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컴퓨터 불안 결정요인

        조아미(A Mi Cho) 한국청소년학회 1999 청소년학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컴퓨터 불안 수준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성별에 따라 관련 변인들(컴퓨터 사용경험, 컴퓨터 태도, 수학불안, 그리고 컴퓨터 효능감)이 컴퓨터 불안을 어느 정도 설명해 주는가에 대해서, 그리고 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에 재학중인 297명의 중학생이었다. 이 중에서 남학생은 131명이고 여학생은 148명이었다. 컴퓨터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arcoulides의 CAS와 Loyd와 Gressard의 CAS를, 컴퓨터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elgrum과 Plomp의 CAQ를, 그리고 수학불안은 Wigfield와 Meece의 MA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컴퓨터 불안에 있어서의 성차는 컴퓨터 불안의 측정도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Marcoulides의 CAS에 의해 측정된 컴퓨터 불안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Loyd와 Gressard의 CAS에 의해 측정된 컴퓨터 불안에서는 남녀학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컴퓨터 불안의 결정요인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경우, 컴퓨터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Marcoulides의 CAS에 의해서 측정된 컴퓨터 불안의 결정요인이고, Loyd와 Gressard의 CAS에 있어서는 컴퓨터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컴퓨터의 유용성이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여학생의 경우, 컴퓨터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수학불안이 두 척도에 의해서 측정된 컴퓨터 불안의 결정요인이고, 컴퓨터 효능감은 Marcoulides의 CAS에만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a gender difference in computer anxiety, (2) whether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mputer experience, attitudes toward computers, math anxiety, and computer efficacy would predict computer anxiety, and (3) examine what their relative importance w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7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m 131 were males while 148 were females. The results indicted that male adolescents were lower in their levels of computer anxiety than female adolescents in terms of Marcoulides` CAS, but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Loyd and Gressard`s CAS. Positive emotion toward computers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computer anxiety. But usefulness was a significant element for computer anxiety in male students whereas math anxiety and computer efficacy were crucial predictors for computer anxiety in femal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아미(Cho A-M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4 한국청소년연구 Vol.- No.39,40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별과 학교급별로 청소년의 여가동기, 여가만족도,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청소년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br/> 조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403명의 청소년이었다. 이 중에서 남학생이 196명(48.6%)이었고 여학생이 207명(51.4%)이었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중학교 1학년이 97명(24.2%), 중학교 2학년이 43명(10.7%), 중학교 3학년이 40명(9.9%), 고등학교 1학년이 115명(28.7%),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이 106명(26.4%)이었다.<br/>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동기 유형에 따라 여가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른 패턴을 보였다. 둘째, 성별이나 학교급별에 따라 청소년의 여가동기, 여가만족도, 안녕감의 관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동기는 여가만족도나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이 비교적 높다. 넷째, 여가동기 중에서 내재적 동기와 확인적 조절동기는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동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 The correlations among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 by gender and grade were included.<br/> The subjects were 403 adolescents. Among them, there were 196 male<br/> students and 207 female students. There were 180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1 high school students.<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its subtypes.<br/>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well-be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br/> Third,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of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br/> Fourth, internal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had an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척도 개발 연구

