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백색광 주사 간섭계의 측정 속도 개선을 위한 서브 샘플링 기법 연구

        천인(In-Bum Chyun),주기남(Ki-Nam Joo)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4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1 No.11

        In this investigation, we explain the sub-sampling technique of white light scanning interferometry (WLSI) to improve the measurement speed. In addition to the previous work using Fourier domain analysis, several methods to extract the height from the correlogram of WLSI are described with the sub-sampling technique. Especially, Fourier-inverse Fourier transformation method adopting sub-sampling technique is proposed and the phase compensation technique is verified with simulation and experiments. The main advantage of sub-sampling is to speed up the measurements of WLSI but the precision such as repeatability is slightly poor. In case of measuring the sample which has high height step or difference,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widely used to reduce the measurement time.

      • KCI등재

        건설CALS시스템과 과태료부과시스템의 연계방안 연구

        김태학(Kim, Tae-Hak),주기범(Joo, Ki-B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논문은 과적업무 담당자의 입력부담 해소와 과적단속비리 근절을 위한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검문소의 계근장비에 검차정보의 자동수집기능을 설치하고, 단속정보의 경우 동일한 정보를 건설CALS시스템과 과태료부과시스 템의 중복입력을 피하기 위하여 연계를 통한 국토관리사무소에서 과적단속정보를 확인 후 과태료부과시스템으로 전 송하면 과적단속 이후의 과태료 부과업무의 진행현황을 파악하도록 하여, 향후 과적단속 업무의 효율적인 수행과 과 적적발 정보에 대한 정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s a type of business representative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burden he want to relieve. In addition, to ensure transparency and to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irregularities in cracking down on overcharging to research. In order to avoid duplicate entry of fixed checkpoints of modern equipment was installed in the automatic collection of information inspection. And, if the information is the same information to crack down imposed the Road Fine system linkage system Constrution CALS system to research. Land administration office imposed a fine after confirmation information to crack down on the auditory system, the auditory crackdown imposed fine and proce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your work si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nd any future crackdown on overcharging gathering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surgical intervention for improved accuracy considering that frequency.

      • KCI등재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수용을 위한 확장목록 개발

        조근하(Cho, Geun-Ha),주기범(Joo, Ki-B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건설 산업의 정보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표준 화된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 건설 정보화에 대한 큰 변화의 주축이라 할 수 있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분야에서도 정보의 표준화는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는 BIM의 적용을 위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개선안 을 제시하고자 하며, 특히 기존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BIM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각 파셋 별 확장목록을 제시하고자 한다. 확장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BIM에 적용할 경우, 정보의 공유 및 관리가 용이해지며, 통합된 정보의 활용으로 인해 BIM을 구축하기 위한 업무 및 BIM 활용 측면에서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which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adapting informat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suggests construction information with standardization. Currently,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s highly necessary for BIM that is main background of alteration as construction industry informatization. The authors suggest improv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Particularly, extension contents for each facets are suggested to contain BIM. In case of applying extended classification to BIM, interoperability of information will be enhanced and it is effective to integrate information in phase of using BIM.

      • KCI등재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

        조근하(Cho, Geun-Ha),주기범(Joo, Ki-Beom),송종관(Song, Jong-K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표준화 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으로써, 정보표현의 통일성을 통해 효율적이고 명확한 건설정보 공유 및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북미 및 유럽의 건설정보 분류 체계는 활용도 향상 및 정보화 도구와의 연계를 목적으로 BIM 분야의 분류체계 도입을 위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 한 BIM 분야의 시범 적용 과정을 거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국내 실정에 맞는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표준 화하는 노력을 하였지만 이에 대한 활용비중이 낮으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BIM의 대응을 고려한 개선책이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건설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활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tandardiz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enables extensive information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be shared and exchanged clearly by means of unified information expression. Recently, the constri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 North America and Europe has been revised to adapt to BIM technology and applied to various BIM projects. In Korea, government establish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made efforts to be standardized. On the other hand, it showed low applicability at the practice field and had no revision plan for adapting BIM. In this study, the authors suggest an improvement pla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applying BIM with the purpose of availability enhancement and adaption to a construction environment change.

