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 분석(QUAL-MEV)을 활용한 수질개선방안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 모델링은 해당 수계의 오염부하량, 유출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하천수질 목표지점의 수질변화를 모의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QUAL계열 모델은 수질항목, 수역 특성, 기타 기초 자료의 제공여건 등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수질 변화 요소와 기여 특성을 반영한 모의와 해석이 최적화된 QUAL-MEV 모델을 이용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그룹별로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QUAL-MEV는 QUAL2E를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제에 최적화하여 개발한 하천 수질모델이다. QUAL-MEV는 하천의 흐름선을 축으로 수심과 수평 방향으로 완전혼합을 가정하고 있으며, 수지형 하천의 수질변화 모의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 수리학적으로 QUAL-MEV는 하천 유역의 유량과 유입되는 오염 부하량 등에 대하여 정상상태 조건의 모의만 가능한 프로그램이고 용존산소에 대하여는 일주변화의 동적 모의에 활용이 가능하다. 모형은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 하천 수질을 결정하는 오염부하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청호의 수질개선방안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수질오염물질 및 오염원 등 각 인자간의 연관성 및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방안에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량 및 수질모니터링 지점별로 유역을 구분하여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 유역의 지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형분석은 리치별 소유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성사진과 수치지도(DEM)자료를 바탕으로 QGIS의 지형분석 기능을 활용하였다. 모델의 보정·검증은 실측수질의 ±20%이내에 모의되도록 보정과 검증을 수행하였고 모델의 성능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안남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의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구성한 시나리오에서는 축사시설 개선지원(21.1%),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20.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1.8%)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안내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한 시나리오에서는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41.2%), 축사시설 개선지원(15.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0.5%)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대청호 상류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부하량 산정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정책수립 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 일정한 배출경로를 가지고 발생량이 예측가능한 점오염원 처리에 중점을 두고 왔기 때문에 산업도시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오염원처리에 대한 기술수준이 향상되고 점오염원 처리도 효과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 및 호소의 수질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유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책수립 및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발생량, 배출경로 및 발생원인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것으로 강우 시 토양, 도로 등 불투수층의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수질오염물질들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부하량을 산정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안남천 6지점과 안내천 6지점을 대상으로 건기시 및 강우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점별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BOD, COD, TOC, SS, T-N, NH<sub>3</sub>-N, NO<sub>3</sub>-N, NO<sub>2</sub>-N, T-P, PO<sub>4</sub>-P, Chl.a를 분석하였다. 안남천 유역의 건기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수질항목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지표인 TOC-COD의 상관계수가 각각 0.88로 나타났고 TOC-TP의 상관계수가 0.59로 조사되었다 안남천의 강우시 수질오염물질의 부하량경향을 분석한 결과, 건기시보다 강우시에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SS, T-N 및 T-P의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지점 상류부근에 직접 하천으로 유입하는 농수로 및 인삼 재배지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류 및 하류 지점에서는 하천에 직유입하는 농업 비점오염원과 분류식관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오염물질의 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내천은 안내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가 합류된 이후 중하류에서 유량이 0.08 m<sup>3</sup>/sec에서 0.015 m<sup>3</sup>/sec로 증가하였고 BOD는 1.1 mg/L에서 2.4 mg/L로 증가하였다. 강우시 조사 결과, 1차 조사보다 2차조사에서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 유량이 3배 이상 증가하였고 COD, T-P 부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강우로 인해 상류지역의 농업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 독거노인의 건강 복지 서비스 요구도 조사

        정현강(Hyun Gang Jung),안상미(Sangmee Ahn),박문호(Moon Ho Park),김난희(Nan Hee Kim),박건우(Kun Woo Park),조숙행(Sook Haeng Joe),정인과(In Kwa Jung),조인호(Inho Jo),한창수(Changsu Han)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6 노인정신의학 Vol.10 No.2

        Background :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live-alone elder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dramatically. We tried to identify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live-alone elders in community and their needs for public health servic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public health service to promote health and quality of life. Methods :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8 nurses who provide visit-nursing service to live-alone eld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 The half of live-alone elders had disease, but only half of them took appropriate treatment. Barrier to treatment were difficulty to access to medical center, immobility, lack of drive and also poor insight. Conclusion :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 living alone in community, the instillation of public health policy that encompass professional medical service and comprehensive team approach are needed.

