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한복음 8:12-59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

        조재천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1

        서신서와는 달리 복음서 해석에 있어서 고전 수사학의 사용은 일부 비유, 설교와 재판장면에 한정되어 사용되어 왔다. 요한복음의 논쟁기사 본문도 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전반부에서 긴 논쟁기사인 8:12-59를 본문으로 삼아 고전 수사학의 표준 교과서 중 하나인 Rhetorica ad Herennium에 제시된 5단계 체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주제제시-근거설명-논증-부연-요약). 본문은 세 소단락으로 나누어 지기 때문에(8:12-20, 21-30, 31-59), 5단계 체계를 각각의 소단락에 적용할 수 있다. 세 단락은 각기 다른 수사학적 장르를 가졌고(차례대로 법정적, 전시적, 심의적), 5단계의 배열요소 역시 약간씩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수사학적 분석의 결과 내적 논리의 구조가 더 명확하게 파악될 뿐만 아니라 주요한 주제들도 용이하게 분별해 낼 수 있게 된다. 요한복음 8장은 전체적으로 법정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어서 수사학적 기법들을 적용한 해석의 여지가 많다. 첫 번째 단락(8:12-20)은 “나는 빛이라”는 예수의 자기증언의 유효성을 두고 예수와 바리새인들이 심각한 법정적 논쟁을 벌인다. “나는 ~이다” 진술로 표현된 궁극적 계시자로서의 예수의 권위는 빛-어둠의 이분법과 함께 이 단락의 법정적 논쟁을 관통하고 있다. 전시적 수사학의 성격을 띠는 두 번째 단락에서(8:21-30) 매우 단단하게 조직된 5단계의 논리 진행이 발견되며 예수와 그의 논쟁상대자들 사이의 지각능력의 차이가 강조된다. 이를 통해 예수가 가야 할 목적지에 대한 신비로운 진술이 정당화된다. 마지막 단락(8:31-59)은 유대인들을 진리로 초청하시는 예수의 선교적 어조가 드러나는 심의적 수사로 볼 수 있다. 그의 말씀 안에 거하는 자에게 제자도, 자유, 그리고 영생이 약속된다. 논증 부분에서는 생물학적, 그리고 영적 기원에 대한 유대인들과 예수의 열띤 논쟁이 펼쳐지지만 전제의 흐름상 약간의 어색함을 만들어 낸다. 전반적으로 수사학적 분석을 통해 우리는 요한복음 8:12-59의 문예적 성격만이 아니라 신학적 사상의 내용까지도 조금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Using classical rhetoric in interpreting the Gospel narrative has been limited to minimal number of passages, among which are polemical scenes narrated in the Fourth Gospel. This study takes John 8:12-59 as a test case for rhetor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rhetorical arrangement according Rhetorica ad Herennium (propositio-raio-rationis confirmatio-exornatio-conflexio). The pericope is divided into three sub-sections for analysis (8:12-20, 21-30, 31-59) and the five-part arrangement is applied in each section. Each section is distinctive in their rhetorical genres (forensic, epideictic, and deliberative in that order) and the arrangements in the three sections operate in different ways. But the benefits of rhetorical analysis are apparent in all three sections. The rhetorical approach discloses the inner structure more clearly and allows the main themes to be more easily identified. Trading rejoinders, even caustic ones, Jesus and his interlocutors (“the Judeans”) contribute to the revelation of truth in a dynamic fashion. The overall forensic nature of John 8 makes plenty of room for rhetorical tropes. The first section of our pericope (8:12-20) contains a series of argumentative exchanges between Jesus and the Pharisees over the validity of Jesus’ self-testimony, “I am the light of the world.” Jesus’ credibility as ultimate revealer is phrased in the “I am” sayings and the contrast of light and darkness permeates the forensic discourse. The second section (8:21-30) is characterized as epideictic with its five parts neatly organized. By emphasizing the epistemological gap between the two parties, the Evangelist presents Jesus’ mysterious saying about his destiny trustworthy. The third section (8:31-59) is featured with deliberative rhetoric and offers an evangelistic address toward the Judeans. Discipleship, freedom, and eternal life are promised to those who “abide in” the Word. Slightly abruptive in terms of logical flow is its rationis confirmatio in which a heated debate predominates on the biological and spiritual origins of Jesus and the Judeans. Overall, the rhetorical analysis brings in a higher relief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emical scene in John 8:12-59.

