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와 상호문화철학 : 공(Sunyata)과 폴리록(Polylog)

        조해정 ( Jo Hae-j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이 글은 나가르주나의 공(Sunyata)과 빔머의 폴리록(Polylog)을 중심으로 한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을 시도한다.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 가능성은 상호문화철학의 중심 개념들이 서구의 전통적인 개념틀을 벗어나는, 불교적 중도 개념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에 있다. 문화들 사이의 상호의존과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상호문화성은 고정된 정태적인 문화 개념에 의해서는 성립 불가능하다. 상호문화성은 문화가 작동되는 장소와 결부된 맥락적이고 유동적인 문화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첩(겹침, Uberlappung)의 개념 또한 고정된 개념적 동일성과 차이에 대한 규명과는 거리가 멀다. 중첩은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를 연결하는 유비적 개념이다. 중관철학의 공의 언어는 이러한 전통적인 서구의 사유 틀을 벗어나는 상호문화철학의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폴리록은 빔머의 상호문화철학적 사유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빔머의 기획에서 폴리록은,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전통들이 동등성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세계철학사 다시 쓰기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들의 폴리포니(Polyphonie)로 이끄는 규제적 이념이기도 하다. 빔머는 폴리록에 의지하여 동등한 문화들의 만남을 위한 선행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중심주의를 비판하는데, 그 비판의 이면은 역사적으로 유럽중심주의에 의해서 제외되었거나 폄하되었던 전통들을 복원하여 문화들의 폴리포니로 이끄는 과정이기도 하다. 즉 빔머의 기획은 중심주의 비판과 폴리록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는 나가르주나의 자성론에 대한 비판과 연기의 드러냄이라는 공의 이중적인 사용과 유비된다. 이러한 공과 폴리록 사이의 유비를 통해서 동서의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대화 가능성 및 비서구의 불교철학에 의한 서구 읽기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focusing on the emptiness(Sunyata) of Nagarjuna and the polylogue(Polylog) of F. M. Wimmer. The possibility of the encounter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lies in that the central concept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approach to the middle-way(中道, Madhyama Pratipad) that is different from the typical Western thought tradition. Interculturality, which represents interdependence and influence relation between cultures can not be established by the fixed static cultural concepts. Interculturality can be established only on the basis of the contextual and fluid cultural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place where culture operates. Furthermore, the concept of overlapping(Uberlappung) that enables intercultural dialogue is also different from identifying the fixed conceptual ident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ept of overlapping is simultaneously such an analogical concept that connects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The terminology of the emptiness(Sunyata) in Buddhism will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hsat repudiate the traditional thinking structure of the West. Polylogue(Polylog) is the concept symbolizing the intercultural philosophical thought of F. M. Wimmer. According to Wimmer`s thought, on the one hand, Polylogue(Polylog) is a method to reach the goal of rewriting the new world philosophy history in which all cultural traditions are equivalently involved, while on the other hand, is also a regulatory idea leading to the polyphony of all cultures. F. M. Wimmer criticizes All kinds of centralism for the precondition of the encounters of equal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ylogue(Polylog). The other side of that criticism is the identical process leading to the cultural polyphony through the restoration of traditions that had been historically excluded or devalued by Euro-centrism. In conclusion, the thought of F. M. Wimmer can be summarized as the critique of centralism and polylogue(Polylog), it can be analogous to the complex usage of the emptiness(Sunyata) which is critique of substantive language and the exposing the theory of causality(緣起, Pratitya Samutpada). By observing such an analogy between the emptiness(Sunyata) and polylogue(Polylog), I want to verify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dialogu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the possibility of Western reading by non-Western Buddhist philosophy.