      •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 분석(QUAL-MEV)을 활용한 수질개선방안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 모델링은 해당 수계의 오염부하량, 유출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하천수질 목표지점의 수질변화를 모의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QUAL계열 모델은 수질항목, 수역 특성, 기타 기초 자료의 제공여건 등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수질 변화 요소와 기여 특성을 반영한 모의와 해석이 최적화된 QUAL-MEV 모델을 이용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그룹별로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QUAL-MEV는 QUAL2E를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제에 최적화하여 개발한 하천 수질모델이다. QUAL-MEV는 하천의 흐름선을 축으로 수심과 수평 방향으로 완전혼합을 가정하고 있으며, 수지형 하천의 수질변화 모의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 수리학적으로 QUAL-MEV는 하천 유역의 유량과 유입되는 오염 부하량 등에 대하여 정상상태 조건의 모의만 가능한 프로그램이고 용존산소에 대하여는 일주변화의 동적 모의에 활용이 가능하다. 모형은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 하천 수질을 결정하는 오염부하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청호의 수질개선방안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수질오염물질 및 오염원 등 각 인자간의 연관성 및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방안에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량 및 수질모니터링 지점별로 유역을 구분하여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 유역의 지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형분석은 리치별 소유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성사진과 수치지도(DEM)자료를 바탕으로 QGIS의 지형분석 기능을 활용하였다. 모델의 보정·검증은 실측수질의 ±20%이내에 모의되도록 보정과 검증을 수행하였고 모델의 성능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안남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의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구성한 시나리오에서는 축사시설 개선지원(21.1%),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20.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1.8%)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안내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한 시나리오에서는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41.2%), 축사시설 개선지원(15.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0.5%)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대청호 상류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부하량 산정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정책수립 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 일정한 배출경로를 가지고 발생량이 예측가능한 점오염원 처리에 중점을 두고 왔기 때문에 산업도시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오염원처리에 대한 기술수준이 향상되고 점오염원 처리도 효과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 및 호소의 수질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유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책수립 및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발생량, 배출경로 및 발생원인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것으로 강우 시 토양, 도로 등 불투수층의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수질오염물질들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부하량을 산정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안남천 6지점과 안내천 6지점을 대상으로 건기시 및 강우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점별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BOD, COD, TOC, SS, T-N, NH<sub>3</sub>-N, NO<sub>3</sub>-N, NO<sub>2</sub>-N, T-P, PO<sub>4</sub>-P, Chl.a를 분석하였다. 안남천 유역의 건기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수질항목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지표인 TOC-COD의 상관계수가 각각 0.88로 나타났고 TOC-TP의 상관계수가 0.59로 조사되었다 안남천의 강우시 수질오염물질의 부하량경향을 분석한 결과, 건기시보다 강우시에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SS, T-N 및 T-P의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지점 상류부근에 직접 하천으로 유입하는 농수로 및 인삼 재배지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류 및 하류 지점에서는 하천에 직유입하는 농업 비점오염원과 분류식관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오염물질의 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내천은 안내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가 합류된 이후 중하류에서 유량이 0.08 m<sup>3</sup>/sec에서 0.015 m<sup>3</sup>/sec로 증가하였고 BOD는 1.1 mg/L에서 2.4 mg/L로 증가하였다. 강우시 조사 결과, 1차 조사보다 2차조사에서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 유량이 3배 이상 증가하였고 COD, T-P 부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강우로 인해 상류지역의 농업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대청호 상류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부하량 산정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정책수립 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 일정한 배출경로를 가지고 발생량이 예측가능한 점오염원 처리에 중점을 두고 왔기 때문에 산업도시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오염원처리에 대한 기술수준이 향상되고 점오염원 처리도 효과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 및 호소의 수질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유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책수립 및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발생량, 배출경로 및 발생원인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것으로 강우 시 토양, 도로 등 불투수층의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수질오염물질들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부하량을 산정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안남천 6지점과 안내천 6지점을 대상으로 건기시 및 강우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점별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BOD, COD, TOC, SS, T-N, NH<sub>3</sub>-N, NO<sub>3</sub>-N, NO<sub>2</sub>-N, T-P, PO<sub>4</sub>-P, Chl.a를 분석하였다. 