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교육에서 온라인 토론 활성화를 위한 설계 과제 탐색

        조성문(Seong-Mun Cho),송해덕(Hae-Deok So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기업교육에서 온라인 토론을 촉진하기 위한 설계원리를 탐색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토론 및 온라인 토론에 대한 개념, 그리고 기존에 연구되어진 토론학습모형들에 제시된 토론 관련 특징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교육에 온라인 토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주요 원리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론학습모형으로 일반토론모형, 논쟁중심모형, 소집단중심모형, 가치판단 및 추론중심 모형들을 고찰하였다. 토론학습모형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기업교육에서 온라인 토론을 활성화하기 위한 설계 과제들을 학습자 특성, 교수자 역할, 상호작용 설계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sign principles necessary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s in corporate education settings. In preparation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n online discussions were examined. A variety of discussion learning models were also explored such as the general discussion model(Hill’s model), debate-focused models(Debate Model), small group discussion models(Buzz Learning Mod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nd value judgment and reasoning-based models(Kohlberg’s debate model, CEDA model). Implications were then provided for designing online discussion for business training,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facilitator roles, design issues and technology.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직무분석

        곽민지 ( Min Ji Kwak ),조성문 ( Seong Mun Cho ),송해덕 ( Hae Deok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직무를 구성하는 각 임무와 과업을 탐색해보고, 중요도, 난이도 및 핵심역량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DACUM CHART 직무모형을 작성하였다. 직무분석을 위해 7명의 현직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패널로 구성하였으며각각 촉진자와 조정자, 현업내용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부여하여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검증을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93인의 교사에게 설문을 하였다. 결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임무는 7개(A: 특수학급 교수ㆍ학습활동, B: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C: 특수아동 생활지도, D: 특수학급 행정업무, E: 통합교육, F: 보조인력 관리, G: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구성)와 이에 대한 82개 과업으로 구성되었다. 핵심역량으로는 학습활동 내 행동수정하기,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하기, 문제행동 수정하기, 통합학급교사 연계 생활지도하기, 특수교육대상아동정보 관리하기, 장애이해교육 연수 실시하기(학생)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ties, tasks and the core abilities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DACUM method.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n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appointed as DACUM panels. Duties and tasks were analyzed and core job competencies were explored by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frequency of duties by the pan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7 duties and 82 tasks were identified for elementary special classroom teachers. Identified duties includ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 special classroom(A)’,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 classroom(B)’, ‘guidance for special needs students(C)’, ‘administrative work for special classroom(D)’, ‘integrated education(E)’, ‘managing the assistant staffs(F)’ and ‘environment support for the disabled students(G)’. The core ability, consists of tasks, which include error correction, programm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modifying problematic behaviors, cooperative guidance with integrated class homeroom teacher, managing the information of special needs students, and disability education fo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