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스템공학과 무기체계개발

        조성훈,Jo, Seong-Hun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85 國防과 技術 Vol.- No.81

        최근에 들어서 복잡한 시스템개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체계적인 시스템공학 이해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시스템공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개발 및 생산활동에서 실현시켜 볼 때 모든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시스템개발활동에 직접.간접으로 관련된 사람의 이해에 보탬을 주기위해 1985년도 일본에서 발간된 최신방위기수대성의 일부를 번역하였다.

      • 원불교 마음공부에서 ‘세움(立)’의 의미

        조성훈(Jo, Seong-Hun)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원불교 마음공부의 핵심은 대체로 일상수행의 요법 에 담겨져 있다. 특히 일상수행의 요법 1 2 3조는 ‘경계’를 대하여 정(定)과 혜(慧)와 계(戒)를 세우는 원불교 특유의 마음공부를 제시한다. 정 혜 계의 ‘세움(立)’은혜능이 『육조단경』에서 밝힌 ‘불립(不立)’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소태산이 불법을 계승하는 가운데 자신의 철학으로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이를 통해 ‘경계’에 대한 ‘세움’은 원불교 마음공부 방법의 중요한 원리가 되어 다양한 마음공부가 가능토록 했다. 이러한 마음공부 방법론은 대체로 삼학을 중심으로 한다. 논자는 ‘세움(立)’의 사상이 삼학 수행에만 머물지 않고 사은 신앙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입(立)이라는 문자가 가진 뜻을 인류학적으로 바라보면서 시작된다. ‘땅 위에 서 있는 존재’에서 근원적인 의미를 찾는 것이다. 땅은 원불교 사상에서 은혜에 해당하며, 사람이 ‘스스로 세우는 것(自立)’은 땅을 통해야만 가능하다. 이것이 ‘세움’의 근원적인 뜻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세움’은 원불교 사상에서 삼학 수행과 사은 신앙을 관통하는 보편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소태산이 안티테제로 제시한 ‘세움’은 수행과 신앙을 아우르는 마음공부의 원리가 될 수 있다. The essence of mindful practice(마음공부) in Won Buddhism is primarily contained in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Its articles 1, 2, and 3 present the unique way of mind practice in Won Buddhism, which uprights Samadhi(定), Wisdom(慧), and Precept(戒) of Original Nature encountering sensory conditions. The way of uprightness(立) against sensory conditions as an antithesis of Non-uprightness(不立) in the Platform Sutra by Huineng, the 6th Patriarch of Chan tradition is not only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han Buddhism but also a newly established philosophy by Sotaesa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The method by the uprightness against sensory conditions is a core principle of mind study in Won Buddhism, allowing various types of mind study possible. The methodology of this type of mind study mainly focuses on The Threefold Study in Won Buddhism.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at the idea of uprightness could be applied not only to the practice by The Threefold Study but also to the faith by The Fourfold Grace. It begins by anthropologically looking at the meaning of the word ‘立(uprightness).’ The Chinese character ‘立’ depicts the being on the earth. Won Buddhism regards the earth as grace. Human beings are possible to upright themselves only by the support of the earth. This is the fundamental meaning of ‘uprightness.’ Considering this point, uprightness has universality over the practice by The Threefold Study and the faith by The Fourfold Grace in Won Buddhism. Therefore, uprightness, as an antithesis suggested by Sotaesan, can be a principle of mind study that encompasses both the practice and the faith.

      • KCI등재

        종교교양교육으로 보는 마음공부: 감정, 공감, 취사를 중심으로

        조성훈(Seong-Hun Jo) 한국종교교육학회 2024 宗敎敎育學硏究 Vol.76 No.-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광대학교의 종교교양교육인 ‘선과 인격수련’을 통해 마음공부의 핵심 요소인 감정, 공감, 취사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원불교의 개교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원광대학교의 종교교양교육에 대해 분석한다. ‘선과 인격수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감정의 발생과 인식, 공감 능력의 증진, 그리고 원만한 취사의 과정을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감정과 경계의 상호관계, 감정의 다양성 및 복합성을 조명하며 이들 요소가 마음공부에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한다. [결론] 본 연구는 원불교의 종교교양교육이 감정 인식과 공감 능력을 통합하여 사회적으로 원만한 행동 선택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종교교양교육에서 마음공부가 어떻게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key elements of mind study, namely emotion, empathy, and mindful choice, through ‘Meditation and Character Cultivation’, a religious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 at Wonkwang University. [Contents] The research analyzes the religious liberal arts education at Wonkwang University, which is based on the founding spirit of Won Buddhism. Focusing on the ‘Meditation and Character Training’ course, it investigates the emerg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the enhancement of empathy abilities, and the process of mindful choice. In this process, the study illuminat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sensory conditions, as well as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emotions, examining how these elements play a crucial role in mind stud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religious liberal arts education of Won Buddhism can contribute to socially harmonious behavior choices by integrating emotion awareness and empathy capacity. Particularly, it provides concrete examples of how mind stud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religious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일상의 마음공부(마음의 스쿼트)로서 절 명상에 대한 연구 : 낮춤과 세움의 몸짓을 중심으로

