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료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성 골종양

        조환성(Hwan Seong Cho),박영균(Yeong Kyoon Park),오주한(Joo Han Oh),한일규(Ilkyu Han),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양성 골종양이 발견되는 임상적인 상황은 1) 증상 없이 건강 검진 시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이나 교통사고 후 촬영한 영상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 2) 관절염 등의 다른 정형외과적 문제로 촬영한 방사선 사진에서 발견되는 경우, 3) 종양에 의한 통증으로 영상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 등이 있다. 양성 골종양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고 그 질환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겠다. 또한 이 종양이 어떤 종류의 양성 골종양인지 혹은 어떤 치료가 필요할지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악성 골종양의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해서도 반드시 한 번 숙고할 필요가 있겠다. 영상 검사에서 양성 골종양이 의심된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어떤 진단명을 찾아낼 수 없는 경우에는 추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골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여야 하겠다. 본 종설에서는 진료실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그 임상적 중요성이 높은 10종류의 양성 골종양에 대해 임상적 특징과 단순 방사선 사진을 위주로 한 영상의학적 소견 그리고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Benign bone tumors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clinical situations: 1) incidental findings on chest radiograph for health screening without symptoms or radiographs after traffic accident; 2) radiographs for other orthopedic problems, such as osteoarthritis; and 3) pain caused by the tumor. Knowledge of various diseases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diagnosis of benign bone tumors. In addition, one should consider carefully whether or not the les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nign bone tumor or possibility of malignancy so that proper treatment can be decided. In case the diagnosis cannot be confirmed, even though benign bone tumor is suspected on radiography, follow-up radiographs should be taken to rule-out malignant bone tumors.

      • KCI등재

        항법장치를 이용한 골종양 수술

        조환성(Hwan Seong Cho),양석훈(Seok Hoon Yang),박해봉(Hae Bong Park),한일규(Ilkyu Han),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정형외과 영역에서 수술용 항법장치는 인공관절 치환술, 척추경 나사 삽입술, 십자인대 재건술 등에서 그 효용성이 인정되어 왔으나 최근 골종양의 절제와 종양 절제 후 발생한 골결손 재건술에 대해 적용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점차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다. 특히 악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에서 종양의 경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양의 안전한 절제를 돕고 정상조직의 불필요한 절제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수술 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고 종양 절제 후 결손 부위와 모양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사전 주문형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골격재건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항법장치를 골종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방법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정확성 뒤에 숨어 있는 오차에 대하여 숙지해야 한다. The usefulness and accuracy of computer-assisted surgery have been evaluated clinically in many orthopedic fields, including joint replacement arthroplasty, pedicle screw placement, and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f the knee joint. Since several preliminary reports on application of navigation to bone tumor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surgery have recently been issued, navigation-assisted surgery for bone tumors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with regard to its usefulness. In particular, navigation can be helpful during surgery for musculoskeletal tumors, because it can maximize the accuracy of resection and minimize the unnecessary sacrifice of normal tissue by providing precise intraoperative three-dimensional radiologic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helpful in prosthetic reconstruction, because preoperative virtual simulation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size and location of bone defect to be left after tumor resection. Surgeons should recognize that use of navigation systems in bone tumor surgery has some hidden pitfalls. Here, based on our clinical results, we describe the surgical techniques that we have used and include some cautionary notes.

