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강내 출혈을 동반한 광인대임신 1 례

        정은숙(ES Jung),황인수(IS Hwang),김도강(D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3

        저자들은 매우 희귀한 광인대 임신의 복강내 출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intraperitoneal hemorrhage of intraligamentary pregnancy is one of the most unusual tragic accidents in obstetrics The diagnosis of intraligamentary pregnancy is handly ever made prior to laparotomy or postmortem visualization of pelvic organ Authors presented a case of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available

      • KCI등재

        철분공급이 임신부와 태아의 혈청 Ferritin헤모글로빈 , 혈청철 및 철결합능에 미치는 영향

        정은숙(ES Jung),송기창(KC Song),정운남(WN Jung),나덕진(DJ Rah),김대훈(DH Kim),나종구(JG N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7

        1987년 10월부터 1988년 2월까지 5개월간 가톨릭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정상분만한 임신부 54명과 그에게서 출생한 정상신생아 54명에서 혈청 ferritin, 혈색소, 혈청 철, 총 철결합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임신부의 혈청 ferritin치는 평균 23.7+-21.7 ug/l, 혈색소치는 평균 11.4+-1.8g/dl, 혈청 철은 평균 121.0+-80.0ug/dl이고 총 철결합능은 평균 446.9+-133.9ug/dl이엇다. 이들에서 출생한 태 아의 제대혈의 혈청 ferritin치는 평균 118.0+-62.1ug/dl이고, 총 철결합능은 평균 289.9+-86.3ug/dl이었다. 임신부와 제대혈의 검사치를 비교하면 혈청 ferritin, 혈색소, 혈청철은 모두 제대혈에서 5배, 1.3배, 1.6배로 높았다. 2. 임신부의 ferritin치에 따라 구분해보면, ferritin치가 12ug/l이상인 군은 31명(58%)이고 그미 만인 군은 23명(42%)으로 임신부의 혈청 ferritin치와 제대혈청 ferritin치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임신부의 혈청 ferritin치와 제대혈의 혈색소치, 혈청 철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임신부의 혈색소치를 기준으로 혈색소치가 11g/dl이상인 군과 그 미만인군으로 나누어 비 교해 보면 임신부의 혈색소치와 제대혈의 혈색소치, 혈청과 혈청 ferritin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4. 철분공급에 따른 차이를 보면 철분공급을 받은 경우에 임신부와 제대혈에서 모두 혈청 ferritin의 상승을 보였으나 제대혈의 혈색소치와 혈청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임신부의 연령, 임신회수, 임신주수와 태아체중에 따른 철분대사 기준의 변화는 없었다. Measurements of serum ferritin and other hematologic laboratory indices about iron metabolic state were done in 54 paired maternal and cord blood, and 17 of these 54 women had taken iron supplement during pregnancy. These values were analyzed by parameter of maternal serum ferritin hemoglobin, iron supplement,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end. 1. Average value of maternal serum ferritin was 23.7+-21.6 ug/l and that of hemoglobin was 11.4+-1.8 g/dl and those for serum iron and TIBC were 121.0+-80.0 ug/dl and 446.9+-133.9 ug/dl respectively 2. Values of cord serum ferritin hemoglobin serum iron were higher than maternal values especially cord serum ferritin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maternal serum ferritin 3. There was linear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rum ferritin and cord ferritin .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rum ferritin and cord ferritin hemoglobin serum iron and TIBC. 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hemoglobin and cord hemoglobin serum iron and serum ferritin. 5. By iron supllement, the average values of maternal hemoglobin , maternal ferritin and cord serum ferritin were increased. 6. Iron hematologic indices were not changeable by maternal age, parity gestational week and fetal weight.

      • KCI등재

        모체혈액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태아 Y-Specific Sequence 산전진단에 관한 연구

        우복희,김종일,안정자,정은숙,문혜성,박혜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1

        분자생물학적 기법중의 하나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모체 혈액에서 태아의 Y-염 색체 특이 서열을 진단하고자 임신초기 및 말기의 초임부 각각10예와 출산경력이 있는 여성 10예를 대조군 10예와 함께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경험이 없는 여성 8예에서는 전혀 Y-염색체 특이 서열이 관찰되지 않았다. 2. 임신초기의 초임부 10예중 Y-염색체 특이 서열이 관찰된 7예 였으며 관찰되지 않은 경우는 3예로 이는 후에 시행한 양수검사 결과와 일치하였다. 3. 임신말기의 초임부 10예중에서 Y-염색체 특이 서열이 관찰된 경우는 6예였으며, 관찰되지 않은 경우는 4예로 이는 산후 확인된 성별과 일치하였다. 4. 분만후 1년 내외인 여성 중에서 남아 출생력의 8예중 5예에서 Y-염색체 특이 서열이 관 찰되었고 나머지 3예와 여아 출생력의 2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비침윤적인 검사방법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기존에 이용하던 방법보다 소량의 표본으로 쉽게 빠르고 정확하게 모체 혈액 내의 태아 Y-염색체를 진단함으로써 태아 성감별과 연관성을 가지는 반성 유전질환 산전진단에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amplify a Y-specific sequence of fetal cells in peripheral blood from each ten primigravidas in early and late pregnancy, ten women having the history of the delivery about one years ago, eight women having no pregnancy experience and two men. Peripheral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outpatients at the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between January 1993 and February 1994. 1. There were Y-specific sequences at eight women without history of pregnancy. 2. There were Y-specific sequences at seven cases of ten primigravidas in late pregnancy spondent to the sex of fetuses determined by amniocentesis 3. There were Y-specific sequences at six cases of ten primigravidas in late pregnancy and there were not at other four cases. There results were correspondent to postnatal sex of babies. 4. There were Y-specific sequences at five cases of eight women over one year after male babies delivery and no Y-specific sequences at the remaining three cases and all two women over one year after female fetus delivery. In conclus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used in this study for prenatal detection of Y-specific sequences of fetal cells in maternal blood could usefully assist prenatal diagnosis of six-linked genetic disord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