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유형과 특성

        조인경(InKyung Ch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고 행복에 대한 구체적이고 주관적인 의견을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행복감의 유형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Q 방법을 적용하였다. 36명의 연구대상자가 34개의 진술문을 분류하였고 9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QU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유 아교육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 1 유형은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과 시간을 보내며 자유롭게 행동하고, 예쁜 곳에서 사진 찍는 것을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즐거움 추구형이다. 제 2 유형은 현재만족-물질 지양형으로 자신의 현재에 만족하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물질적인 행복 을 바라지 않는 유형이다. 제 3 유형은 성취 지향형으로 하는 일을 인정받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로또 당첨과 같은 행운, 원하는 만큼의 보수를 버는 것을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종교 지 향형으로 바르게 종교생활을 하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eeling of happiness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perceive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e 34 selected Q-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by 36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N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ur types of the feeling of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ere identified. Type 1 is ‘the pursuit of pleasure' type. Type 1 students think that happiness is ‘spending time with family or loved one', 'taking photos in good places'. Type 2 is ‘the satisfaction with current status and less interest of material well-being' type. Type 2 students think that happiness is 'having positive attitude' and 'don't pursue material well-being'. Type 3 is ‘the pursuit of achievement' type. Type 3 students think that happiness is 'getting recognition for work', 'doing their own thing', 'fortune such as Lotto', 'getting paid as much as they want'. Type 4 is ‘the pursuit of religion' type. Type 4 students think that happiness is 'living religious life'.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인성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반응 분석

        류칠선(Ryu, Chill-sun),조인경(Cho, In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인성교육 과정에서 어떠한 반응이 나타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D시의 H유치원 만 5세 54명이다. 유아들에게 총 20주 동안 인성 교육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2명의 교사가 유아들의 인성 행동에 대한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저널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성 교육을 실시한 초기, 유아들의 생각과 행동은 일치하지 않았으나, 인성 교육에 대한 다양한 활동과 바른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를 실시한 후 유아들은 바른 행동을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유아들은 교사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우고, 지속적으로 지도가 계속되자 유아들은 실생활에 적용하며 바람직한 행동을 보였다. 후기에는 교사가 없을 때도 바람직한 인성행동을 스스로 지키며 만족하는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search children"s reaction in the course of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process. The subjects was 54 5-year-old at H kindergarten in D city. Two teachers wrote a journal for children"s personality behavior during 20 weeks personality education. Journal was analyzed and following result was obtained. At the beginning of personality education, there was a disparity between what children said and what children did. However children showed to try hard from the heart after the introduction of various activities with regard to personality education and detail examples of good behaviors. In addition, children showed good behaviors in real life after continuous education. At late stage of this study, children showed good behaviors and were satisfied by themselves during teacher"s absence.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성원경(Sung Won-Kyung),이춘자(Lee Choon Ja),조인경(InKyung Ch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0 육아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육과정 실행 연구의 기초 단계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 의 인식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인식을 교사의 직접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있다. 연구대상은 공사립유치원 교사 17명이며, 비구조적 심층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는 내용분석을 거쳐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은 중요한 것이지만 유치원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중 교사의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일계획안을 작성할 때 활동목표 진술과 목표 진술에 따른 교육과정 관련 요소를 작성할 때 였다. 셋째,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을 혼동하고 있었다. 넷째,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도가 높지 않고 여러 가지 문제로 인터넷 자원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을 수업에 적용시키는 것을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 basic stage of a study on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is purposed to review in depth, ho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curriculum and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7 teachers of public/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non-structural in-depth interviews. The meanings of data obtained were derived through content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eachers were thinking that, although curriculum were important, curriculum did not affect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lessons. Second, the curriculum affected teachers when the teachers were stating the objectives of activities to prepare daily plans and when the teachers were preparing factors related to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statements. Third, the teachers confused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urth, the teachers could not utilize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roperly, however, they were utilizing internet resources frequently for various reasons. Fifth, th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kindergarten curriculum to les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