      • 항법장치를 이용한 골종양 수술

        조환성,박일형,문종욱,김한수,Cho, Hwan-Seong,Park, Il-Hyung,Mun, Jong-Uk,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컴퓨터를 이용한 정형외과 수술(Computer-assisted orthopaedic surgery, CAOS) 분야는 인공관절 치환술, 십자 인대 재건술, 척추경 나사삽입술 등의 수술에서 그 효용성과 정확성에 대해 많은 평가가 있었다. 최근에는 골종양 의 절제와 종양 절제 후 발생한 골결손 재건에 적용한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종양과 정상조직 간의 3차원 관계를 보여 줌으로써, 종양의 안전한 절제 뿐 아니라 기능의 보존을 최대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navigation을 골종양 수술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방법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정확성 뒤에 숨어있는 오차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자의 임상 경험을 토대로 종양 수술에서 navigation을 이용할 때 수술 방법과 일반 정형외과 수술에서의 navigation 사용과 다른 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The usefulness and accuracy of computer-assisted surgery have been evaluated clinically in many orthopedic fields, such as, joint replacement arthroplasty,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d pedicle screw placemen. Recently several preliminary reports have been issued on the application of navigation to bone tumor surgery. The main advantage of navigation-assisted bone tumor surgery is that it provides highly accurate three-dimensional radiological information for intraoperative guidance. In particular, distances from tumors to resection margins can be precisely determined using intraoperative three-dimensional images. Accordingly, the technique allows preservation of function to be maximized by minimizing unnecessary resection. However, surgeons should recognize that the accuracies of navigation systems in bone tumor surgery have some hidden pitfalls. Here, based on our clinical results, we describe the surgical techniques used and include some cautionary notes.

      • 견갑부 탄성섬유종

        강현귀,조환성,박원서,이주혁,김한수,Kang, Hyun-Guy,Cho, Hwan-Seong,Park, Weon-Seo,Lee, Joo-Hyuk,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Purpose: We report elastofibroma which is a rare fibrous lesion that most commonly occurs in the between subscapularis and thoracic cage. Materials and Methods: Four patients include one man and three women, the average age was 70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six months. Two patients had on left side, two patients had on both sides. Main symptom was palpable mass. One patient complained mild pain, two complained scapular snapping. Results: All four masses removed with marginal or wide margin. Average mass size was 9.7${\times}$7.2${\times}$3.8 cm. Preoperative symptoms disappeared after surgery. All of the patients have returned to their daily living and showed no recurrence.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limitation of shoulder motion and winged scapula. Conclusion: Elastofibroma scapulae can be diagnosed through patient's age, tumor location and radiological finding without preoperative biopsy. When patient is symptomless, observation is enough without surgical operation. Surgical operation considered for relieve of symptoms of pain and snapping. 목적: 탄성섬유종은 드물게 견갑하부와 흉벽사이에서 발생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단기간에 경험한 예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4예로 남자 1예 여자 3예이며, 평균 연령은 72세(65~77세), 추시 기간은 6개월(4~8개월)이었다. 4예 모두 견갑골과 흉곽 사이의 견갑골 하방부에 발생하였다. 2예에서 좌측에 발생되었고 2예에서 양측으로 발생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촉지되는 종괴 외에 1예에서 견갑부 동통, 2예에서 견갑부 탄발음, 1예는 무증상이었다. 결과: 4예 모두 변연절제술 이상의 절제연을 가지고 제거하였으며 절제해 낸 종괴의 크기는 평균 9.7(7.5~11.5)${\times}$7.2(4.4~11)${\times}$3.8(3~5) cm 이었다. 술전 증상들은 술후 모두 소실되었고, 4예 모두에서 술후 1개월부터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추시 기간 동안 관절부 운동범위 제한, 익상견갑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고, 증상 재발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갑부에 발생된 탄성섬유종은 환자의 연령, 발생위치,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술전 진단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진단적 생검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증상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 없이 추시 관찰이 가능하고 동통 및 탄발음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증상의 호전을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소아 악성 골종양의 치료에서 확장형 종양대치물의 이용

