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 외래어 -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정희정 ( Chung Heeju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8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oan-words and notations in the Korean textbook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m among Korean teachers. Korean teachers seem to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loan-words, but, at the same time, take into consideration loan-words and notations that can be seen in the real world. In the case of textbooks, there was a strong opinion that they should include orthography words, Likewise in the case of social network services(SNS) where orthography words were not yet established, it was highly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written in Hangeul. This seems to be due to the norms and formalities of th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endency to use loan-words in writing on the blackboard and teacher`s spoken languages rather than loan-words, and even to write on the blackboard in English rather than Hangul. This seems to be due to the actuality of loan-word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textbook preserves the normality but the actual teaching considers the actuality in the real world at the same time.

      • 일·생활 균형 및 성평등 현안과 유연근로제의 한계

        정희정 ( Heejung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국제사회보장리뷰 Vol.8 No.-

        한국 정부를 포함한 많은 정부가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강화하고 노동시장의 성평등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연근로제(flexible working)를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유연근로제는 제도가 도입될 곳의 근로 문화와 성규범 환경에 따라 오히려 전통적인 성역할을 굳히거나 일과 가족 간의 갈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유럽과 미국의 자료들을 인용해 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근로시간을 축소하고 할당제부성휴가(ear-marked paternity leave)와 같은 가족정책을 도입하는 것이 유연근로제의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왜 필수적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위기에서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정희정(Chung heejung),김애림(Kim Aelim),주하나(Joo Ha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코로나위기로 대학에서 진행된 온라인수업 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수업 경험에 관한 34개의 진술문을 표집하였고 온라인수업을 경험한 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0일부터 7월 23일까지 총 13일간 Qsoring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QUANL-PC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사태에서의 대학생의 온라인수업 경험에 관한 5개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1유형 온라인수업 긍정적 수용형, 2유형 등록금 반환 강조형, 3유형 과제 부담형, 4유형 캠퍼스 선망형, 5유형 자기주도 학습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 19 이후 가속화되는 언택트시대에 적합한 학습자중심의 온라인수업방식과 체계구축이 마련되어 교육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online class experience caused by the COVID-19 crisis through the Q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sampled 34 statements about online class experience, and conducted Qsoring for a total of 13 days from July 10 to July 23, 2020, targeting 37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QUANL-PC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types of perception were derived about the online class experience in the Corona 19 incident. Type 1 online classes were positive acceptance type, type 2 tuition return emphasis type, type 3 assignment burden type, type 4 campus envy type, and type 5 self-directed learning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centered online classes and systems suitable for the untact era that is accelerating after Corona 19 will be prepared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함초롬(Hamcholom Oh),정희정(Heej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 종사하는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에 위치한 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30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대인관계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원장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주요 영향을 미침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고 원장이 바람직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유아교사가 자신감과 안정감을 갖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원장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Methods The subjects were 230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4.0 program, t disposition,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kindergaten teachers.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ten teach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personal stress of kindergaten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Interpersonal stress of kindergaten teachers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ten teachers. Considering that interpersonal stress that occur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has a major influ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personal stress of kindergaten teachers. This suggests that continuous education for the director is necessary so that the kindergaten teacher can perform duties at the kindergaten education institution with confidence and stability by showing the desired leadership.

      • KCI등재

        기독교수의 소명에 관한 주관성 연구

        장유 ( Youjung Jang ),정희정 ( Heejung Chung ),( Janice Miae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31 No.3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기독교수의 소명에 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기독교수의 소명에 대한 Q모집단을 구성하고 33문항의 Q진술문을 Q표본으로 추출한 후 기독교수 36명을 P샘플로 선정하여 33개의 Q표본을 Q분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QUANL 프로그램으로 주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독교수의 소명에 대한 인식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삶으로 전해지는 긍정적 영향력 강조’로 기독교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감으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쳐야 함을 강조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성경적 세계관에 근거한 전공학문 연구 강조’로 전공학문을 성경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연구하고 가르치는 것을 강조하며 학문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회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기독교 신앙 강조’로 기독교수의 소명을 하나님의 은혜로 보고, 소명을 이루어감에 있어서 하나님의 동행하심과 성령님의 도우심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제4유형은 ‘부르심과 사명 강조’로 기독교수로서의 부르심을 특별하게 받아들이고 그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 결과는 기독교수의 소명에 대한 주관적인 개념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기독교수의 소명에 대한 이해와 그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기독교수의 소명에 대한 인식유형은 기독교수의 소명의식 고취와 역량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us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professors’ perceptions on calling. A Q population for the calling of Christian professors was formed, 33 Q-statements were extracted as Q samples, 36 Christians were selected as P samples, 33 Q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Q-classification, and maj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Christian professors' perception on calling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 is a type that emphasizes ‘the ne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while living the life of a Christian. Type 2 focuses on ‘the major studies and re-search based on biblical worldviews,’ which emphasizes research and teaching of major studies based on biblical worldviews and recognizes the restoration of God's sovereignty in their study areas. The third type emphasizes ‘the Christian faith,’ which sees the calling of a Christian as God's grace and recognizes the need for God's companionship and the help of the Holy Spirit in achieving the calling. Type 4 perceives their roles as Christian professors as a special calling from God and strive to fulfill the mission as they emphasize ‘the calling and mi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primary data to confirm the subjective concept of 'calling' understood and recognized by the Christian professors and the importance of the Christian professors’ calling based on thi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sense of calling and improve the capacity of Christian professors as it will be used as the primary data for follow-up stud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 to foster the identity of Christian professors.