        조아미 ( Cho¸ A-mi ),진영선 ( Jin¸ Young-sun ),임정아 ( Lim¸ Jeong-ah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탄력성 개념과 구성요인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대학생용 진로탄력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17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진로탄력성을 ‘진로를 새롭고 유연하고 도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은 창의성, 미래지향성, 도전정신, 유연성의 4개를 제시하였다. 둘째, 진로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근거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창의성(6문항), 유연성(5문항), 도전정신(5문항), 미래지향성(4문항)의 4가지 구성요인에 대한 총 20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제한 점으로는 진로탄력성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의 타당도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으로 사회성을 포함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은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진로탄력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정의하고 이것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20문항의 진로탄력성 측정도구는 수용할만한 수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진로탄력성 척도의 경우, 제한점이 있기는 하지만 추후 진로탄력성 연구가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and component factors of career resilience, and to develop the college students’ career resilience sca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7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was conceptualized as that ability to perceive things to be new, flexible, and challenging. Career resilience was composed as creativity, future orientation, challenging spirit, and flexibility. Second, the career resilience scale was developed by performing the result of the expla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career resilience and component factors. It included 20 items for 4 factors which were creativity(6 items), flexibility(5 items), challenging spirit(5 items), future orientation(4 items). In addition,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that the validity of career resilience scale was not presented. The confirmed factor analysis, conte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should be performed. Also, it was not sufficiently discussed whether sociality should be included or not as a factor of career resilience. These limitations of the study was hoped to be complemented through the follow-up studies.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defines career resilience from new perspective, and provide the scale to measure it. The developed 20 items career resilience scale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Therefore, this instrument will help to activate the studies of career resilience area.

      • KCI등재

        비행친구와 청소년 가출의 관계에서 약물사용의 매개효과

        조아미 ( A Mi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비행친구, 약물사용, 가출의 관계를 살펴보고, 약물사용이 비행친구와 가출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초등학교 4학년 패널 5차년도)에 참가한 2,844명이다. 조사대상자 2,844명 중, 남자 청소년은 1,303명(53.2%)이고 여자 청소년은 1,145명(46.8%)이다. 사용된 변인은 가출여부, 비행친구, 약물사용이었는데 패널조사의 문항을 사용했다. 본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사용했다. SPSS를 사용해서 가출, 비행친구, 약물사용 간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의 z test를 사용해서 약물사용의 매개효과에 대한 크기를 검증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의 가출은 비행친구의 수와 약물사용과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비행친구와 약물사용은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약물사용은 비행친구와 가출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넷째, 비행친구가 청소년의 가출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다섯째, 비행친구가 약물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국내연구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eviant peers, runaway, drug us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rug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naway and deviant peers. The subjects were 2,844 participants of Korea Panel Survey(4th grades, 5th wave). Among them, 1,145 were female youths while 1,303 were male youths. The instrument were the items which used in Kore Panel Survey. One item was for runaway, 6 items for deviant peers, and 2 items for drug use(drinking and smoking). SPSS 15.0 was used to analyze the Korea Panel Data.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implemented and Sobel z test was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unawa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the deviant peers and drug use. Second, the deviant peers is correlated with drug use. Third, drug use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naway and the deviant peers. Fourth, although the deviant peers influence on youth`s runaway, they do not explain the total variance of runaway. Fifth, it is required to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viant peers on drug use.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활동 참여 수준의 유형과 특성 분석

        조아미(Cho, A-Mi),신택수(Shin, Tack-S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인 활동 참여를 유도함에 있어 실증적 분석결과와 논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종단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2010)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의 변화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잠재성장모형과 성장 혼합모형에 기반하여 활동 참여수준의 변화를 유형별로 추정하고, 연도별로 수집된 다양한 청소년활동 관심변인과 유형 집단과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활동의 참여 수준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3개 유형의 변화집단 중 소수(전체의 3.6%)이기는 하지만 초기부터 청소년활동 참여에 적극적인 집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적극적 참여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정서변인과의 유의미한 관계가 지속적으로 관측되어 청소년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정서적 발달 및 안정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youth programs and active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longitudinal study categorized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levels of youth activitie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wth type. Making use of data take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tudy(KYPS), an appropriate number of latent classes in terms of change were detect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nd growth mixtur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and the covariates of change were then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participation levels decreased as time went by. One of 3 latent classes reported high participation levels in both the initial level and changed level, while the probability of being within this group was relatively small(3.6%). In the timevarying covariate analysis, person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across the school year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clearly had an influence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studied.