      • KCI등재

        한국적 혐오현상과 상호문화성의 이념

        조해정(Jo Hae-Je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5

        혐오 현상은 우발적인 사건이 아니라 혐오표현의 주체 내면에 고착된 편견의 발현이다. 혐오표현 이전에 편견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편견은 인식론적으로 이분법적 범주화 과정에서 특정한 대상에 대한 부정적인 편향성이 더해진 고정관념이라고 할 수 있다. 혐오하는 자의 내면에 위치한 이러한 편견이 언어적 형태로 발현되면 혐오표현, 물리적인 폭력으로 발현되면 증오범죄가 된다. 여기서 혐오표현이나 증오범죄의 대상이 되는 소수자란 특정한 집단의 어떤 속성을 이유로, 과거에도 불평등한 대우를 받아왔고 현재도 불이익을 받고있는 집단 내지 그 구성원을 의미한다. 상호문화철학적 읽기에서, 먼저 차별이 발생하는 근원에 대한 내면적 성찰과 함께 혐오와 차별의 결과로서 주어진 비대칭적이고 수직적인 구조의 세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전제로 하는 ‘상호문화적 주체’를 도출할 것이다. 상호문화적 주체란 차이를 차별이 아닌 연대와 공존을 향한 상호문화성의 실현이라는 상호문화적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자각된 주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호문화적 주체가 수행하는 상호문화적 대화에서, 차이는 차별과 배제의 이유가 아니라 동등성으로 참여하는 다성성(多聲性, polyphonie)의 연대와 공존이라는 상호문화성을 확대하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hate phenomenon is not an accidental event, but an expression of prejudice that is fixed within the subject of hate expression. In other words, there is prejudice before hate speech. Prejudice is a stereotype created by adding negative bias toward a specific object in an epistemologically dichotomous categorization process. When this bias, which is located within the majority, is expressed in verbal form, it is referred to as “hate speech,” and when it is expressed through physical violence it is known as “hate crime.” Minorities, who are subject to hate speech or hate crimes, refer to groups or their members who have been treated unfairly in the past and are still disadvantaged because of certain group characteristics. Through a reading based on intercultural philosophy, I will first derive an ”intercultural subject” based on an internal reflection on the origin of discrimination and perform a critical review of the world consisting of asymmetrical and vertical structures due to hatred and discrimination. The intercultural subject refers to a self-aware subject capable of carrying out intercultural dialogue for the realization of interculturality that gravitates toward solidarity and coexistence instead of discrimination. In this intercultural dialogue, it can be seen that differences are not reasons for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ut are opportunities to expand the interculturality, solidarity, and coexistence of polyphonies in which all may participate equally.

      • KCI등재

        현대 다문화사회의 이해를 위한 상호문화철학의 기본정신: ‘중도’ 개념으로 상호문화철학 읽기

        조해정 ( Jo Hae-jeong ),이태승 ( Lee Tae-se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현대사회가 인종문화적으로 다양한 ‘다문화사회’로 규정된다면, 문화적 다양성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주어진 삶의 조건이 되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리고 현대 다문화사회가 문화적 다양성 내지 복수성을 전제로 하는 개념이라면,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관계성 문제는 중요한 문제꺼리일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다문화라는 시대 맥락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불교 중관학과 상호문화철학의 관점에 입각한 문화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다문화 사회가 제기하는 물음들이 문화들 사이의 관계성을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불교 중관학과 상호문화철학의 과제와 일정하게 겹치고, 그런 한에서 중관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방법은 현대 다문화 사회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불교 중관학과 상호문화철학은 ‘중도 존재론’에서 만나는데, 그 연결고리를 ‘중도’와 ‘상호문화성’ 개념에 있다. ‘중도’는 중관학의 철학적 입장을 나타내는 핵심 개념으로서 언어의 세계가 아닌 세계 존재 자체에 대한 통찰로 인도하고, ‘상호문화성’은 상호문화철학의 특성을 규정하는 핵심 개념으로서 문화들의 바람직한 관계성을 위한 규제적 이념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중관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을 통한 중도 존재론에 입각한 현대 다문화사회 이해는, 비서구 전통의 언어에 의한 서구 읽기의 일환으로서, 유럽중심주의적 맥락에 균열을 일으키는 새로운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If modern society is defined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at is ethn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cultural diversity will no longer be a matter of choice, but a means of living. And if the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is a concept that presupposes cultural diversity or pluralism,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ultures will be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aims at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cultures based on Buddhist Mādhyamika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The questions caused by modern multicultural societies are consistently overlapping with the challenges of Buddhism Mādhyamika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in view of inter-cultural relations can be a new approach to overcome some problems. Buddhist Mādhyamika and intercultural-philosophy meet in the ‘middle-way ontology’, and the connection is in the concepts of ‘middle-way’ and ‘interculturality’. ‘Middle-way’ is a key concept that represents the philosophical position of Mādhyamika, leading to insight into the world's existence itself, not the world of language. And ‘Interculturality’ is a core concept that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philosophy, and serves as a regulatory philosophy for the desirable relationship of cultures. Therefore, it is a new research that creates a crack in the European-centrism context as part of the Western reading by the language of non-Western tradition, which is the understanding of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e middle-way ontology through the meeting of Mādhyamika and intercultural-philosophy.

