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주석진(Seokji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교과목의 효과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사회복지 전공교과목에서의 블랜디드 러닝 형식 PBL의 유용성 및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K 대학교 3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교과지식 전달 위주의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변화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은 주 1회 총 13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의 방법으로 효과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 내에서는 사회복지실천기술,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점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비교집단과의 비교에서는 의사소통능력 점수에서만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실천기술,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교과목에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PBL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blended learning type PBL in social welfare major subjects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skills and techniques Class using blended learning type PBL.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3rd year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Busa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social work skills and techniques Class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type PBL and the comparison group conducted the social work skills and techniques Class for the transfer of subject knowledg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 total of 13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was analyzed using the pre-post test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cores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all improv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work skills and techniques Class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type PBL but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only the communication ability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Conclusions The social work skills and techniques Class using the blended learning type of using the blended learning type PBL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 welfare practice skill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lended learning type PBL in the social work skills and techniques subject to improv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ocial workers.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생활변화가 아동과 보호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주석진(Ju, Seok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코로나 19 발생이후 아동과 보호자의 생활변화는 어떠하며 이러한 생활변화가 이들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초등학생 아동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총 678부를 최종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과 보호자는 대체로 비슷한 일상생활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나 정신건강(우울, 불안, 스트레스)문제에 있어서는 보호자가 아동에 비해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과 보호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생활변화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동의 우울에는 학년과 스마트폰 중독수준, 보호자의 잘못된 훈육강화가 영향을 미쳤고 불안과 스트레스는 성별, 스마트폰중독수준, 보호자의 잘못된 훈육강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의 우울에는 아동의 미디어 사용증가,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아동에 대한 잘못된 훈육강화, 가계소득 감소가 영향을 미쳤고 불안에는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아동에 대한 잘못된 훈육강화, 아동의 돌봄 부담 가중, 가계소득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스트레스에는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아동에 대한 잘못된 훈육강화, 아동의 돌봄 부담 가중, 가계소득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과 보호자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맞춤형 개입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lives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how these changes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in Busan, Korea, and a total of 678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experienced similar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but the caregivers reported more difficulties in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an the children did. Second, the changes that affected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were different. Specifically, Children’s depression was affected by grade, smartphone addiction level, and strengthening of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while their anxiety and stress were affected by gender, smartphone addiction level, and strengthening of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Caregivers’ depression was affected by an children’s increased media us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level, strengthening of the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and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Caregivers’ anxiety was affected by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level, strengthening of the caregivers’ inappropriate discipline, increased burden in child care, and a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Further, stres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level, inappropriate discipline, increased child care burden, and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a customized intervention plan is proposed addressing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 KCI등재

        이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효과분석

        주석진(Seokji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이러닝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일상적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 활용한 수업내용은 기존에 출판된 문제해결능력 교재들과 참고자료들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4년제 대학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이러닝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 수강한 학생 22명과 일반 이러닝 교과를 수강한 학생 20명 총 42명이다. 조사도구는 창의적 자기효능감, 일상적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척도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이러닝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비교집단과의 비교에서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창의적 사고 자기효능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밖에도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서는 역시 비교집단과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다만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대안개발에서만 동일집단 내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이러닝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기존 대면수업 방식(토의기반 학습, 프로젝트기반 학습 등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대학생들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도록 하거나 문제해결에 있어 대안개발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using e-learning on creative self-efficacy,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class content us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based on previously published problem-solving skills textbooks and reference materi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students, 22 students who took the e-learning creative problem-solving course opened as a liberal arts course and 20 students who took the general e-learning course at a 4-year university in Busan. As a survey tool, creative self-efficacy,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scales were us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 using e-learning improv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but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reative thinking self-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creative self-efficacy. In addition, in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 using e-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did not have the same effect as the existing face-to-face teaching methods (discussion-based learning, project(problem) based learning, etc.) However, it confirms the fact that it can be of some help in making college students have the belief that they can be creative or develop alternatives to problem-solv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