        조성훈(Jo Seong-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본고는 절이 지닌 몸짓의 의미를 밝혀 절 명상이 일상의 마음공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절은 문화적으로 전통 의례나 종교 의식에서 사용되는 몸짓으로 여겨졌다. 그동안 절에 대한 인식은 하강의 움직임인 ‘낮춤의 몸짓’에 집중한 경향이 있고, 이는 절이 지닌 의례적 성격을 잘 설명한다. 하지만 절의 동작은 하강의 움직임에만 머물지 않고 상승의 움직임인 ‘세움의 몸짓’을 통해 완성된다. 한 번의절은 낮춤과 세움이 하나의 몸짓으로 이어져서 완성되는 동작이다. 그런 점에서 절은 기존의 낮춤의 몸짓 외에도상승의 움직임인 세움의 몸짓에 담긴 의미를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절이라는 동작을 낮춤의 몸짓(불교의空)과 세움의 몸짓(유교의 立身)으로 해체하여 바라보고 이를 통해 절이 전통 의례나 종교 의식을 넘어 몸으로 하는 마음공부라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 명상은 ‘마음의 스쿼트’라고 볼 수 있다. 스쿼트는 운동의 영역에서 몸을 낮추고 다시 세우는 동작을 통해 몸의 근육을 강화시켜 건강한 신체를 갖도록 돕는다. 절 명상은 ‘낮춤’과 ‘세움’이라는 몸짓의 특성을 함께 공유한다는 점에서 마음의 스쿼트라 부를 수 있고, 마음의 스쿼트는 기존의 스쿼트가 몸의 근육을 강화한다는 측면과 비교할 때 마음근육을 강화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근육이라는 것은 몸이 지닌 힘을 나타내는것처럼, 마음의 힘을 상징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마음근육’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음근육’ 또는 ‘마음의 힘’이라는 것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텐데, 기존의 절 명상에 대한 연구에서 밝혀진 여러 효과를 살펴보면‘마음근육’이 강화된다는 점을 충분히 밝힐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낮춤과 세움의 몸짓으로 절을 해체하여 해석해 볼때 절 명상은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마음공부의 방법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reveals the meaning of the bowing movement(momjit) and suggests that bowing meditation can be used as a daily mindful practice. Culturally, bowing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gesture used in traditional ceremonies and religious rituals. Meanwhile, the recognition of bowing focuses on the momjit of lowering , which is a descending movement. Bowing s ceremonial aspect is effectively explained in this way. However, the bowing movement is not limited to descending; it is completed by the momjit of uprightness , the action of ascending. A single bow is an action that is done by lowering and uprightening as one momjit. In this regard, in addition to the momjit of lowering, it is vital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momjit of uprightness, which is an ascending movement. This helps in the deconstruction of the bowing movement as a gesture of lowering and uprightness. This serves to illustrate that bowing is more than just a traditional ritual or religious ceremony; it may also be a mindful bodily practice. From this point of view, bowing meditation can be viewed as a squat of the mind . Squats assist you maintain a healthy body by strengthening your muscles as you lower and rise in the area of exercise. Bowing meditation can be compared to a mind squat since it shares the same features as momjit in terms of lowering and uprightness , and the mind squat strengthens the mind muscles rather than the body muscles. However, in this case, the term mind muscle can be used to symbolically convey the mind s power, much like the word muscle communicates the body s power in body language. Of course, other interpretations are available depending on how you accept the terms mind muscle and mind power , but looking at the numerous benefits reported in bowing meditation studies, it is clear that the mind muscle is strengthened. In conclusion, when deconstructing and interpreting the momjit of lowering and uprightness, bowing meditation is a form of mindful practice that can be applied to everyda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