      • KCI등재

        청소년 심리 ; 자아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 결정요인

        조아미(A Mi Cho),권두승(Doo Seong Kwon)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문제행동과 자아관련 변인(자아중심성,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아관련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 문제행동의 결정요인과 이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춘천소년원에 수감 중인 299명의 비행청소년이었다. 연구대상을 연령별로 보면, 12세가 2명(0.7%), 13세가 9명(3.0%), 14세 27명(9.0%), 15세 88명(29.4%), 16세 96명(32.1%), 그리고 17세 52명(17.4%), 그리고 19세가 4명(1.3%)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행동들 중에서 유흥업소 출입과 음주는 다른 문제행동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행동을 전체적으로 보느냐 아니면 각각으로 나누어 보느냐에 따라 자아관련 변인과의 상관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아중심성과 자아정체감의 경우 이들을 하나의 개념으로 파악하느냐 아니면 여러 하위개념으로 나누어 다루느냐에 따라 문제행동과의 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결정하는 요인들로는 상상속의 청중, 목표지향성, 그리고 대인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self-related variables(egocentrism, self-esteem, self-identity),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variables on problem behavior in inmate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9 inmate adolescents in Chuncheon Juvenile Reformatory. Among them, there were 2 twelve years old, 9 thirteen year old, 27 fourteen years old, 88 fifteen years old, 96 sixteen years old, 52 seventeen years old, and 4 nineteen years old boy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of prohibited places for adolescents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ther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self-related variables was different from whether problem behavior was analyzed by totally or individually. Third,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gocentrism, self-identity, and problem behavior, whether egocentrism and self-identity were considered by totally or individually. Finally, imaginary audience, goal-directed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problem behavior in inmate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대중가요 가수 우상화 현상에 대한 분석

        조아미(A Mi Cho)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과 성별로 청소년들이 그들이 우상으로 여기는 가수들의 행동을 어느 정도 따라하고 있는지, 왜 특정가수를 우상으로 여기는지, 그리고 우상으로 여기는 가수의 의견이 어느 정도 청소년들에게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총 434명의 학생이었다. 그 중에서 중학생은 218명, 고등학생은 217명이었고, 남자는 242명, 여자는 192명이었다. 조사도구는 Raviv 등이(1996) 사용한 우상화의 표현, 우상화의 원인, 그리고 우상에 대한 의존도에 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우선 청소년들의 우상에 대한 모방행동이나 숭배행동은 일반인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청소년들의 보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둘째, 우상에 대한 모방행동이나 숭배행동은 예상보다 적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의 CD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물품구입 행동은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상화의 원인으로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주로 외면적인 측면에 많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고, 여자들은 남자들에 비하여 가수의 모든 면을 중요하게 여겼다. 넷째, 청소년들은 가수에게 전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목소리나 가창력뿐만 아니라 가수에게 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됨이나 예의바름, 재치나 유머성, 성격 등도 특정가수를 좋아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다섯째, 다양한 주제에 관한 우상에 대한 의존도는 청소년들에게 생각보다 적은 편이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우상화 현상이 학교급별과 성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일부만 지지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1) to investigate adolescents` imitative behaviors of their idols according to grade and sex, (2) to analyze the causes of idolization, and (3) to find reliance on idols` opinions. The subjects were 43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m, 218 students were from middle school and 216 students were from high school while 242 of them were males and 192 of them were femal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based ell Raviv et al.(1996)`s study(expression of idolization, causes of idolization, and reliance). Several items were added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dolescents` imitation or worship for their idols were not popular, 2. Althouth adolescents did not imitate or worship their idols, they showed active behaviors in buying their idols` CD or cassette tapes. 3. For middle school student(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an external aspect of pop singers such as dancing style or appearance was important causes for idolization whereas for girls(compared to boys), everything was important to idolize pop singers. 4. Adolescents reported indispensible factors for pop singer not only voice or talent which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important elements for pop singers, but also character or humor. 5. Unexpectedly the effect of idols` opinions about various topics were not significant. 6. Idolizing behaviors among adolesc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