      • KCI등재

        상호문화적 대화의 관점에서 본 플라톤과 나가르주나

        조해정(Jo, Hae-Je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이 글은 ‘중도의 존재론’을 매개로 하여 플라톤과 나가르주나 사유에 대한 소통 가능성을 검토한다. 존재론적으로 중도(中道, madhyamā-pratipad)의 의미는 유무중도(有無中道)를 가리키는데, 나가르주나와 플라톤에게 그것은 각각 연기적 존재, 현상적 존재에 해당된다. 중도의 존재론은 생성하고 소멸하는 이 세계의 존재를 대상으로 한다. 이 세계는 인간 삶이 영위되는 장소이기도 하므로 중도의 존재론은 삶의 문제와 분리되지 않는다. 이로부터 나가르주나와 플라톤의 만남은 최소한 두 가지 겹침을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다. 하나는 이 세계의 존재를 대상으로 하는 중도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철학의 사유가 인간 삶을 위한 탐구이고, 중도의 존재론이 철학의 사유에 속한다면, 플라톤과 나가르주나의 중도의 존재론에 대한 해석에서 삶의 문제와 분리되지 않는다는 관점이 일관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출발점으로서의 겹침은 유사성과 차이를 모두 포괄한다. 유사성의 측면은 두 사유 모두 좋은 삶을 위한 진리 인식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향해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삶이 영위되는 세계는 존재론적으로 중도라는 점에서 포괄적인 겹침을 말할 수 있다. 중도의 모든 존재는 그 경계가 비고 정성의 가변성으로 존재하고, 여러 인(因)과 연(緣)을 조건으로 생성, 소멸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의 겹침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플라톤의 진리 인식은 이 세계에서의 삶을 ‘잘’ 살기 위함인 반면, 나가르주나의 그것은 연기생의 조건으로부터 해방/해탈되는 데 있다. 해탈은 절대적인 자유 내지 종교적 구원이라고 할 수 있고, 그런 한에서 윤리적 주체로서의 의무를 일깨우는 플라톤의 사유와 대립하는 것처럼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Plato and Nāgārjuna’s ideas through ‘middle ontology’. The ontological meaning of middle-way (madhyamā-pratipad) refers to being located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according to Nāgārjuna and Plato, it corresponds to a phenomenal existence, an existence of pratītyasamutpāda, respectively. The middle ontology targets the existence of this world that is created and disappears. This world is also the place where human life runs, so the middle ontology is not separated from the question of life. At least two overlaps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in the encounter between Nāgārjuna and Plato. One is that it focuses on the middle ontology, which is the object of this world, and another is that a philosophical thought is a quest for human life; if the middle ontology belongs to a philosophical thought, it maintains a consistent view that it is not separate from the problems of the lif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iddle-way ontology of Plato and Nāgārjuna. The overlapping as a starting point encompasse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similarity, both point to the same goal of recognizing truth for a good life, and that the world in which life runs is ontologically moderate. All beings of middle-way can be said to be overlaps of similarity because their boundaries exist as non-fixed variability and are created and destroyed under various conditions. However Plato’s perception of truth is to live “well” in this world, while Nagarju’s is to be liberated from the condition of existence. The liberation of Nagarjuna can be called absolute freedom or religious salvation, and seems to be opposed to Plato’s idea to awaken his duty as an ethical subject.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역설’과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

