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Sequence Alignment 기법을 활용한 화물 통행의 Trip Chain 분석

        조창현 ( Chang Hyeon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4

        화물차량의 통행패턴은 여객통행에 비해 연구 성과의 누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 내 통행에서 화물차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가용 화물 차주들의 능동적 사업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여객통행에서의 활동기반 수요추정 이론의 발달에 부합하는 화물통행에서의 의사결정 원리에 대한 연구의 기초로서, 화물차량 통행실태 조사의 자료를 분석하여 화물차량 톤급별 평균 통행 특성, 운행효율성, 도착지-도착자유형-적재품목 통행연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화물차량 통행 특성들은 톤급별로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자체I 화물차의 톤급별 특징을 잘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는 화물차량 통행 관련 교통장책 수단 개발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reight travel pattern has been less studied comparing with the held of passenger travel. Nonetheless, the importance of the freight travel has been increasing in urban travel sector, and the research needs on the freight travel demand hence is increasing. The current paper aims to identify, by tons of freight trucks and cargos, the characteristics of mean travel pattern, efficiency or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eight trip chain regarding destination location, destination type and freight type. The study analyzed the nation-wide data of freight travel behavior survey. This study intended to set the starting framework of decision-making principle in freight travel, which has already been popular in passenger travel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o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distinguished among trucks and cargos of different sizes of ton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sight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transportation policy meas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조창현 ( Chang Hyeon Joh ),김진휘 ( Jin Whi Kim ),백진휘 ( Jin Hwi Baek ),안병민 ( Byeong Min Ahn ),라윤형 ( Yun Hyung Rha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4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와 방문자의 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한 후, 방문자 만족도와 지역 축제 평가 결과 간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축제 성공지표가 축제 평가 결과에 반영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축제 지원을 위한 축제 평가 결과와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도 간 관련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지역 축제 성공 정도의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들이 축제 평가 결과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여, 현행 지역 축제 평가의 개선과 관련 후속 연구 수행 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supports promising local festivals needs to well reflect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Many local governments of the country have competitively implemented local festival events, some of which turned to be a success, while others not. This alerts the need for investigating whether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s appropriate, in order to better execute the provincial finance. The paper investigates this using the data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from 2012 to 2014. More specificall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oice dimensions (festival success index)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n identify whether visitors’ satisfaction and festival evaluation resul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s after all indicates whether the festival success index are well reflected in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e findings tell that choice dimensions well explain the visitors’ satisfaction, whereas the visitors’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is potentially implies that the current scheme of the local festival evaluation needs more rigorous validity test and additional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improved evaluation protocol.

      • KCI우수등재

        Daily Travel Pattern using Public Transport Mode in Seoul

        Chang-Hyeon Joh(조창현)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2

        경제적, 환경적 이유에서,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수단 분담율을 제고하는 교통정책은 수도권 지자체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통행행태를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매우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소규모 샘플자료를 이용, 특정한 통행 행태와 몇몇의 사회경제적 혹은 지리공간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횡단면적 분석을 행하는 것이 이 분야 전통적인 연구주제였다. 연구결과는 스냅샷과 유사한, 시공간적으로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한다. 그러나, 통행은 공간적으로 상이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상활동 참여로부터 파생되며, 일상 활동계획 상에서의 활동-통행 간 순서 관계는 통행 행태의 중요한 틀이다. 본 연구는 다차원 정보배열비교법과 핵심정보배열추출기법을 이용, 서울시민의 일일 대중교통 이용 자료인 스마트 카드 자료를 분석하여 서울시내 대중교통 이용 행태의 일반 특성을 탐구한다. 분석 결과 서울 강남/북 간, 버스-전철 연계통행과 간선버스 통행간 통행 행태의 중요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통행패턴은 보통 강북과 강남 권역 안에서 형성이 되어 있어, 자연 장애물인 한강을 건너 강남/북을 가로지르는 통행패턴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강북과 강남 각각의 권역 안에서 CBD를 들르는 통행패턴은 보통 전철 혹은 지선버스-전철의 연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데 반해 지선버스 혹은 간선버스만을 이용하는 통행패턴은 CBD가 아닌 지역으로 목적지가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Transportation policy to facilitate the public mode use is of the foremost importance to the local governments of Metropolitan Seoul, regard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he increasing use of car. Understanding the travel behaviour is essential to the establishment of proper policy to guide more people to the use of public modes instead of private. The paper reports a result of sequential analysis of individual travel behaviour in Metropolitan Seoul, using a multi-dimensional motif search technique applied to Smart Card data that integrates individuals’ different public mode uses. Groups of travel patterns with similar sequential information identified distinctive travel behaviour between Seoul north and south and between metro and bus uses. Travel patterns are more bounded within north Seoul and south Seoul respectively than crossing Han River between north and south. Within north and south, travel patterns visiting northern CBD and southern CBD, respectively, as well as their local neighbour in north and south, often use metro and metro-local bus combination, while travel patterns visiting only the north and south locals without CBDs more use only the local bus line and even only the areal bus line.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연구 : 판교제2테크노밸리 통근자 중심으로