안남천 유역의 건기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수질항목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지표인 TOC-COD의 상관계수가 각각 0.88로 나타났고 TOC-TP의 상관계수가 0.59로 조사되었다 안남천의 강우시 수질오염물질의 부하량경향을 분석한 결과, 건기시보다 강우시에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SS, T-N 및 T-P의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지점 상류부근에 직접 하천으로 유입하는 농수로 및 인삼 재배지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류 및 하류 지점에서는 하천에 직유입하는 농업 비점오염원과 분류식관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오염물질의 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내천은 안내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가 합류된 이후 중하류에서 유량이 0.08 m<sup>3</sup>/sec에서 0.015 m<sup>3</sup>/sec로 증가하였고 BOD는 1.1 mg/L에서 2.4 mg/L로 증가하였다. 강우시 조사 결과, 1차 조사보다 2차조사에서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 유량이 3배 이상 증가하였고 COD, T-P 부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강우로 인해 상류지역의 농업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안남천과 안내천을 중심으로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대청호는 금강 중·상류에 건설된 다목적 인공호수로서 대청호 상류유역 연평균 총강수량의 인 약 28억 ㎥(68%)이 유입되고 있고 중부권의 주요 용수원으로 연간 약 16억 ㎥의 생활용수, 공업용수, 관계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대청호 주변에 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수원보호구역 외에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을 지정·고시가 되어 수질보전을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청호 수질개선 및 녹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청호로 직접 유입 하천에 대한 중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류하천별 물환경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오염원 정밀조사를 통한 지류별 오염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수질개선 및 녹조저감을 위한 수질관리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오염원 그룹별로 오염원을 분석하고 하천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하여 대청호의 안남천과 안내천의 수질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오염원 그룹별로 현장을 조사한 결과, 안남천 유역에는 축사 43개소(소 570두, 가금 13,000두), 방치축분 12개 지점 등 축산계 오염원과 인삼재배지 21개소(면적 29,026 ㎡), 비닐하우스 9개소(면적 24,747 ㎡), 홍수조절지 56개소(면적 62,226 ㎡) 등 토지계 오염원으로 확인되었다. 안남천 유역 전체 T-P 배출부하량 중 축산계가 93.8%, 생활계는 5.7%, 토지계가 0.5%의 비율로 확인되어 축산계에 대한 수질관리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남천과 안내천의 현장조사를 통한 오염원 분석 및 하천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안남천·안내천 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축산계 구조적 및 비구조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였다. 수계의 저영향 축산활동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관리방안인 노후화된 시설지원, 축분 수거를 통한 자원화처리와 비구조적인 관리방안인 비가림막 도우미 제공, 주민들에 대한 환경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계 관리 방안으로는 안남천·안내천 유역의 홍수조절지의 불법 경작에 대한 해결 및 경작지의 축소와 농업 비점오염원의 유출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령이 골수 간엽줄기세포 분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진혜진(Hye Jin Jin),최수진(Soo Jin Choi),배윤경(Yun Kyung Bae),이수연(Soo Yeun Lee),길명옥(Myeong Og Gil),박찬미(Chan Mi Park),왕준호(Joon Ho Wang),오원일(Wonil Oh),양윤선(Yoon Sun Yang),조인호(Inho Jo),김철기(Cheol-Ki Kim),송해룡(Hae-R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인간 골수로부터 간엽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기증자의 나이에 따른 분화능력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연령 그룹 (n=16, 12.5±5.8세)와 고연령 그룹 (n=4, 48.5±7.2세)으로 나눠 총 20명의 환자로부터 동의를 얻어 골수를 채취하였고, 채취한 골수로부터 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하였으며, 세포 형태와 면역표현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포의 노화를 두 그룹에서 계대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골, 연골,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하기 위해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으며, alkaline phosphatase, von Kossa, safranin O와 oil red O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20명의 골수에서 모두 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하였고, 저연령 그룹에서 획득한 간엽줄기세포의 수가 고연령 그룹에 비해 약 5배 많았다. 세포의 노화는 두 그룹 모두 10세대 이후에서 나타났으며, 면역표현형도 두 그룹에서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골, 연골, 지방세포로의 다양한 분화능력을 보였으며, 두 그룹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골수 기증자의 나이는 골수 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Purpose: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tiation capacity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btained from human bone marrow (BM) according to the age of the donors. Materials and Methods: MSCs were isolated from the BM of young (n=16, 12.5±5.8 years) and elder (n=4, 48.5±7.2 years) patients with the consent of them. We analyzed the cell morphology and the cell surface markers of the MSCs. In addition, we assessed the cell senescence with serial cultures from both age groups. Cell pluripotentiality was analyzed by osteogenic, chondrogenic, and adipogenic induction media. We performed RT-PCR, a measurement of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nd staining with von Kossa, safranin O, and oil red O stain. Results: All of the MSC samples tested, irrespective of the age of the donors, MSCs were all successfully isolated from twenty bone marrows. However, the number of cells of from the young donors was five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elderly donors. Senescence was observed over 10 passages in both age groups. The immunophenotypes of both age groups showed similar patterns. MSCs obtained from young and older donors showed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osteogenic, chondrogenic, and adipogenic lineages with no difference for both age groups. Conclusion: Our study supports that age does not influence the pluripotential capacity of human BM derived MS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