        조해정(Jo, Hae-Jeo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서양철학에서 ‘소크라테스의 무지’에 대한 해석 경향은 지식 ‘회의론’ 과 ‘실재론’이라는 두 흐름 중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는 양상을 보인다. 소크라테스의 무지 표명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회의론의 입장에, 그렇지 않으면 실재론의 입장에 서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해석 경향은 두 가지 점에서 불충분하거나 한계를 가진다. 하나는 플라톤 철학에서 인간의 지혜란 ‘무지의 자각’이라는 것에 대한 철학적 함의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분법적 해석의 틀을 넘어서지 못한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무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위해서 나가르주나와 플라톤에 대한 상호문화철학적 읽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나가르주나의 중관철학은 서양철학의 이분법적 해석 경향을 탈피하고, 소크라테스의 무지가 갖는 철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나가르주나의 ‘열반’의 관점에서 보자면,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자각’이라는 역설의 의미는 플라톤 철학에서 인간이 추구하고 도달해야 할 최고의 지식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무지가 나가르주나의열반과상통할수 있다고해도, 두철학의 전개과정은 확연하게 구별된다. 서양철학에서 신과 인간의 경계는 날카롭게 구별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인 통찰을 지식으로 승인할 것인가의 문제는 예민한 사안이다. 하지만 명상수행에 의한 자각에 바탕하는 불교철학의 전통에서 직관적 지식에 대한 승인문제는 논란거리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직관적 통찰은 신과 인간, 혹은 세속과 열반 사이의 합일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The interpretations on socratic ignorance in the European philosophy have had two tendencies, namely, skepticism and realism related to knowledge. If we accept socratic confession of ignorance positively, we take the position of skepticism, if not, we take the position of realism. But we have two problematic points in these interpretations. The one is not to reveal the meaning of socratic ignorance, the other is not to overcome the tendency of dichotomy. So I will try to read the text of N?g?rjuna and Platon “intercultural-philosophically”, to understand socratic ignorance in a different way. Because I expect to find a useful method to overcome the tendency of dichotomy through the N?g?rjuna"s M?dhyamika, and then I expect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ocratic ignorance. According to N?g?rjuna"s point of view of Nirv?na, I think, the meaning of the paradox of socratic ignorance is related to the end of the knowledge which we have to pursue. Although there are similar aspects between socratic ignorance and N?g?rjuna"s Nirv?na, they have been formed in different traditions each other. Because there is a great abyss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n European philosophy, moreover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regard an intuitional insight as knowledge or not. But the issue hasn"t any problems in the tradition of Buddhist philosophy because Buddhist philosophy is grounded on the tradition of the meditation ascetic exercises. In this tradition it is not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knowledge itself, on the contrary it is important to unify a great abyss between the God and human being, this secular world and Nirv?na by intuitional insigh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중도 존재론적 접근 ② -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과 나가르주나의 ‘공(śūnyatā)’을 중심으로 -

        조해정 ( Jo Hae-j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이 글은 불교 중관학의 창시자인 나가르주나(Nāgārjuna)와 서구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스트 중 한 명인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와의 만남을 시도한다. 나가르주나는 부파와 학설이 난립하던 시대적 상황에서 ‘공(空, śūnyatā)’의 관점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새롭게 해석하여 중관학을 창시했고, 브라이도티는 ‘포스트휴먼(posthuman)’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당면한 시대적 곤경을 헤쳐나가고자 한다. 두 사람의 만남을 위해서 상호문화철학자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모델을 참조할 것이다. 나가르주나의 ‘공’과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은 각각 자신의 논의 전개를 위한 방법적 도구로 도입되어 비판적 기능과 긍정적 기능을 수행한다. 비판적 기능은 실체론과 허무론이라는 양 극단에 대한 비판을 의미하고, 긍정적 기능은 중도 존재론의 전개를 의미한다. 나가르주나의 ‘공’은 한편으로는 실체론적인 상견(常見)과 허무주의적인 단견(斷見)의 두 입장에 대해서는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또한 동시에 붓다 본래의 중도의 연기를 드러내는 긍정성의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또한 이분법적인 근대 휴머니즘의 한계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작동하지만, 실제 맥락에 적합한 ‘지도그리기’와 포스트휴먼 주체 형성이라는 긍정성으로 작동한다. 나가르주나와 브라이도티 사이의 소통 가능성은 서구의 사유와 서구의 전통에서 타자화되었던 비서구의 목소리와의 동등한 만남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동등성의 만남을 조건으로 하는 상호문화철학의 관점에서 서구의 현대철학과 인도의 고대 사상인 중관학의 대화는 그 자체로 변화된 동서 관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āgārjuna, the founder of Buddhist Mādhyamika, and Rosi Braidotti, one of the Western critical posthumanists. Nāgārjuna founded Mādhyamika by reinterpreting the Buddha's teac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emptiness (śūnyatā)' in a time when schools and doctrines were proliferating, and Braidotti has sought overcome the current predicamen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osthuma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 will refer to intercultural philosopher Ram Adhar Mall’s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model. Nāgārjuna’s ‘śūnyatā’ and Braidotti’s ‘posthuman’ are introduced as methodological tools for developing their discussions. Each performs critical and positive functions. Their critical function is criticism of the two extremes of substantialism and nihilism, and their positive function is the development of a middle-way ontology. Nāgārjuna’s śūnyatā has a critical function in opposition to substantialism and nihilism, but it simultaneously has the positive function of revealing the Buddha's original Pratītya-Smutpāda of the middle way. Braidotti's posthuman also operates critically on the limitations of dichotomous modern humanism, but it operates positively regarding cartography in relation to the actual context and the formation of a post-human subject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Nāgārjuna and Braidotti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signifies an equal encounter between Western thought and non-Western voices that have been otherized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is becaus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which is conditioned on the meeting of equality, the dialogue between Western modern philosophy and India's ancient philosophy, Mādhyamika, in itself reveals a changed relationship East-West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