        빈미영(BHIN, Miyoung),조창현(JOH, Chang-Hyeon),손슬기(SON, Seulki)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6

        자율주행 차량 기술을 이용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성공적인 사례들이 세계 여러 도시들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AVTS)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은 아직도 기술적 이슈나 안전에 대한 고려 등에 한정되어 있다. 무엇보다, AVTS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은 AVTS 공급 이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AVTS 이용에 따른 긍정적인 변수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을 선별해 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AVTS에 대한 선호는 결국 AVTS와 다른 교통수단 간의 이익을 전체적으로 비교한 결과에 따른다. 본 연구는 Plackett-Burman(PB) 실험설계에 의해 구성한 선호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자들이 AVTS 포함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선호에 각 교통수단의 여러 가지 특성들 중 어떠한 것들의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2019년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근무하는 통근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통근자들은 저렴한 AVTS 요금, 전체 통근시간 30분 미만 혹은 90분 이상의 경우 AVTS 포함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에 더해, 통근자들의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는 현재 이용 교통수단과 개인 특성들에 의해 추가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Several successful experiences of transit services using th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become a trend in mega cities worldwide. Most discussions on such Autonomous Vehicle Transit Service (AVTS) are yet limited to technological issues and safety concerns. Potential providers of the AVTS are to assess the users’ response to the AVTS in advance of the service launching. Existing studies typically attempt to find salient factors of the AVTS choice among pro-AVTS variables. However, the preference for the AVTS is, after all,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benefit between the AVTS and other transport modes. The paper aimed to develop a preference model by analyzing the data of preference for a transit with the AVTS for the journey to work, given characteristics of a car and a transit with the AVTS. The data is collected in 2019 from the commuters working in Pangyo 2nd Techno Valley of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ommuters prefer a transit with the AVTS for the lower AVTS fare and the commuting duration shorter than 30 minutes or longer than 90 minutes. The preference is also affected by the current mode us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대학생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 선택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양지현 ( Ji Hyun Yang ),조창현 ( Chang Hyeon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1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은 교통 수요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교통 수요 연구와 달리 일반인과 다른 인구집단적 특성을 갖고 있는 대학생들의 통학 등의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을 위한 통행의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일상은 취업자나 중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자율적이나 수업 등의 의무 활동이 혼재되어 있다.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은 업무나 학업 등의 활동과 달리 그 실행의 구체적인 내용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본 연구는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거주지 주변, 학교 주변, 강북 지역, 강남 지역 등의 통행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활동들의 목적지 선택에는 거주지와 성별, 소득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대학생에 특징적인 다양한 해석이 도출되었다. 일반인과 다른 특성의 대규모 인구집단인 대학생의 통행 특성 연구는 교통계획에 시사점을 준다. Destination choice analysis is an important issue of transportation demand research. The current study analyses the influential factors for university students` trip destination choice. The university students differ from other population groups in many aspects. The study is concerned with shopping, leisure and amusement purposes of trips, other than obligatory trips such as going to school. University students` daily life differs from those of employee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nse that a lot of flexible activities are mixed with fixed activities such as work and school attending. A multinomial logit analysis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impact of a set of variables including residential location, gender and income of the university student. The results show that these variables affect the destination choice of shopping, leisure and amusement. The analysis also provides interesting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with the location choices, which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통행사슬 유형 구분을 통한 수도권 전일제 근로자의시간이용 및 활동패턴 분석

        박운호 ( Woon Ho Park ),조창현 ( Chang Hyeon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4

        본 논문은 시간의 제약이 활동 및 통행으로 연결됨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 수도권 전일제 근로자의 평일 시간이용에 집중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근로자는 다른 OECD 국가의 근로자보다 근로시간에 할애하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시간부족현상은 긴 근로 시간으로 인해 근로 외 활동에 제약이생기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삶의 질 문제를 논의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수도권에 거주하는전일제 근로자의 시간 제약이 활동 및 통행 제약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의 수도권자료를 활용하여 통행사슬(trip-chain)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시간이용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시간부족현상이 전반적인 활동의 제약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활동패턴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근로시간 및 교통에 관련된 정책 대안에 함의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활동기반 관점의 삶의 질 측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ime-use and activities are affected by work hours. Toachieve this, we focused on the weekday time-use of full-time work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SMA). The long ‘work hours’ are under active discussions since it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However, manySocial researcher thought that problem of Korean working hours is linked to quality of life in the abstract. Because activity connects time-use and quality of life, the key point is activity under time constraints. Therefore, travel patterns should be understood by time-use and activity patterns. This study composestrip-chains from travel data of 2010 Household Travel Survey(HTS). Grouping trip-chains by activitypatterns, we could make sure that a few of activities after work is affected by a short free time. This studyh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f work hours and traffic problems in the evening, and will providenew geographical perspective related to measuring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