      • KCI등재

        유아의 미학적 탐구 분석 : 레오 리오니의 동화를 중심으로

        유은(Eunjung You),정희정(Heejung Chu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미적 태도와 가치관 형성에 있어 발달적으로 민감한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미학적 탐구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각적 인식활동을 주장하는 아이즈너(Elliot W. Eisner)의 인식론적 미학이론과 맥신 그린(Maxine Greene)의 가치론적 미학의 관점을 종합하여 새로운 분석기준을 마련하였고, 이 분석기준에 따라 유아에게 미학적 탐구과정을 적용하였다. 분석작품으로는 유아기 가장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자료인 그림책 중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예술적으로도 뛰어난 레오 리오니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도출된 분석기준은 미학적 상호작용, 예술경험구성, 교육적 반성이며 이 도출된 기준을 활용하여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 중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미학적 탐구 질문들은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 뿐 아니라 다른 문학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유아들이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대답을 찾아가는 것은 미학적 성향을 키우는데 중요한 과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iculum about the aesthetic inquiry process of a child who is in a sensitive period of developmental in aesthetic attitude and value formation. In this study, a new analytical standard was prepared by combining Elliot W. Eisner’s perceptual aesthetic theory and Maxine Greene s theoretical aesthetics. It also applied the aesthetic inquiry process according to the derived analysis standard. Thus, containing the philosophical contents of the book and being the most effectively and artistically integrated educational material in infancy Leo Lioni s work was selected. The standard of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criteria derived from a esthetic interaction, composition of artistic experience, and educational reflection. Four of Leo Lioni s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he derived criteria consequently presenting the results. The aesthetic inquiry qu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not only to Leo Lioni s picture books but also from other literatur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hildren s answers to these questions will be an important process for developing aesthetic tendencies.

      • KCI등재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정해(Jung Hae Seo),정희정(Heej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부모교육 및 유아의 정서조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236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기질은 직업 유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의 연령, 유아의 성별 및 연령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기질 중 정서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어머니의 사회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성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성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활동성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기질 중에는 정서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요인 중에서는 의사소통능력과 훈육능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훈육능력, 의사소통능력, 정서성 기질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어머니의 기질 중 정서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양육효능감 요인 중에서는 의사소통능력과 훈육능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훈육능력, 의사소통능력, 정서성 기질 순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from 7 pre-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236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t disposition,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outcome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of mothers and children on maternal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temperament and their employment status in some instances. Second, in relation to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temperament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the study fou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with mother’s temperament such as emotionalit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sociability. The study also showed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Third,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mother’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f mother’s temperament such as emotionalit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mother’s activity temperament an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mother’s ability to communicate and discipline, which are part of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Conclusions The study has found negative impact of mother’s temperament such as emotionality, positive impa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such as ability to communicate and discipline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Drivers of emotional self-regulations in children are mother’s disciplinary capacity, ability to communicate and activity temperament listed in terms of significance.

      • KCI등재

        독도에 관한 주관성 연구: 경북지역 신중년을 중심으로

        전재홍 ( Chun Jeahong ),이찬선 ( Lee Chansun ),정희정 ( Chung Heejung )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4

        본 연구는 독도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북지역 신중년 27명을 대상으로 독도에 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독도에 대한 인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독도에 관한 인식유형은 ‘독도 영토수호의지 확고형’ , ‘독도문제 강력 대응형’, ‘독도 안보교육 강화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1유형은 독도는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고유 영토이고, 정부가 이에 관한 분명한 입장을 천명해야 하며 독도에 대한 영토수호 의지를 더욱 강하게 표시하여야 함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2유형은 독도에 관한 전국민적 교육 확대와 영토수호의식 고취, 정부의 분명한 입장 표명과 일본의 도발에 대한 강력 대응을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3유형은 일본의 무력 도발에는 강력대응해야 하겠으나 갈등보다는 상호협력적 해결을 중시하는 유형이며, 나아가 이를 위해 전국민적 독도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양안보차원의 독도영유권 수호 관점에서 지향해야 할 독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신중년을 대상으로 독도교육 및 독도교육강사 양성을 위한 독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등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serving as a foundational study for Dokdo education, employed the Q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okdo among 27 middle-aged individuals in the Gyeongbuk region. The study identified three perception types regarding Dokdo: 'Firm Determination to Protect Dokdo Territory,' 'Strong Response to Dokdo Issue,' and 'Strengthening Dokdo Security Education Type.' Type 1 recognizes Dokdo as an inherent territory that must be safeguard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 stating a clear position and expressing a stronger will to defend the territory. Type 2 emphasizes the nationwide expansion of education, heightened awareness of territorial defense, a clear government stance, and a robust response to Japan's provocations. Type 3 advocates for a strong response to Japan's armed provocations but values mutual cooperation over conflict. Furthermore,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nationwide Dokdo education for a cooperative resolution.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Dokdo education in terms of maritime security and Dokdo sovereignty. The hope is that ongoing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will includ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okdo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young and middle-aged individuals, as well as the training of Dokdo education instru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