활용한 지속적인 한국어 교육 지원, 한국어교육 운영기관 및 한국어 학습자 등에 대한 온라인ㆍ오프라인 정보망 구축으로 정보 공유를 위한 정보의 장 마련을 제안하였다. 셋째, 한국어교육 교수-학습요건 개선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을 담은 교재 마련, 지역사회 고유의 언어와 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 지원. 한국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기회 제공을 제안했다, 재교육에 대해 거의 모든 한국어 교사들이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한국어 교수법, 관계 법령에 대한 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s living in Korea has been driven mainly by the central government. But Korea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local municipalities where they live in. At this time, we must ensure it is possible to polish the knowledge necessary to make a living as a member of society with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we want to propose a plan for establishing a local government’s role in the promo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fter examining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living in Daejeon to get effective suppor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ficiency which is the necessary for smooth settlement of immigrants in Korea First of all, it must be provided with a main department that can be integrated to supp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sporadically operated by the subject from the relevant departments of foreign immigrants subject. Second, w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ducation course of resident autonomy center for accessibility improvemen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a guard line of tuition which covers teaching materials costs only, continuing education support for study groups and the construction of online off-line information network for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student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operating environment, Third, we proposed to make educational material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tinuous support for operation of the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that has been designed a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munity and provide re-education for the competence strengthening of Korean teacher to improve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Almost all Korean teachers are feeling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want to have courses of teaching method an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 KCI등재

        기혼여성의 대학원 학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일반대학원 교육학과를 중심으로

        지미영(Miyoung, Ji),장카이(Kai, Zhang),SONG CHAOJING,ZHAI LIXIA,서영주(Youngjoo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이 연구는 다양한 환경을 가진 한국, 중국 기혼여성의 연구중심 대학원 학업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가정과 학업 사이의 고민, 어려움, 극복 내용 등을 탐구함으로써 그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실질적인 개선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B시 소재 일반대학원 학업을 경험한 5명의 기혼여성(중국인 2인, 한국인 3인)을 대상으로, Clandinin & Connelly (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그들이 대학원 학습경험과 기혼여성으로서의 학업병행 생활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3번에 걸친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초 코딩작업을 거쳐 최종 결과,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라 최종적으로 세 개의 주제(themes)가 도출되었다. 결과 첫째, 기혼여성은 대학원 재학 과정에서 학업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학업 적응과 더불어 일, 가사와 병행하는 데 생기는 시간적 부족을 겪고 있었다. 또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감과 미안함을 겪고 있었다. 둘째, 기혼여성은 대학원 생활의 어려움을 일상으로 받아들이며 ‘익숙해짐’으로 순응함과 동시에 본인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겪으며 오히려 생활의 원동력을 얻고 있었다. 셋째, 기혼여성의 대학원 생활에 있어 온라인 수업 등의 이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개선과 동료들의 이해와 배려, 국가적 차원의 기혼여성대학원생에 대한 복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교육학과 미래후속 연구 인력으로서 기혼여성대학원생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학교 측면, 국가적 차원의 복지 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to consider practical improvement plan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the general graduate school, such as the anxieties, difficulties, and overcoming content between family and study. Methods For 5 married women (two Chinese and three Koreans) who have experienced general graduate school studies in city B,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2000), they experienced graduate school learning and their academic lives as married women at the same time. looked at Data collection was individually conducted through thre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ree themes were finally derived according to the final result and the proposed research problem through basic coding work. Results First, the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were experiencing a lack of time for both work and household chores as well as academic adaptation to overcome academic disconnection during the course of attending graduate school. In addition, they were experiencing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and feeling sorry for them. Second,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accepted these difficulties as a daily life and adapted to ‘getting used to’, and at the same time wen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ir own identity, rather getting a driving force for life. Third,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suitable for online classes, etc., to understand and consider colleagues, and to provide welfare for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at the national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as future follow-up research personnel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welfare at the school and national level.

