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토리텔링을 통한 서원문화유산 활용 방안

        조나리 ( Jo Nari ) 단국사학회 2023 史學志 Vol.63 No.-

        최근 문화유산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이 보호와 보존에서 활용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문화유산이 가진 고유의 가치와 특징을 담은 콘텐츠를 개발하여 관람객들이 함께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다만 동일 속성을 가진 문화유산의 경우 콘텐츠와 프로그램이 대부분 중복되어 각각의 문화유산이 가진 특징과 정체성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발굴하여 스토리텔링화 하는 작업과 이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서원문화유산 활용사업 중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우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서원에 배향된 인물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스토리와 다양한 영역을 연계하여 특색 있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저서원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서원문화유산 활용은 방문객에게 문화유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전달하는데 큰 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문화유산 활용 영역이 확대되어가는 과정에서 단순한 체험, 문화유산과 연관이 없는 프로그램은 지양되어야 하고, 각각의 문화유산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 문화유산만의 특징을 가진 스토리를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문화유산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 학문적인 토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ultural heritage shifting from protection and preservation to utilization, it has become a crucial task to develop content embodying uniqu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for audiences to enjoy together. However, cultural heritage with the same attributes often has overlapping content and programs, caus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of each cultural heritage to often be obscured. To solve these problems, it's suggested to excavate the stories inherent in the cultural heritage, transform them into storytelling, and develop related programs. Analyzing excellent cases where storytelling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utilization of Seowon cultural heritage from 2019 to 2022, it was confirmed that storytelling was mainly centered on the characters commemorated at the Seowon, and by developing unique and differentiated programs linked with various areas, visitor satisfaction was increased. As can be seen from the example of Ujeo Seowon,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o the utilization of Seowon cultural heritage has significant benefits in convey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to visitors. As the scope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expands in the future, simple experiences and programs unrelated to cultural heritage should be avoided, and stories that reflect the unique features of each cultural heritage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ppropriate storytelling. To achieve this, accurat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must first be carried out to provide an academic foundation.

      • KCI등재후보

        TTCT 검사를 활용한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 질적 연구

        조나리(Jo, Nari),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조나리, 하주현(2010)의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비교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이다.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사고검사(TTCT, 그림형)에 대한 반응을 질적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로, TTCT 검사를 실시한 후 담임교사에게 ADHD 선별 평정척도(Conner’s 평정척도)를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ADHD 성향아동 40명, 일반아동 45명을 선발하였다. 대상 아동의 TTCT 검사 반응을 질적 분석한 결과 ADHD성향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창의적 강점(운동, 환상영역)반응을 더 많이 보였고 특히 환상영역의 주제비교에서는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는 ADHD 성향 아동들이 더 창조적이며 새로운 표상을 잘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TCT 검사의 3번째 활동에서 ADHD 성향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독창성 보너스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ADHD 성향아동들이 기존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지각하고 유연한 사고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숨겨져 있던 ADHD 성향 아동의 강점, 즉 창의성에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 ADHD 아동의 강점 영역을 찾아서 부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sponse about the creativity thinking test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The target students were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After the creativity thinking tests, there was a request on ADHD Corners Rating Scale to the teacher and as result, there were selected the ADHD students of 40 and the general students of 45. The test results are the followings. Following analysis of response of originality bonus point at third activity of TTCT, the children with ADHD tendency gain the more bonus point of originality than children without ADHD tendency and children with ADHD tendency have the more strong point about movement. Also there is no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at fantasy field. But children with ADHD tendency have the more strong point about mystery, imagination than children without ADHD tendency. Throughout the result of study, it is not that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 behavior of student with ADHD as the problem, able, object of proofreading, but they serve as a momentum to pay attention of creativity, strong point hidden. In addition, when offering a valid education which enhance the strong point of student with ADHD, they occur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which we expect. Further it contributes to develop the self-concept and serve as a momentum to children.

      • KCI등재

        ADHD 성향 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 비교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조나리(Jo Na-ri),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성향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사고, 창의적 산물, 창의적 인성)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충남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9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검사, 창의적 산물검사,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종료 후 담임교사에게 ADHD 평정척도인 ‘Conners’ 평정척도’를 의뢰하였고, 그 결괴를 바탕으로 17점 이상 받은 아동 40명을 ADHD성향 아동으로 선발하였으며, 17점 미만 아동들 중 무선표집을 통하여 45명을 일반아동으로 선발하였다. 연구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창의적 사고검사결과, ADHD성향 아동과 일반아동은 창의성 총점과 독창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ADHD성향 아동의 점수가 높았다. 창의적 산물검사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모든 영역에서 ADHD성향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ADHD성향 아동의 점수가 높았다. 창의적 인성검사에서는 모험심과 인내/집착 영역에서 ADHD성향 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모험심 영역에서는 ADHD성향아동이, 인내/집착 영역에서는 일반아동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숨겨져 있던 ADHD 성향 아동의 강점, 즉 창의성에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 ADHD 아동의 강점영역을 찾아서 부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eativity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The target students were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and the tests were the creativity thinking test, the creativity product test, and the creativity personality scale. After the tests, there was a request on ADHD Cornners Rating Scale to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who got over 17 points were rated to be the ADHD. The numbers of the ADHD students were 40. The students with below 17 points turned out to be 45 through the Random Sampling. The result of the students selected were compared with independent sample t test. The test results are the followings. In th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otal score of creativity thinking test and originality. Also, in the test of creativity product, ADH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last creative personality test, ADHD students showed better results in adventure zone and the genera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patience/obsession field. Throughtout the result of study, it is not that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 behavior of student with ADHD as the problem, able, object of proofreading, but they serve as a momentum to pay attention of creativity, strong point hiden. In addition, when offering a valid education which enhance the strong point of student with ADHD, they occur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which wa expect. Futher it contributes to develop the self-concept and serve as a momentum to children.