      • KCI등재

        도로 부대시설 수용을 위한 IFC 스키마 확장 개발

        조근하(Cho, Geun-Ha),주기범(Joo, Ki-B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도로분야의 표준 정보모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도로 부대시설을 대상으로 IFC 스키마를 확장 개발하였다. 국내 도로설계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도로 부대시설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IFC스키마의 엔티티, 타입, 프로퍼티를 정의하여 스키마를 확장 개발하였다. 또한 새로운 스키마를 수용하는 컨버터와 뷰어를 개발하여 부대시설 BIM 모델을 IFC모델로 변환하여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스키마를 통해 변환된 표준 모델을 활용할 경우 도로분야 BIM 발주시 표준화 된 모델 기반의 납품 및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단계 뿐만 아니라 시공, 유지관리 단계까지 IFC를 활용하는 토목분야 개방형 BIM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Extension IFC schema of subsidiary facilitie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 information model standard for roads. The IFC entities, types and properties for subsidiary facilities were def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oad design documents for the extraction physical component and design information. The converter and viewer for applying the new schema were then developed. Subsidiary facilities BIM models were converted to new IFC models to verify the research results. Standard BIM-based delivery and verification systems are enabled by using a standard model converted by new schema. Furthermore, it can establish an open BIM environment using an IFC over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

      • KCI등재

        BIM 기반 유지관리정보 모델링을 위한 객체분류목록 개발

        송종관(Song, Jong-Kwan),조근하(Cho, Geun-Ha),원지선(Sun, Ji-Won),주기범(Joo, Ki-Beom),배시화(Bea, Si-Hw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는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 비용의 83%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시설물의 효과적인 관리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부 터 관리하기 위해 BIM 객체 기반의 분류목록을 개발하였다.이 분류목록을 개발하기 위해 건설정보분류체계,건축전기설비 설계기준,조달청 물품목록분류를 분석하였으며,객체분류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그리고 각 기준을 비 교 분석하여 KSF1540:2010(CAD도면 작성 원칙과 기준)의 ‘도면의 분야 코드’를 분야분류인 대분류로 구성하고,건설정보 분류체계의 부위분류를 중분류로 구성하였으며,조달청 물품목록 분류를 소분류인 장비 및 장치분류로 분류하고 해당 코드 를 부여하였다.본 연구는 설계단계 객체관점의 분류를 제공함으로써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 정보교환 및 공유에 유용할 것이 다.나아가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 기능별,공간별,용도별 장치 및 장비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설물의 효과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essential to effectively manage facilities because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 for them accounts for more than 83% of lifecycle cost. This study developed BIM Object-based classification list to manage information required to operating and maintenance phase of them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In order to develop this classification list,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Criteria for Architectural Electrical Installations, commodity list classification of PPS(Public Procurement Service) were analyzed. and problems for consisting of object classification list were drawn. And each materials is classified that drawings discipline code (KSF 1540:2010 (Principle and criteria for CAD Drawing) was classified as level 1 to cover main areas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was classified as level 2 to cover elements also UNSPSC was classified as level 3 to cover objects for devices and equipments. this classification criteria was given cod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to exchange and share information in operating and maintenance phase by offering object point of view classification in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besides, it is looking forward to effective operating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by enabling management of devices and equipments by function, space, use.

      • KCI등재

        토목 표준도 기반의 BIM 라이브러리에 대한 객체 품질 검증 방법 연구

        문현석(Moon, Hyoun-Seok),김창윤(Kim, Changyoon),조근하(Cho, Geun-Ha),주기범(Joo, Ki-B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4

        국내외에서 건축시설 중심의 BIM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나, 개별 라이브러리 형상에 대한 물리적, 논리적 품질검토 방법을 정의하고 있지 않아 2D로부터 변환된 3D 라이브러리 모델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BIM 라이브러리는 자재 및 부재 제작업체들이 참여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므로 개별 라이브러리의 제작 후 납품시 별도의 품질검토를 통해 인증을 받는 절차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그 활용에 범용성을 가져야 하므로 일관된 검토기준에 따라 객체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 표준도를 기반으로 작성된 토목분야 BIM 라이브 러리를 토대로 기존 2D와 비교하여 물리적 및 데이터 관점에서 정확한 라이브러리 객체가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품질 검토 방법을 구성한다. 본 연구는 건축 및 토목분야의 자재 및 부재 제작업체들이 BIM 라이브러리 객체 납품 시 품질 검토 방법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s-Built BIM 모델의 품질검토를 위한 룰-셋(Rule-Sets) 정보로 활용되어 파라미터 기반의 자동화된 품질검증 시스템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M libraries for architectural projects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However, they do not define physical and logical quality control methods for individual library objects, so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securing reliability of 3D library models converted from 2D drawings. Because the BIM library contents can be built by participating material and member-fabrication companies, after making individual BIM library objects, a certification process through separate quality verification is very important when delivering as-built BIM libraries. Since the BIM library should have generality for usag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quality of BIM library objects according to consistent verification standar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quality verification method for certifying a BIM library object from physical and data perspectives by comparing existing 2D drawings in the BIM libraries built based on standardized 2D drawings from MOLIT. This method could be widely used for quality verification in delivering BIM libraries by companies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operated with rule set data for quality verification of as-built BIM models.