        한일규,이상훈,조환성,오주한,김한수,Han, Il-Kyu,Lee, Sang-Hoon,Cho, Hwan-Seong,Oh, Joo-Han,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효과적인 항암 약물요법의 발달과 사지의 절단술에 따르는 기능적인 경제적인 비효율성은 뼈의 원발성 암 환자에서 사지 구제술의 발달을 가져 왔다. 소아에서의 사지 구제술은 종양의 광범위 절제 시 성장판이 같이 절제되어 건측과의 사지 길이 차이가 발생하게 될 수 있고 소아 환자들의 왕성한 활동성 때문에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건술이 필요하다. 소아 환자에서 악성 골종양의 절제 후 성장한 만큼 대치물의 길이도 같이 늘일 수 있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expandable tumor prosthesis)을 이용한 재건술이 시행되어 왔으나 모든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진 못하였다. 최근 들어 확장형 종양 대치물의 발달로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면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사지 길이를 맞추고 종양 대치물의 수명을 길게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의 적응증, 특성 및 합병증 등에 대해서 짚어 보고자 한다. With the advent of effective chemotherapy and the realization of high economic cost associated with amputation, limb salvage surgery has become the standard of treatment in children with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of children has to address the leg length inequality and also has to be durable to cope with high functional demands of young patients. Expandable endoprostheses have been used in children for achieving limb length equality with substantial risk of complications. Recently, significant advances in prosthetic designs have reduced the morbidities associated with these pros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ndications, characteristics, complications and recent developments of expandable endoprostheses used for malignant bone tumors in children.

      • 섬유성 골 이형성증에서 시행한 골 이식술의 결과 분석

        정원주,김태성,조환성,윤종필,박일형,Jeong, Won-Ju,Kim, Tae-Seong,Cho, Hwan-Seong,Yoon, Jong-Pil,Park, Il-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섬유성 골 이형성증은 신호전달 G 단백의 alpha 소단위체 유전자 변이에 따른 양성 골격계 질환으로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보인다. 기능적 장애, 구조적 변형를 방지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종양소파술 후 발생한 공동을 메우는 골 이식술이 시행된다. 이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시행한 섬유성 골 이형성증 치료로서 자가 해면골 이식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가 해면골과 동종골, 동종골만을 사용한 경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섬유성 골이형성증으로 진단된 58 명 중 수술 후 1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26.7세(범위, 2-57세)이었고, 남자는 13명, 여자는 21명이었다. 자가 골이식은 모두 장골에서 채취한 망상골을 이식하였고, 동종골은 골은행에서 기증받은 뼈를 이식용으로 재처리하여 이용하였다. 자가 해면골만 이식한 경우(I군)는 5예, 자가 해면골과 동종 골, 혹은 동종골만 이식한 경우(II군)가 29예였다. 재발, 이차적 변성 같은 합병증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관찰하였으며 각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섬유성 골이형성의 재발이 4예(11.4%)있었으며, 자가 해면골 이식술 시행한 군(I군; 1예 20%)과 자가해면골과 동종골, 혹은 동종골만을 이식한 경우(II군; 3예, 10.3%) 간의 재발율을 Kaplan-Meie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다(p=0.554). 재발한 경우는 모두 소파술 및 자가골이식술을 다시 시행하였으며 재수술 후 재발은 없었다. 낭종 같은 이차적 변성이 확인된 경우가 1예, 병적 골절을 보인 경우 1예가 있었으나, 악성변화를 일으킨 경우는 없었다. 결론: 섬유성 골 이형성증 환자들에게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 자가 해면골 또는 동종 골 이식술을 시행한 양 군에서 재발,병적 골절 같은 합병증의 결과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종양의 부피가 작고 병변의 위치가 체중이 가하지는 부위가 아닐 경우에는 자가 해면골 이식 또한 좋은 방법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Fibrous dysplasia is related to the mutation of gene encoding the alpha-subunit of a signal-transducing G-protein and has variable clinical cours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prevent functional disorder or structural deformity. After curettage, autologous bone graft were used to fill the defects after curett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 of autogenous cancellous bone grafting and allogenic bone grafting for fibrous dysplasia.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 our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April, 1997 to October, 2013, we selected 34 patients who diagnosed fibrous dysplasia and visited our clinic over 1 year. There were 13 males and 21 females. Average age was 26.4 (range 2 to 57) years old. Autogenous bone graft (group I) in 5 cases, Non-autogenous bone graft (group II) in 30 cases. Iliac bone is used in all cases of autogenous bone graf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ollow-up period, preoperational laboratory finding between two groups. Radiographic image was done to evaluate the recurrence of fibrous dysplasia or secondary degeneration. Results: There were four cases in recurrence (group I: 1 case, group II: 3 cases, p=0.554). In all recurrent cases, reoperations were done using curettage and autogenous iliac bone graft. There was no re-recurrence after reoperation. One case of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 was confirmed (group II) and 1 cases of pathologic fractures had developed (group I: 0 case, group II: 1 cases, p=0.559). No malignant change occurred.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utogenous bone graft group and non-autogenous bone graft group. Our result suggested that autogenous bone graft seems to be good method to treat fibrous dysplasia, in the case of small volume of tumor lesion or non-weight bearing portion.

