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회적 소통을 위한 무용예술교육 현황 및 사례 분석 연구

        정희자 ( Hee Ja J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대적 동향과 관련하여 학교문화예술 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변화를 통해서 소통으로서 무용교육의 사회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과거 전문 무용수의 양성,‘무용을 위한 교육’ 에 주력하던 무용교육이 현재는 문화예술 교육 활성화 정책과 더불어 특수학교, 소년원학교, 사회복지시설의 장애아를 위한 교육으로 확산되고, 성인교육과 평생교육차원에서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 까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신체적 움직임, 감성, 윤리, 지성의 복합능력을 구현하는 넓은 의미에서 무용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아래, 문화예술교육의 범주 안에서 무용예술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와 이러한 인식이 사회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예술정책지원 현황과 사례 분석 방법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e dance as an Arts Education Policy Contents have transitioned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Contents going forward. For this analysis, the study is based on the sequence, which has beenused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course and contents of study,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dance as an Arts Education Policy Contents concept by shifts in Korea`s Arts and Culture Policies: Culture Welfa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Training, Artist-in-School Program,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ociety. Dance education standards are classified into the areas of production-execution and creation as well as response~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Here, execution (dancing) touches upon the physical perception, coordination, understanding of movement elements, learning of performance principles and etc. Creation (making dance) is related to creating or composing movements, understanding expressional or creative principles, and et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정희자 ( Hee Ja Ju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2 No.-

        초등학교 표현활동의 대부분은 교사 주도 하에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새로운 규칙과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놀이를 활용한 신체표현 교육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내적 동기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능감, 흥미-즐거움, 노력-중요성, 긴장-압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피험자 총 123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별로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정규체육시간과 재량활동 시간(교육과정 운영계획에 의한 교환수업 실시)을 활용하여 14주 동안 실시된 차시별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해당반의 담임교사에게 실험집단의 연구 계획을 미리 알려주고 일반적인 신체표현활동(4학년 표현활동 교과내용 중심으로)을 14주 동안 차시별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고로 4학년 신체표현활동의 내용은 총 18차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리듬에 맞추어 하나, 둘, 셋(4차시), 예술가가 되어(6차시), 기구와 하나가 되어(8차시)로 구성이 되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지각된 유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를 통해서 쉽고 재미있게 움직임의 요소를 습득하고 표현하는 수업은 학생들이 표현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했다는 점이다. 둘째,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흥미와 즐거움에 영향을 미친다. 실험 초기에는 신체표현활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의 부족과 경험의 부족으로 학생들은 표현활동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쑥스러워하며 소극적인 수업태도를 보였으나 얼음·땡 놀이와 고무줄놀이 등의 다양한 놀이와 함께 걷고 뛰고 달리기를 하면서 움직임을 반복·확장시켰고, 공간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움직임의 요소와 함께 표현을 하는 과정에서 흥미와 즐거움의 변화를 느끼게 되었다. 셋째,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노력-중요성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새로운 규칙들을 신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동작으로 이끌게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자아표현의 가능성과 창의성을 발달에 도움을 준다. 흥미와 즐거움의 변화를 느끼면서 구체적인 표현을 위해서 노력하는 과정은 모둠발표의 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났다. 넷째, 놀이 활동 신체표현활동 참여 전과 참여 후 긴장-압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수업 계획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준비에서 실행 및 피드백까지 구성원을 중심으로 하는 학생중심 수업이므로 교사의 도움이나 안내를 제외한 지도나 지적이 적은 편이기 때문으로 유추 할 수 있다.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학생들에게 어렵게만 느껴졌던 표현활동에 의욕을 불러일으키고,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하고,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이해 그리고 즐거움을 주는 내적 동기를 발현시키는 수업 방법으로 가능하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나온 표현활동을 제대로 가르치기를 원하지만 신체표현활동 교수학습방법의 부족, 전문 무용지식의 부족, 그리고 지도 능력부족 등의 이유로 현행 무용교육의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is a self-directed dance learning process utilizing games. It is designed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are encouraged to set new rules of the game and to suggest new ideas and movements to enhance the excitement of the game. This study introduces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which is a new method of creative dance education, and tests its effects on the inner motivation of students. The inner motivation is consisted of the four sub-factors; the perceived competence, the interest-pleasure, the effort-importance, and the tension- pressure. To test the effect of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on each sub-factor of students, this study divided total 123 fourth-grad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n,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was taught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weeks.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dance education, as in the fourth-grade expression-activity teaching plan, was taught to the control group.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game - based dance education affects the inner motivation of students. First, i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erceived competence of students. The education through games makes students learn dance and movement easily and interestingly and, hence, students get new perception on dance education. Second,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certainly increases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dance. Students had been somewhat passive in the class during the early stage of education, but, soon, they participated and enjoyed classes very actively. Third, it significantly affects the effort-importance of students. Students frequently suggested their own ideas during the games, and they tried to invent very creative movements during the class. However,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does not seem to affect the tension-pressure of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 KCI등재

        발레학습 기간에 따른 아동의 정서인식ㆍ표현능력의 변화 분석

        정희자(Jung Hee-Ja) 한국체육과학회 200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according to period of ballet edu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ies to assert the positive effect of dance on the various emotional aspects, in this study, recently developed emotional quotient is used to measure th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To investigate the question empirically, this study analysis, first, the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3groups, a group of the children whose ballet experience is more than 2years, a group of the children whose ballet experience is less than 1years and a group of the children who don't have any ballet experience at all. Second, for the group of children without any experience, the chang in emotional intelligence is measured after the two types of ballet education for six months. The empirical results that the ability of th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of the children significantly enhance through the period of ballet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무용예술강사 무용수업의 재미요인과 수업만족의 관계

        정희자 ( Hee Ja Jung ) 한국무용교육학회 2009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0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ance course enjoyment, the difference of cours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dance course enjoyment factors up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according to the genders and school years of students. Total of 525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otal of 37 responses were discarded from the analyses due to incompleteness. The data of 488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5.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siFirst, as for the dance course enjoyment and course satisfaction by genders and school years,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and first graders are higher than second graders. Second,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sub-factors of dance course enjoyment and all the sub-factors of course satisfaction. Third, among dance course enjoyment factor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maintenance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course environment whereas all the other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cours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