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온기 시설수박 보온관리용 소형터널 자동화 기술개발

        이은영(Eun Young Lee),정주형(Ju Hyung Jeong),임정현(Jeong Hyeon Lim),조승현(Seong Hyon Cho),안병구(Byeon Ggu An),서경원(Kuoung Won Se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시설수박 재배면적(’20)은 8,957ha로써 전체 재배면적의 77.3%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설재배 면적이 증가하면서 저온기 시설 수박의 재배면적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저온기 재배에서는 2 ~ 3중의 비닐하우스 내부에 소형터널을 설치하여 보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형터널 수동 개폐에 의한 노동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비닐 개폐에 장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하우스 간 환경 차이 및 저온․ 고온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온기 시설하우스 내 소형터널 자동화에 의한 노동력 절감 및 소형터널 내 환경 정밀제어로 생육 안정화와 품질향상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온기 시설수박 보온관리용 소형터널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조생흑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2월 19일에 3중 비닐하우스 내에 정식하였고, 야간의 저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선을 설치하여 가온하였다. 시험은 단동형 비닐하우스에서 수동과 자동 소형터널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수동 소형터널은 내부에 폭 30cm의 미니터널을 추가 설치하였으며, 자동 소형터널은 터널 내부에 가온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식부위와 나머지 공간을 구분하는 수직 비닐막의 설치(구획화)와 미설치(미구획화)로 구분하였다. 시험 결과, 활착과 초기생육은 소형터널 내부에 미니터널을 설치하여 야간 온도가 높았던 수동 소형터널 처리가 약간 양호하였으나, 정식 25일 이후의 생육은 수동과 자동 구획화 소형터널 처리 간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착과율은 모든 처리에서 93% 이상으로 높았으며 과중과 당도 등의 과실 특성도 처리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단동형 비닐하우스 10동에서 소형터널 개폐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동의 경우 150분/인/일, 자동의 경우 5분/인/일이 소요되어 자동화 소형터널이 96.7%의 노동시간 절감 효과가 발생하였다.

      • 수박 유전자원의 원예적 형질 평가

        이은영(Eun Young Lee),정주형(Hyung Jeong),임정현(Jeong Hyeon Lim),조승현(Seong Hyon Cho),안병구(Byeon Ggu An),서경원(Kuoung Won Se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유전자원은 신품종 육성, 생명공학 연구의 기본 재료로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최근 생물다양성 협약으로 국가별 종자에 대한 권리 행사 강화로 유전자원의 수집과 보전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자원의 확보와 수집된 유전자원의 유지 증식 및 특성평가가 중요하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수박시험장에서는 2021년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유전자원 150계통을 분양 받아 특성평가를 실시하고, 이미지 정보를 구축하였다. 원예적 형질평가는 관찰형질 13항목(잎 결각 깊이, 씨방솜털, 암꽃 개화기, 과실형태, 과실줄무늬, 과육의 주요색, 종피의 바탕색, 꽃자리 부위 모양 등)과 실측형질 10항목(꽃자리 크기, 과실 줄무늬 너비, 과실 무게, 과피의 두께, 종자의 수, 당도 등)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이미지 정보 3종(수확기 잎, 수확 후 과일, 수확 후 종자)을 구축하였다. 분양받은 유전자원들을 전개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적육흑피 중․ 소과종(자원번호 K247891) 1계통, 황육호피 중·소과종(자원번호 K261085) 1계통, 적육호피 대과종(자원번호 K206989) 1계통 등은 중과종 및 대과종 품종육성 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