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른 차이 및 영향력 분석

        주라헬(Rachel Ju),조수선(Susan Jo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른 상·하위 두 집단 간의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를 비교하고 이들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주도 학습이 높을수록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보다 높은 몰입을 경험하며 학습에 대한 만족과 성취 측면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과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 간에는 상위 및 하위집단 모두 정적인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영향력의 크기는 상위 집단은 학습참여, 하위 집단은 인식된 학업성취에서 가장 컸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주도 학습이 높은 학생들은 학습의 과정을 보다 중시하는 반면, 자기주도학습이 낮은 학생들은 학습의 결과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이 온라인 학습 성공을 위한 핵심적인 역량임을 재확인하고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에 다르게 작용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upper and lower -performing groups concerning self-directed learn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undergoing online learning. The study then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two groups, on these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upper-performing group showed higher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of the lower-performing group. Second, both upper and lower-performing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variables, including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the upper-performing group was most significant on student engagement and in the lower-performing group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ult shows that students with high self-directed learning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hile students with low self-directed learning place more value on the learning outcom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a core competency for online learning success and affects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에 따른 콘텐츠 품질 비교 및 콘텐츠 품질, 서비스 품질이 학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라헬 ( Rachel Ju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COVID-19로 인해 대학에서는 비대면 수업이 실시됨에 따라 원격수업 유형별 제공되는 콘텐츠의 품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콘텐츠 품질과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D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데이터 가운데 4,253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에 따라 콘텐츠 품질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동시적 원격수업보다 비동시적 원격수업에서 콘텐츠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품질, 비동시적 콘텐츠 품질, 동시적 콘텐츠 품질 순으로 학생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은 동시적 및 비동시적 콘텐츠 품질과 학생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시적 및 비동시적 콘텐츠 품질은 학생 만족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서비스 품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OVID-19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원격수업의 질적 제고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주요 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content provided by each type of distance learning as non-contact courses are conducted in colleges because of COVID-19,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tudents’ satisfac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D university’s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d 4,253 responses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hypotheses posi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ontent qua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ance learning, the perception of content quality was higher with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than with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econd, service quality, asynchronous content quality, and synchronous content quality have a direct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Third, service qual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nchronous, asynchronous content quality, and students’ satisfaction. That is to say,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ntent quality have a direct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but it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rvice quality. Presently, as COVID-19 continues to prolifera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affirms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and presents major tasks to act upon.

      • KCI등재

        ChatGPT가 교육 및 학술연구 분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국내외 연구동향 검토

        주라헬 ( Rachel Ju ),최예린 ( Yerin Choi ),송지훈 ( Ji Hoon Song ),유명현 ( Myunghyun Yoo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volving landscape of educational technology, with a focus on the rapid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ies, exemplified by ChatGPT. The objective is to discern challenges and chart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utilizing databases such as DBpia, Riss, Kyobo Book Centre, Google Books, Web of Science, and Scopus. The integrative review covered literature until August 26, 2023, yielding insights from 404 studies. Notably, research featuring ChatGPT as an author exhibited a notable surge, particularly in books. Additionally, studies concentrating on ChatGPT ’s application were predominant in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often employing quality assessment and case analysis methods. The study identifies opportunities in education, including facilitating lifelong learning, fostering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and alleviating instructors ’ burdens. However, it also highlights threats such as potential misconceptions, deepening educational disparities, and a decline in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academic research, opportunities encompass heightened research productivity, improved quality, streamlined paper reviews, and overall increased work efficiency. Conversely, threats include potential constraints on research originality, challenges to academic integrity, and risks of bias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overcome barriers and enhance the positive impact on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의 편리성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수선(Joe, Susan),주라헬(Ju, Rache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자발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경험한 편리성이 인지된 이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과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편리성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 학업성취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자발적 학습 환경에서도 편리성은 온라인 학습의 주요한 긍정적 측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편리성과 학업성취 인식간의 관계에 있어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은 단일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함께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편리성을 경험할 경우 이용 용이성을 높이고 이는 유용성으로 이어져 학습만족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 인식으로까지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성공을 좌우하는 학습자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혜택과 수행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 설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호환, 학습자료 및 녹화물에 대한 접근성 강화, 방역기준 내에서 적절한 학습 시설 지원 등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연하고 편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nvenience experienced by learners in involuntary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aused by Coronavirus 19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ven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was confirmed that convenience can be a major positive aspect of online learning even in involuntary learning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both single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If learners experience convenienc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ease of use increases, which leads to usefulness, improves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and creates virtuous circulation that leads to a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f online learning, it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and various benefits through onlin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re flexible and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learners, such as compatibility with various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reinforcement of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and recordings, and support of appropriate learning facilities within quarantine standards.

      • KCI등재

        전면적 원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

        조수선 ( Joe Susan ),주라헬 ( Ju Rache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이라는 새로운 학습상황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콘텐츠와의 상호작용, 편리성 인식, 서비스 품질, 학습분량의 적절성으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요인과 학습몰입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와의 상호작용, 편리성 인식, 서비스 품질,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분량의 적절성 순으로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불안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는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콘텐츠와의 상호작용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코로나 불안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반면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원격수업 환경에서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요인이자 교수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의 상황에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가운데 특히 코로나 불안이라는 요인을 조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로 인한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s the university’s novel remote learning setting, due to Coronavirus, has on students’ learning flow. The study categorizes factors of influences into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 interaction, perceived convenience, service quality, and appropriate volume of learning to understand the effects. With each category, the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n how these factors interact to influence the learning flow and show the relationship to Coronavirus anxiety’s moderating effec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learner-content interaction, perceived convenience, service quality,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arning flow. Also, Coronavirus anxiety reflec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flow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content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flow. Consequently, Coronavirus anxiety de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 on the learning flow but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content-learner interaction on the learning flow. In sum, this result suggested that content-learner interaction is a key factor to maximizing learning flow, as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design in remote academic settings.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shed light on Coronavirus anxiety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the pandemic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various ways to improve learning flow in a remote class situation due to the moderating effect of Coronavirus anxiety.

      • KCI등재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주재홍(Jaehong Joo),주라헬(Rachel Ju),홍소정(Sojung Ho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이 선호하는 학생평가 방법을 유형화하고, 하위 잠재 집단 간의 차이를 탐색하여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NAFET)에 응답한 5,213명의 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중심 접근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에 따라 ‘지필평가 지양형’, ‘전통적 평가 지향형’, ‘전반적 학생평가 경시형’, ‘협력 중심 평가 지향형’, ‘개인 작성 평가 지향형’, ‘다면평가 지향형’의 6개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대학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원, 학과의 교육 과정 및 시스템, 교원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향성 모두 교원이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가졌다. 특히 예측 요인에 대한 교원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학생평가를 활용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한 학습자의 학업 역량에 대한 인식, 동료 교원의 인정, 그리고 교원의 학과 적합성 수준은 일부 집단에 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원, 학과 및 학교 차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tudent assessment styles preferred by university faculty and explore differences between sub-potential groups to der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data from 5,213 respondents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in 2022. The mai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x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based on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Second, the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system, and the faculty’s research orient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In particular, a higher awareness of predictive facto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employing various student assessment.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ers’ academic competency, recognition by co-faculties, and the perception of department fit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the each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faculty, department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We also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