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9.11 테러사건’의 국제법적 성격

        제성호 한국법학원 2002 저스티스 Vol.- No.66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항공기 자살테러시건’은 현단계의 국제법 하에서 고찰해야 할 많은 법적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9.11 테러사건’의 법적 성격은 가장 선차적으로 검토해야 할 중요한 법적 문제이다. 이는 보는 입장에 따라서 전혀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9.11 테러사건’은 국제테러로서 국제사회의 보호법익을 침해하는 범죄임에는 틀림없으나, 국제범죄의 내포와 외연에 대한 국제사회의 법적 확신 결여로 인해 현단계에서 국제범죄로 속단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은 ‘평화에 대한 위협’을 구성하며, 또한 ‘인도에 대한 죄’에 해당된다. 집단살해죄 성립여부에 관해서는 미국민 집단을 파괴하려는 특정적인 고의의 요소가 존재하느냐에 따라 해답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일응 이를 긍정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9.11 테러사건’이 그 동안 국제사회에서 채택된 3개 항공기테러규제협약의 규율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점은 ‘9.11 테러사건’을 통해 드러난 법의 흠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제사회가 이 점에 유념하여 법적 보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4대 남북경협합의서의 주요 내용과 법적 후속조치

        제성호 법무부 2004 통상법률 Vol.- No.59

        Four Major Inter-korean Agreements on Economic Cooperation and Subsequent Legal Measures for the Vitalization of Economic Interchange Four major Inter-Korean Agreements on Economic Cooperation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stabilization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But it is not sufficient for the vitalizing and expanding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 So, we must prepare for the measures to promote and upgradef economic inter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t the present stage. The most important example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give domestic effect to inter-Korean economic agreements to be adopted in the field of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uture. Second, we should draft model joint venture contracts according to their contents or substance respectively and work out investment settlement mechanism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ird, we should develop inter-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system by providing for more concrete arbitration skill or method. Fourth, we should prepare for the measures to ensure human rights protection of South Korean workers or residents in the Gaesung and Mount Gumkang Area.

      • KCI등재

        독도 영유권과 한국 측 증거 - ‘결정적 기일’의 맥락에서 본 주요 증거 -

        제성호 중앙법학회 2013 中央法學 Vol.15 No.3

        Territorial sovereignty of Korea over Dokdo is out of doubt from the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The Korean title to the small islet could be under international law supported or proved by original title, acquisition by conquest, historical consolidation, effective control and the supremacy in relative title. Nevertheless, Japan has incessantly contested the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and made every possible effort to submit the territorial dispute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So we should prepare for pertinent responses in advance to cope with the situation where the Dokdo issue is referred to the international court. Considering all the possible "critical dates" to be adopted by an international tribunal, the Korean government must collect evidences on the display of the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including enactments, administrative measures, documentary evidences etc. and systematically arrange them to present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in each case.

      • KCI등재

        DMZ의 평화적 이용과 인권

        제성호 평화문제연구소 2012 統一問題硏究 Vol.24 No.1

        “Korean Demilitarized Zone” established by the Korean Military Armistice Agreement of 1953 has now become a fountain place which could result in diverse division-stricken sufferings. That is to say, the zone afflict many kinds of mental or economic uneasiness on people residing at the DMZ and adjacent area, including security unstability, low standard of living, limits to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It is very difficult to completely abolish the DMZ in the near future. Notwithstanding the fact, it is a historical and national demand that sufferings and discomfort stemming from the DMZ, namely, military heritage of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continue no longer in the 21st unification era. Peaceful use of the DMZ is a good way not only to diminish division-stricken sufferings but also to build political or military confid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t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promotion of such human rights and welfare as right to enjoy safety, right to enter into and exit from the DMZ, right to exercise property right existing at the DMZ, right to enjoy freedom of science and arts through the DMZ and the like. Considering this, necessity and propriety of peaceful use of the DMZ should be re-illuminated and reinforced from the perspective of enhancing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welfare. 1953년의 정전협정에 의해 설치된 한반도 DMZ는 지금 분단의 고통을 야기하는 진원지가 되고있다. 안보불안, 낮은 생활 수준, 재산권 행사의 제약 등 여러 가지 정신적ㆍ경제적 불편을 접경지역 주민들에게 끼치고 있다. 20세기 냉전의 산물인 DMZ를 당장 해체할 수는 없을지라도 그와 같은 고통과 불편이 앞으로도 계속되도록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21세기 통일시대의 요구라고 할 수있다. DMZ의 평화적 이용은 분단고통을 줄이며, 남북한 간에 정치적ㆍ군사적 신뢰를 쌓아가는 효과적인 방안의 하나이다. 그것은 국민의 안전 향유권(평화적 생존권), DMZ 접근권ㆍ출입권, DMZ를 매개로 한 남북한 주민 간의 의사소통권ㆍ면접교통권, DMZ 내의 재산권, 특히 토지 이용권, 이산가족 고통 해소의 권리, 학문의 자유, 예술의 자유 등의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앞으로 DMZ의 평화적 이용의 당위성은 기본적 인권 증진의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제법상 결정적 기일의 분석 및 검토 - 이론과 쟁점, 독도 영유권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제성호 중앙법학회 2010 中央法學 Vol.12 No.2

