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천성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

        조경덕(Kyungduk Cho),정재범(Jaebum jung),남기춘(Kichu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본 연구는 뇌손상에 기인하는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을 분석하여 한글정보처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험자 YKW의 한글 어휘처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모, 1음절어, 2음절어, 3음절어의 읽기수행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림명명과 2음절 추상어의 쓰기수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모의 처리가 곤란하였으며, 불규칙단어보다는 규칙단어의 읽기수행이 우월하였다. 그림 이름 음성명명과 쓰기명명에서는 음성명명에서 반응오류를 보였던 자극 그림에 대하여 쓰기명명에서도 오류를 일으키는 일관성을 보였다. 읽기수행에 비하여 쓰기수행의 수행이 저조하였다. 또한 받아쓰기에서도 불규칙단어의 쓰기수행이 규칙단어의 쓰기수행보다 저조하였다. YKW의 한글 어휘처리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단어의 음독은 비교적 수월하였지만 비단어의 음독은 수월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YKW의 한글 어휘처리는 철자열-음소 대응(grapheme-phoneme conversion)경로가 선택적으로 손상되어,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의 발음정보를 이용하는 직접경로에 의해서 읽기가 이루어진다고 판단된다. YKW의 사례는 영어 난독증의 사례 중 음운성 난독증(phonological dyslexia)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한글 단어명명 시에도 이중경로가 사용된다는 입장을 지지한다.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the acquired Hangul dyslexia is repor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cognitive processing of Hangul word recognition. Reading aloud tasks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YKW’s reading ability. YKW had difficulty in reading nonwords aloud more than reading real-words aloud. It suggests that YKW’s nonword reading aloud deficit results from damage at the level of the grapheme-phoneme conversion. YKW is assumed to have a problem in his ability to convert the orthographic information to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YKW’s reading aloud was performed by the retrieval of the stored representation of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in the mental lexicon. These results support the dual route hypothesis in reading Korean words.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박지연(jiyeon Park),조경덕(Kyungduk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성남 등 수도권 지역에서 통학하는 학생과 각 지방출신의 기숙사 거주학생 334명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공만족도는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의 탐색행동과 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진로준비행동의 탐색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탐색행동과 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탐색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즉, 전공만족도는 진로에 대한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에서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334 junior college students commuting to from Seoul, Gyeonggi, Incheon, and Seongnam metropolitan areas and dormitory residents from each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the scale of major satisfacti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career prepa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the AMOS 21.0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First, the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search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preparatory behaviors. On the other hand,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arch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ut it had a direct effect on the preparatory behavior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search behaviors of career reparation behavio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the prepared behaviors of career reparation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n influence 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bout career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