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lver Oxide를 이용한 올레핀 촉진수송 현상 연구

        지다혜,강상욱,Ji, Dahye,Kang, Sang Wook 한국막학회 2015 멤브레인 Vol.25 No.1

        기존의 올레핀 운반체로 알려진 은 나노입자는 입자 표면에서 프로필렌 기체와 상호작용을 하여 올레핀 촉진수송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은 나노입자가 공기 중에 쉽게 산화되어 표면에 생성된 산화은(AgO 또는 $Ag_2O$)의 효과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산화은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고분자 PVP에 AgO 또는 $Ag_2O$를 5 wt%로 넣고 분산시킨 후 전자수용체 TCNQ 또는 p-BQ를 0.005~0.02%까지 넣어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전자수용체가 첨가되면 산화은의 표면에 양극성화도 분산 정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였고, 이는 기체투과 성능과 XPS 그리고 TEM에 의해 분리막의 특성이 확인되었다. It was known that the polarlized surface of silver nanoparticles could be interacted revesibly with olefin molecules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However, it was thought that it can be regenerated by interaction between oxide surface of AgNPs and olefin molecules because the surface of the silver nanoparticles is easily oxidized in the ai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ilver oxide, 5 wt% AgO or $Ag_2O$ was dispersed in polymer PVP solutions and 0.005~0.02% electron acceptor as TCNQ or p-BQ were added to fabricate the separation membrane. After the addition of the electron acceptor, it was expected to improve the polarity on the surface of the silver oxide and the degree of disper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ion membrane were identified by the gas permeance, XPS and TEM.

      • SCOPUSKCI등재

        금속 함유 이온성 액체 촉매상에서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합성

        문예지 ( Ye Ji Moon ),지다혜 ( Dahye Ji ),김동우 ( Dong Woo Kim ),김현국 ( Hyeon Gook Kim ),조득희 ( Deug Hee Cho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2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metal-containing ionic liquid catalysts were prepared by metal insertion and characterized by various physicochemical analytic methods.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the metal containing ionic liquids in the cycloaddition of CO2 with propylene oxide (PO) to produce propylene carbonate (PC) was investigated under the solvent free condition. The order of approximate rate constants (Kapp) for the metal containing ionic liquid catalysts was (MeIm)2ZnCl2, > (MeIm)2FeCl2 > (MeIm)2CuCl2. These results are in accord with the experimentally obtained activity order of the different metal containing ionic liquid catalysts.

      • 딸기 중 침투이행성 살충제의 장기간 잔류특성

        이승화 ( Seung Hwa Lee ),지다혜 ( Dahye Ji ),김숙향 ( Suk Hyang Kim ),장현민 ( Hyun Min Jang ),권진선 ( Jin Sun Kwon ),황을철 ( Eul Chul Hw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경남지역의 일반적인 겨울철 시설재배 딸기는 9월경 정식하여 12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연속수 확이 가능하지만 긴 재배기간 동안 다양한 병해충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특히 봄철 연속수확기에는 응애, 진딧물, 총채벌레 등의 방제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설재배(품종: 설 향) 시험포장에서 2화방 결실과의 본격적인 수확기인 2월 중순 침투이행성 살충제인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a.i. 10%)와 스피로테트라멧 액상수화제(a.i. 22%), 비 침투성 살충제 사이에노피라펜 액 상수화제(a.i. 25%)를 7일 간격으로 2회 옆면처리한 후 60일차까지 수확한 딸기의 약제 유효성분 및 대사산물의 잔류특성을 확인하였다. 사이에노피라펜은 처리약제의 유효성분(모화합물)을 분석하였으며, 침투이행성 약제인 플로니카미드의 경우 모화합물 flonicamid와 대사산물 TFNG, TFNA, TFNA-AM, 스피로테트라멧은 spirotetramat(BYI08330)과 대사산물 BYI08330-enol, BYI08330-keto- hydroxy, BYI08330-mono-hydroxy, BYI08330-enol-glucoside을 분석 대상성분으로 하였다. 사이에 노피라펜은 약제처리 직후 0.9~1.0 mg/kg 수준의 잔류량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45일차, 60일차 과실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딸기의 개화결실 이후 수확까지 40일 가량 소요 되는 것을 감안할 때 약제 처리시 과실에 직접적으로 부착한 성분의 잔류 및 소실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침투이행성 약제인 플로니카미드와 스피로테트라멧의 약제 유효성분(모화합물)은 45일차까지 지속적인 감소 경향을 보인 후 60일차에 거의 잔류하지 않았다. 각각에서 잔류가 확인된 대 사산물은 TFNG와 TFNA, BYI08330-eonl, BYI08330-keto-hydroxy 이었으며, 이중 TFNG는 30일차 에 0.1~0.15 mg/kg, BYI08330-eonl은 21일차에 0.2~0.3 mg/kg 수준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여 60 일차에도 잔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물체로 흡수·이행한 약제 유효성분이 대사산물의 형태로 잔류가 지속될 가능성이 큰 침투이행성 약제의 경우에 딸기, 파프리카 등 과실을 연속 수확하는 작물에서의 장기간 잔류특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