      • KCI등재

        토목분야 BIM 적용을 위한 로드맵 제안 및 정보모델표준 개발 기초연구

        김진욱(Kim, Jin-Uk),문진석(Moon, Jin-Seok),주기범(Joo, Ki-B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2

        건축분야에서는 IFC 표준과 BIM 적용에 대한 다수의 연구 및 적용 사례가 있으나 토목분야는 미흡한 실정 이다. 또한, 최근 공공 발주기관에서 토목사업에 BIM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나 국가차원에서 BIM 표준 및 납품체계 가 마련되지 않아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토목분야에 대한 BIM과 IFC 국제표준의 현황을 분석하고 토목분야의 표준과 납품체계 구축을 위해 토목분야 BIM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한다. 또한 토목분야에 대한 BIM 의 단계적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도로건설분야에 대한 BIM 도입 연구를 우선 수행하고, 현행 도로건설공사를 대상 으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확장 적용한 BIM 정보모델을 작성하고 분석한다. Many research and case study for BIM have mainly been focused on architecture domain. However, it is insufficient to civil engineering domain. Although BIM will be applied to civil engineering domain. because national BIM standard and delivery system of BIM is not ready, these demands are increasing.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FC international standards and BIM of civil engineering domain. Second of all, we established the roadmap for BIM development for civil engineering domain. And this paper studied on the BIM application of road construction for a step by step development of civil engineering. Finally, we conduct case study about road project by applying to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 KCI등재

        도로분야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을 위한 국내외 지침 및 발주사례 분석

        서명배(Seo, Myoung-Bae),김진욱(Kim, Jin-Uk),최원식(Choi, Won-Sik),주기범(Joo, Ki-B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1

        도로분야에 BIM을 활용하여 수량산출, 설계예산서 작성, 공정관리, 간섭검토 등을 하고자 하나 이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 등 관련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BIM 적용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배포되어 있는 다양한 토목 BIM 관련 가이드라인 및 발 주문서 등을 수집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성과품 목록, 납품파일 형식, 기존 2D 기반의 성과품 활용여부, 성 과품 제작도구, 성과품 납품방법 등 5가지 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BIM 활용용도에 따라 성과품 목록, 제작도구 등이 달라 표준화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한 반면, 납품파일 형식이나 납품방법은 유사하여 공통적인 가이 드 제시가 용이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당분간 BIM기반의 성과품이 2D성과품을 대체하기는 어려워 병행하여 납품받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도로분야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을 위한 근간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spite of advantage by using BIM as quantity take-off, schedule control and clash check, absence of guidelines is a barrier to applying BIM to road domain. In this researc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BIM guideline are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the road BIM deliverable submission system. The analysis is classified 5 topics which are BIM submit product list, submit files format, availability of existing 2D based products, BIM authoring tools and submit process. As a result, It needs a lot of effort to standardize BIM delivery system for road domain because BIM submit product list and BIM authoring tools are changable depending on BIM use cases. However, submit files format and submit process are common part to suggest guidelines of road BIM delivery system. It requires to combine BIM and 2D products for road BIM delivery system because delivery products are not exactly alternative 2D based delivery products for the present. The authors expect this research to use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BIM deliverable submission system in road domain.

      • KCI등재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후 발생한 대퇴골 골절의 부정정렬

        김엽,전용,주기,허해룡 대한골절학회 1999 대한골절학회지 Vol.12 No.1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has become a common method of treatment for femoral shaft fractures in adults. But sometimes the malalignment of the femoral fracture results in pain, limb length discrepancy, and traumatic osteoarthritis of the knee, etc.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what makes the malalignment after the femoral shaft fractures. We performed CT scan in 46 patients who had femoral shaft fractures, treated by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at the orthopaedic department of the Kwangju Verterans Hospital. There were thirty-five men and eleven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36 years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e measured the rotational deformity of both femurs by the CT scanning and the angulation deformity by plain radiographs in forty-six patients. We also compared the amount of the angulation and rotational deformity according to the type or the site of fracture, the degree of comminution, the time from injury to operation and the associated injury. Average angulation deformity was 2.7' in sagittal plane and 2.5 in coronal plane. Average rotational deformity was 10.2. Fourteen patients(30%) had angulation more than 5. Ten patients(22%) had rotational deformity more than 15. Angulation deformity was severe significantly at proximal 1/3 fracture, segmental fracture and severely comminuted fracture group. But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otational deform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cture, the amount of comminution, and associated injury, increased rotational deformity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preoperative traction and the intraoperative technique. Therefore, we must determine the accurate entry point of intramedullary nailing and reduce the fracture accurately by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or fluorosco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