      • KCI등재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지미영(Miyoung Ji),이영남(Youngnam Lee),김리현(Rihyu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epth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ho were homeschooled in a life history study. The specific research agenda is to look at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in the course of life for homeschooled adolescents, and to look at the turning points in life in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in-depth interviews from August 2022 for adolescents who had homeschooling for eight years from the age of 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andelbaum’s life history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areas of life are defined as “Family Life Area - Fantasy in Career Development with Jjangi’s Family,” “School in the System - Why Jjangi could not find meaning in school 1,” and “Jjangi and Jangjeonggi 2 in Career Development” who discover themselves through homeschooling. The turning point in life is ‘Meeting a role model - Real life in class with a role model and career development 1: Back to institutional education to become a doctor’. The adaptation methods were analyzed as “the crisis is an opportunity- turning the grades in classrooms into reality and positive thoughts learned at the cram school,” “fight with oneself-reality in career development 2: being stricter with oneself,” and “standing again like a Ottogi-leaving the cram school and beginning a journey of new challenge.” In the conclusion section, opinions were suggested on what is necessary for teenagers who were homeschooled in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지미영(Miyoung Ji),소애진(Aijin Xiao),책리하(Lixia ZHAI),서희(XI XU),윤희정(Heej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는 2025년 한국 고교학점제의 전면적 실행을 앞두고 점차 증가하는 교사들의 우려를 해소할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들은 한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강하며, 20년 전부터 이미 고교학점제를 실행하고 있는 중국에 주목하여, 중국의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고교학점제의 이해 정도와 운영 성과에 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이 중 운영 성과가 미흡하다고 판정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국 고교학점제의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고교학점제를 준비하는 한국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2020년에 고교학점제 실행 방안을 재수립한 중국 후난성(湖南省)의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247명의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이 경험한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도의 이해, 운영에 대한 평가, 문제점의 원인 및 양상, 제도의 개선안의 영역에 대해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빈도분석, ANOVA 분석하였다. 제도의 개선안에 대한 질적 자료는 주제어 분석과 축 코딩을 이용한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도와 근무 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성과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응답 결과는 반 학생 수, 나이, 교직 경력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운영에 있어 주저해 요인으로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적합한 교수 역량 및 운영의 전문성 부족,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대입과의 연계성 부족 등으로 인식하였다. 그들이 제안하는 개선안으로 졸업학점 축소, 제도 간소화 및 자율화, 상주 전문교사 배치, 학부모 인식 개선, 교사의 전문성 교육 강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고교학점제를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국적인 안정화를 가져오지 못했고, 이는 이 연구의 결과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중국의 사례가 전면적인 도입을 앞둔 한국 고교학점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결론지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한국의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교육공동체에 적극적인 고교학점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 지도와 진로 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전담 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교사 연수 프로그램 기획 시 교사의 나이 및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고교학점제의 졸업 이수 학점을 줄이고 학교별 또는 지역별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적 관리제도에 대한 정비와 합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address the growing concerns of teachers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his study focused on China, which has a strong cultural homogeneity with Korea and has already been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20 year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to Korean high school teachers preparing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causes and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of the Chines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eachers who judged that their operational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47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s in Hunan Province, China, who re-established a plan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0,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or the understanding, evaluation of the operation, cause and pattern of problems, and areas of the system improvement plan were analyzed by basic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25.0. Qualitative data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ystem were analyzed using the main word analysis and axis coding. Results Both Chines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of working schools were found to be moderate.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class students, age, and teaching career. Chinese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teaching competence and expertise suitable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factor of hesit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and college entrance. The improvements they proposed were able to achieve results such as reducing graduation credits, simplifying and liberalizing the system, deploying resident professional teachers, improving parental awareness, and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Despite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past 20 years, China still has not brought about national stabiliza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se Chinese cas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about to be fully introduced, and suggest as follow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ducate and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deploy a dedicated teacher with expertise in students' subject selection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The age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duce credits for graduation fro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trengthen autonomy by school or reg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agree on the academic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코로나19 대응 원격교육에 대한 유학생 학습참여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요인

        책리하(Lixia, Zhai),박창언(Changun, Park),지미영(Miyoung,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의 코로나 19 대응 원격교육에 대한 학습 참여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요일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학생을 고려한 원격교육에 대해 시사점을 제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에 있는 P 대학교에서 2020년 8월부터 12월까지 원격교육을 받은 유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관련 변인과 학습참여도 및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결과 그 결과, 유학생의 학습참여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에는 TOPIK 등급, 원격교육에 대한 태도, 원격수업의 난이도 인식 차이, 면대면 수업 참여도, 인터넷 활용능력, 자기효능감,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감이 있으며, 학습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에는 재한기간, 원격교육에 대한 태도, 수업의 인식된 난이도, 컴퓨터활용 능력, 강의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의 양, 인터넷 원활 정도, 자기효능감, 코로나로 된 불안감이 있음을 규명하였다.결론 본 연구에서 규명된 예측 변인을 토대로 온라인 국제교육실 운영 등 온라인 협력 교육 프로그램과 원격교육의 질을 보장할 교육방법을 제언하고 원활한 인터넷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원격수업을 위한 사전 교육, 학생 관리 프로그램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purposes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learners that affec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response to Corona 19 in distanc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to raise implications for distanc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228 international students who received distance education from P University in 2020. Result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related variables,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that correlate with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include TOPIK grade, attitude toward distance education,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ifficulty. Factors that correlate with learning satisfaction include majors, duration of study, attitude toward distance education, and it’s difficult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anxiety caused by Corona 19, act, were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distance education, and self-efficacy, attitude toward distance education, ect, were the variables that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prepare a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China and both countries to prepare a variety of online environments for distance education, and a study on the learning management progra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