      • 골육종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치료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최은석,한일규,조환성,김한수,Choi, Eun-Seok,Han, Ilkyu,Cho, Hwan Seong,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목적: 본 연구는 수술 전 항암 약물 치료가 전이가 없는 골육종 환자의 생존율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사지에 발생한, 전이가 없는 원발성 골육종으로 수술적 절제술과 수술 후 항암 약물 치료를 시행한 30세 미만의 환자 225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14.4세, 평균 추시기간은 9.1년이었다. 수술 후에만 항암 약물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 전, 후 약물 치료를 시행했던 두군의 임상적 특성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225예 중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은 32예, 수술 전후 약물 치료 군은 193예였다.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은 절단 수술과(p<0.001), 전이의 빈도가 유의하게(p=0.004) 높았으며, 전이 발생시기도 빨랐다.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에서는 5년 생존율 51%로 수술 전후 약물 치료 군의 84%보다 낮았다(p=0.001). 국소재발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사지에 발생한 골육종 환자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 치료는 전이의 억제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Purpos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of surgic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non-metastatic osteosarcomas.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225 young (<30 years old) and non-metastatic osteosarcoma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84 and July 2010. Mean age was 14.4 years old (ranged: 4-29 years old)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9.1 years (2-28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metastasis-free survival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Results: All of 225 patients,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193 patien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rate of amputation (p<0.001). Metastasis was occurred in 101 patients.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indicated significant higher rate of metastasis (69% vs 41%, p=0.004) and early development of metastasis (mean: 11.5 vs 20.3 months, p=0.045)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Fifty-seven patients were died of osteosarcoma.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revealed significant lower rate of 5-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51% vs 84%, p=0.001). Adult (>15 years) and large sized tumor (>8 cm) were meaningful risk factors of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Although, local recurrences were occurred in 13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eoadjuvant chemotherapy offers better disease-specific survival and metastasis-free survival.

      •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 분석

        천상호,박일형,조환성,김도형,Cheon, Sang-Ho,Park, Il-Hyung,Cho, Hwan-Seong,Kim, Do-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2

        목적: 골 거대세포종 환자들의 치료결과 및 재발률을 평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 받은 거대세포종 환자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54예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54예 중 남자 27예, 여자 27예로 평균 나이는 33.1세(13-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7개월(12-104개월)이었다. 결과: 54예 중 21예(38.9%)에서 국소재발이 발생하였으며 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21.5개월이었다. 국소재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진 인자로는 해부학적 위치와 임상적 병기로 하지에서 상지보다 낮은 재발률을 보였으며(p=0.032), Campanacci 분류 grade I이 grade II와 grade III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소파술 후 골시멘트 충진을 시행한 군(28예)과 동종골 이식을 시행한 군(18예) 사이에도 국소 재발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소파술 후 국소 보조요법으로 냉동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골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양세포의 철저한 제거가 여러 부가적인 처치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currence rate of a giant cell tumor (GCT) of the bone.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fifty fou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giant cell tumor of the bone between March 1980 and December 2008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Among 54 patients, 27 were men, remaining 27 were women with the mean age of 33.1 years (range, 13-67 year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67.1 months. Results: Twenty-one patients (38.9%) had a local recurrence. The mean time to recurrence was 21.5 months (range, 2-59 months). The local recurrence rate of the upper extrem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Campanacci classification, patients with a grade I diseae had lower recurrence rate than those with grade II or III dise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s based on cryotherapy, the filling of bone cement or bone grafts and surgical margin. Conclusion: To prevent local recurrence of GCT of bone, curettage of the tumor and elimination of the remaining cells are more important than adjuvant therapy.

