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상진,Cho, Sangjin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4
본 논문은 다양한 타격 강도와 위치에 따른 징의 음향 차이를 소프닝과 맥놀이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타격 강도는 아주 강하게, 강하게, 약하게로 구분하였고 타격 위치는 가운데, 위, 오른쪽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에는 스펙트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소프닝은 징의 가운데를 강하게 타격할수록 명확하게 관측되었고 주파수 이동 폭은 타격 강도와 주파수에 비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배음에서 두드러졌으며 다른 부분음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발생하였다. 맥놀이는 초기 맥놀이와 후기 맥놀이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가운데를 타격할 때보다 측면을 타격할 때 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더 많은 맥놀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운데를 타격한 경우 초기 맥놀이에 영향을 주는 배음 주변의 성분들이 있음을 밝혔다. This paper describes an acoustic analysis of a Jing, Korean percussion instrument, according to different drive point and blow strength, and this analysis is focused on the softening and beat phenomena. Three kinds of blow strength (very strong, strong, and weak) and three locations of drive point (center, up, and right) are applied, and the spectrogram function built in Matlab is utilized to analyzing the softening and beat of target sounds. The stronger blow you drive to the center of the Jing, the more clearly softening is observed. Frequency shifting is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blow strength and frequency and it is stand out on the harmonics in contrast with that of other partials. Beat of the J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early beat and late beat. The beats by the outside driven Jing are distributed in wider frequency band than the beats by the center driven Jing.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the early beat is affected by few specific partials developed around harmonics for the center driven Jing.
기본소득에 관한 언론 담론분석 - 중앙일간지에 대한 페어클로의 분석을 중심으로
조상진(Cho, SangJ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2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COVID-19는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다. 역사상 처음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었고, 유토피아적 몽상에 머물던 기본소득이 국민의 생활 속 깊숙이 들어오는 계기가 되었다. 2022년 대선 국면에 들어서면 기본소득은 가장 뜨거운 정책의제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본고는 기본소득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앞으로의 추이를 가늠해 보기 위해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이용해 8개 중앙일간지 사설과 칼럼을 분석했다. 그 결과 긴급재난지원금 담론, 기본소득 도입 근거 담론, 기존 복지체계의 재편 담론, 재원마련 담론, 국내외 사례 담론, 공론화 담론 등 6가지 담론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들 담론은 대부분이 충돌 ·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이들 담론은 정치적 고비마다 치열한 권력다툼을 통해 주류담론으로 성장하는 이데올로기 과정을 밟고 있다. 기본소득 논의는 정치권의 정치공학적 접근과 함께 기존 복지체계에 대한 패러다임 대전환이라는 함의를 지닌다. 신자유주의 복지체계가 몰고 온 사회적 불평등과 양극화 심화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방안 중 하나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편적 지원여부, 기존 복지제도의 통폐합, 재원마련 등 넘어야 할 산이 많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COVID-19, which is sweeping the world, has brought about tremendous chang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emergency disaster subsidies were provided, and the basic income, which had stayed in utopian dreams, became an opportunity to enter people"s lives deeply. When the presidential election phase of 2022 enters, basic income is expected to become the hottest policy agenda. This paper analyzed the editorials and columns of eight central daily newspapers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gaug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basic income and future trend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xtract six discourses: discourse on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 discourse on the basis of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discourse on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welfare system, discourse on financing, case discourse at home and abroad, and discourse in public discourse. Most of these discourses showed conflict and confrontation. In addition, these discourses are undergoing an ideological process that grows into mainstream discourse through fierce power struggles at every political moment. The discussion on basic income has the implication of a paradigm shift to the existing welfare system along with the political engineering approach of the political party. This is because it emerged as one of the alternative measures to overcome the deepening of inequality and polarization brought about by the neoliberal welfare system. However, whether or not universal support, integration of existing welfare systems, provision of financial resources, etc. have a lot to overcome, and whether social consensus can be reached will be the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