      • 기업의 문화예술 메세나 활성화 방법 연구 :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조나리(NA-RI 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Vol.2018 No.6

        인간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문화 예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문화예술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문화예술은 예술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문화예술은 자신감과 창조력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이며, 본질적으로 삶의 희극과 비극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원동력이다. 따라서 문화예술의 보다 나은 발전을 위해 메세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국내 메세나의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활동도 다양해지고 있다. 울산 문화예술 메세나는 산업도시인 울산지역사회 발전, 울산시민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선순환을 통해 소외계층에게 까지 문화예술의 다양한 혜택으로 공공성을 가지며 기업의 메세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The improvement of human standard of living shows great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leisure time and educational standards caused by the five-day workweek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cultural and artistic arts. Culture and art are not just for those who want to be artists. It is affecting our lives emotionally a lot. Cultural arts are essential to developing self-confidence and creativity, and are essentially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tragedies and tragedies of life. Therefore, messages and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Domestic messages are becoming more popular and more diverse. Ulsan Culture and Art Messages meet the needs of the industrial city of Ulsan,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citizens of Ulsan, and through virtuous cycles they are also studying to have the public interest as various benefi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underprivileged.

      • 인터뷰 - 박찬규 (주)태일 대표이사

        조나리,Jo, Na-Ri (사)한국포장협회 2021 包裝界 Vol.341 No.-

        식품 및 생활용품을 위한 연포장재를 생산하는 연포장전문기업 (주)태일은 1985년 박노욱 회장이 설립한 금강화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95년 태일알미늄(주), 2008년 태일화학(주) 등을 거쳐 2009년 (주)태일이 탄생했다. 현재 경기도 안성에 수출품목을 주로 생산하고 있는 제1공장 태일알미늄(주)(대표이사 박준규)과 국내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는 제2공장 (주)태일(대표이사 박찬규)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높은 품질과 신뢰를 바탕으로 연포장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에 성공한 (주)태일의 박찬규 대표이사를 만나 태일만의 강점, 경영 노하우 등 성공 비결을 들어보았다.

      • Interview ① - 허태원 신안산대학교 스마트패키징과 교수

        조나리,Jo, Na-Ri (사)한국포장협회 2021 包裝界 Vol.340 No.-

        포장 전문 인력을 양성할 포장 관련 학과가 생긴다는 희소식이 들렸다. 지난 5월 12일 신안산대학교 세미나실에서 열린 '에이스기계(주)와 신안산대학교 간 상호협력 발전을 위한 협약식'에서 신안산대학교 강성락 총장과 에이스기계(주) 이철 대표이사 등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2022년 신안산대학에 스마트패키징과를 개설하기로 합의했다는 것이다. 스마트패키징과를 이끌어나갈 허태원 신안산대학교 교수를 만나 포장 관련 학과 개설 배경, 스마트패키징과 소개, 향후 계획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인터뷰 - 최민수 (주)팩플러스 대표이사

        조나리,Jo, Na-Ri (사)한국포장협회 2021 包裝界 Vol.339 No.-

        최근 기업은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구조 개선을 실천해야만 지속성장할 수 있다는 'ESG경영'이 화제가 되고 있다. ESG는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버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돈을 벌고, 어떻게 쓰는지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ESG라는 말이 나오기 전부터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성장하고 있는 포장기업이 있다.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연포장 전문기업 (주)팩플러스이다. 지난 6월 23일 연포장재기업 최초로 LOHAS 인증을 취득하고, 알코올타입 그라비어인쇄기를 도입해 친환경 포장재를 생산하고 있는 팩플러스를 찾아 최민수 대표이사와 함께 포장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 인터뷰 - 정희국 (주)태방파텍 대표이사

        조나리,Jo, Na-Ri (사)한국포장협회 2021 包裝界 Vol.344 No.-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외식(外食)보다 내식(內食)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정간편식(HMR)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 진화를 주도하는 포장전문기업이 있다. 전자레인지 전용 포장용기 '찜팩(ZZimpak)'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까지 공략하고 있는 (주)태방파텍이다. '찜팩(ZZimpak)'이라는 새로운 포장용기로 신 시장을 열어가고 있는 정희국 태방파텍 대표이사를 만나 끊임없이 제품을 개발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지, 그 원동력을 가지고 어디까지 나아갈 것인지 정 대표이사의 궁극적인 목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인터뷰 - 최봉규 (주)천일 대표이사

        조나리,Jo, Na-Ri (사)한국포장협회 2022 包裝界 Vol.345 No.-

        지난해 11월 26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제10회 플라스틱산업의 날 기념행사에서 최봉규 (주)천일 대표이사가 '자랑스러운 플라스틱산업인상'을 수상했다. 1991년 3월 광주광역시 하남공단에 플라스틱 포장재 전문 기업 천일산업으로 포장업을 시작한 최봉규 대표이사는 2010년 평동산단에 (주)천일을 설립, 다양한 기능성 포장재와 친환경 포장재를 선보이며 국내 포장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최 대표이사를 만나 친환경 포장과 기능성 포장에 대한 도전을 계속해서 하고 있는 이유, 그리고 그 성과와 향후 목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