      • 연부 조직 종양에서 PET의 유용성: 기존의 진단법과의 비교 연구

        서성욱,박상민,조환성,Seo, Sung-Wook,Park, Sang-Min,Cho, Hwan-Se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최근에는 연부 종양의 진단에 FDG-PET을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진단법과 비교하여 FDG-PET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2001년 3월에서 2002년 3월 사이에 연부 조직 종양으로 진단받은 29명의 환자(남자 16명, 여자 13명, 평균 4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군에서 기존의 검사법과 FDG-PET을 시행하였다. 타당성 검증에서 국소 병변은 모든 경우 조직검사로 판단하였고, 전이 병변은 조직 검사와 6개월 간의 추시 결과로 판단하였다. 각각의 진단은 독립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진단의 정확도와 누적 비용-정확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국소 병변의 진단에서 MRI와 FDG-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91%, 57%, 83% 와 95%, 43%, 83%이었다. 원격 전이의 진단에서 기존의 검사법과 FDG-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7%, 89%, 87% 와 92%, 94%, 93%이었다. 누적 비용-정확도율은 145,000원/% 이었다. 종양의 등급별 민감도 분석에서 고등급의 종양이 가장 비용-효용성이 높았다. 결론: 국소부위의 재발과 잔존 종양의 진단에서 FDG-PET의 정확도는 MRI와 차이가 없었다. 반면, 원격 전이의 진단은 FDG-PET이 기존의 검사 보다 정확하였다. 고등급 종양의 경우 저등급 종양보다 FDG-PET의 유용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Introduction: Currently,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s (FDG-PET) has been investigated in soft tissue tumor especially for tumor detection and noninvasive grading. However, the validity and the efficacy of FDG-PET are still unclear in clinical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FDG-PET in compared to conventional diagnostic imaging studies currently used in the soft tissue tumor. Methods: Between March 2001 and March 2002, 29 patients (sixteen males, thirteen females, mean age, 47 years; a range from 4 to 73) diagnosed with soft tissue tumor were evaluated by both conventional diagnostic imaging and FDG-PET. Valid reference test of the local lesion was the histopathologic diagnosis, which was measured in all patients. The suspecting metastasis in the imaging studies was validated by pathology or follow up imaging for at least 6 months. Each imaging diagnosis was made independently. The accuracy of each diagnostic method was evaluated. The incremental cost accuracy ratio was determined in each diagnostic method. Results: For detection of local lesion,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MRI and FDGPET scans were 91%, 57%, 83% and 95%, 43%, 83% respectively. For detection of distant lesion,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for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and FDG-PET scans were 77%, 89%, 87% and 92%, 94%, 93% respectively. The incremental cost accuracy ratio (ICAR) of FDG-PET for detection of distant lesion was 145,000won/%. According to ICAR for each tumor grade, PET strategy is most cost-effective at high grade tumors. Conclusions: For detection of local lesion such as recurrence or remnant tumor, FDG-PET scan was not more accurate than MRI. However, It was more accurate for detection of metastatic lesion than conventional methods. For detection of high grade tumor, PET was most costeffective than for detection of lower grade tumor.

      • 졸레드론산을 투여한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비전형적 대퇴골 전자하 골절: 증례 보고

        정원주,나상봉,조환성,김준우,박일형,Jeong, Won-Ju,Na, Sang-Bong,Cho, Hwan-Seong,Kim, Joon-Woo,Park, Il-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악성 종양 환자에게서 졸레드론산과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예방적으로 투여받은 경우 이와 관련한 비전형적 대퇴골 골절의 발생 위험성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국내에 지금까지 보고된 예가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고농도 졸레드론산을 지속적으로 투여받았던 환자에서 큰 외상의 병력 없이 우측 대퇴골 전자하 부위의 비전형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로 폐쇄적 정복술 및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Little literature exists about the risk of atypical femoral fracture in patients received zoledronic acid for prevention of skeletal metastasis. We report an atypical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in a patient with multiple myeloma received zoledronic acid. The patient wa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ephalomedullary nai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