        International courts use the concept of ‘critical date' in the process of settling territorial disputes. Though the concept and theory of 'critical date' is introduced a long time ago and widely employed in international law, scholars dispute over whether it is only a judicial technique or an established principle of law. At any rate, since international courts, including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ICJ) and its predecessor, namely,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PCIJ), solve territorial disputes by setting up critical dates in many cases submitted to them, we have no choice but to examine the concept, function, some standards of critical date and the attitudes of international courts toward its doctrine. In relation to this work,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wo or more critical dates or critical period in the same territorial dispute and its influence upon the issue of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Through these important undertakings, we could manage the Dokdo diplomacy in a more consistent, proactive and strategic way.

      • KCI등재후보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제성호 한국보훈학회 2012 한국보훈논총 Vol.11 No.2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totally different. While South Korea defines unification as a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new 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considers it building a proletarian class society on the whole Korean Peninsula by national liberation and revolution of South Chosen(South Korea). Due to this different perception, considerable discrepancies are to be inevitably shown in the basis and principles(or their interpretation) of unification policies between the two Koreas. Especially, the South and the North conflict in unification philosophy because the former pursues free and democratic unification and the latter aims at unification by "Juche" ideology. The same is true with South and North Korea's unification formulas, namely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and "Democratic Confederal(this term is used to mean "federal" and bring about much confusion among Korean people) Republic of Koryo", which include key elements and general features of their unification policies. As is well-known, North Korea suggested so-called "Low Level of Federation" Idea in 1991. From that time on,it seems that there are some similarity between the South's "Korean Commonwealth" idea and the North's "Low Level of Federation" Idea. But the two contradict in point of the character and composition of pre-unification transitional system, the official name and future vision of the Unified Korea and so on. 남북한의 통일인식은 판이하다. 남한은 통일을 새로운 민족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하는데 반해, 북한은 남조선 해방과 혁명을 통해 전 한반도에 노동자․농민 중심의 계급사회를 건설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같은 상이한 인식 때문에 남북한의 통일정책 기조 및 추진원칙에도 상당한 차이를 노정하게 된다. 특히 통일철학은 자유민주통일(시장경제통일 내포)과 주체사상에 의한 통일로 대립된다. 나아가 통일정책의 핵심요소와 대강을 담고 있는 남북한의 통일방안, 곧 민족공동체통일방안과 고려민주연방공화국창립방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북한이 1991년 소위 낮은 단계 연방제 혹은 느슨한 연방제를 제안한 이래 남북한의 통일방안은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기는 하지만, 별개의 국호 사용, 통일과도체제의 성격 및 구성, 통일국가의 미래상 등에서 차이가 있다. 단지 통일방안의 차이에 주목하는데 그쳐서는 안 되며, 북한의 통일방안이 갖는 전략적 노림수에 주목해야 한다.

      • KCI등재

        남북이산가족문제의 국제인권법적 접근 ―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논리 보강의 차원에서 ―

        제성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11 서울국제법연구 Vol.18 No.2

        그동안 한국 정부는 남북이산가족문제를 인도적 사안으로 접근하고 해결을 추구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접근은 이산가족들이 겪고 있는 인권문제, 특히 북한 당국에 의한 인권침해에 대한 시각이 결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인권침해 부분에는 눈을 감고 쌍방의 善意와 인도주의 정신에 기초하여 해결을 추구하자는 다소 안이한 발상이라고 할 것이다. 지난 40년간에 남북관계사를 되돌아보면, 인도적 접근에 따른 이산가족문제 해결실적은 너무나도 초라하다. 그렇다면 이제 보다 정공법을 택할 필요가 있다. 이산가족문제를 북한인권문제의 일부로 이해하고 국제인권법적 접근과 해결을 추구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이산가족문제의 해결에 있어 가족권 개념과 더불어 실향민으로서 갖는 여러 가지의 기본적 인권을 원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시각에서 유엔의 인권기구에 대해 협조와 주선을 요청함으로써 남북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촉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