      • KCI등재

        성서학 분야 저술과 출판을 위해 유니코드를 써야 할 이유

        조재천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6 No.-

        Writers, editors, and publishers in Biblical studies in Korea often encounter various kinds of difficulties dealing with ancient characters including Greek and Hebrew. Writers have hard time typing them, while editors and publishers find the typed characters turning illegible when they try to change fonts and layouts of the manuscript. One of the major cause for this problem is the use of non-Unicode fonts, especially those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BibleWorks®. Their obvious technical defects notwithstanding, Korean biblical scholars tend to stick with them, probably caught in inertia, and possibly held by other factors—financial, cultural, and even political. With non-Unicode fonts, Biblical scholars will not be able to fully participate with the ever-growing cultural force of going digital and online. The clear alternative and solution to this problem is Unicode. Getting Unicode spread in Korean Biblical scholarship may take a fair amount of confusion and costs at its initial stage, but they will be offset more than enough by the benefits of Unicod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ttitude of biblical scholars themselves, who then can revise the submission regulation of journals and improve the editorial and publicational practices. 한국에서 성서학 분야의 연구결과를 저술하고 출판할 때 저자, 편집자, 출판 실무자들은 그리스어, 히브리어를 비롯한 고대 언어의 표기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겪는다. 저자는 어떻게 표기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고, 어떻게든표기를 해서 제출된 원고를 편집하고 출판하는 실무자들은 저자가 작성한 고대어 표기가 깨지는 것을 찾아내서 고치느라 진땀을 뺀다. 문제의 직접적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즉 고대 언어 표기를 할 때 이미 다른 매체에 되어 있는 것을복사해 붙이는 방식에 의존하는 관행과 비-유니코드 서체를 사용해서 타자하는 관행이다. 유독 한국 성서학자들이 고집하고 있는 비-유니코드 서체(그리고 한컴오피스)는 그 자체의 기술적 한계가 분명하고 저술, 출판 과정에서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날로 가속화되고 있는 문화 전반의 디지털화, 온라인화에 어울리지 않는 소통의 매개이다. 비-유니코드 서체의 단점에 대한 명확한 대안인 유니코드는 처음 도입할 때 적응을 위한 약간의 혼란과 수고를 충분히 상쇄하는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유니코드 도입과확산을 위해서는 성서학자 자신들의 인식 전환이 가장 중요하고 아울러 학술지 편집위원회의 투고 규정과 편집, 출판 관행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서평> As the Romans Did: A Sourcebook in Roman Social History (Jo-Ann Shelton, 2nd ed.,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조재천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17 성경원문연구 Vol.- No.41

        Jo-Ann Shelton’s As the Romans Did is a collection of primary evidence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ves of ordinary Roman people. It contains 473 translations of selections from texts, papyri, and inscriptions concerning fifteen broad general areas of Roman life and society. Chapters are about the structure of Roman society, families, marriage, housing and city life, domestic and personal concerns, education, occupations, slaves, freedmen and freedwomen, government and politics, Roman army, the provinces, women in Roman society, leisure and entertainment, and religion and philosophy. Each chapter consists of translations and general commentary. Shelton’s selection and treatment of the primary material is tailored for students who do not necessarily have facilities for Greek and Latin texts. The breadth, albeit shallow, of primary texts is one of the major qualities of this book. Translation is clear and easily comprehensible, maybe overly so, but the target readers of this book would appreciate it. Shelton’s commentary is generally interesting and brief, a quality both advantageous and disadvantageous. This book serves a wide readership including students of the Bible for the direct relevance of the subjects at hand to the historical milieux in which the Bible was written.

      • KCI등재

        <번역 논문> 신약성서 최신 그리스어 본문(NTG28 및 GNT5)이 번역에 미치는 영향

        조재천 (재)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2023 성경원문연구 Vol.- No.53

        Compared to the previous editions of the Greek New Testament, Nestle–Aland27 and UBS4, the newer editions (NA28 and UBS5) present some thirty-four changes, specifically in the Catholic Epistles. To what extent will this impact the translation of the New Testament? This paper will show that in half of those instances there will be some implication for translators and revisers of the New Testamen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