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컴퓨터 게임이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용국(Chung, Yong-Kuk)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친사회적 내용이 포함된 컴퓨터 게임을 수행할 때, 게임에 대한 보상유무와 게임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 정도가 친사회적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두 개의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서적 각성과 인지적 점화를 통한 매개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게임 내 행동에 보상의 효과를 살펴보았고, 초등학생 10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결과, 게임 행동에 대해 보상이 있는 게임을 한 집단이 보상이 없는 게임을 한 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 각성과 인지적 점화를 통한 매개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두 번째 실험은 게임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의 효과를 살펴보았고, 초등학생 106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결과, 게임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 각성과 인지적 점화를 통한 매개 효과는 역시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examine whether the presence of rewards and the identification with a game character would influence the intention of prosocial behavior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looked at the mediational roles of arousal and priming. The first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of rewards and 100 elementary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presence of reward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the intention of prosocial behaviors. However, the expected mediational effects of arousal and priming were not found. The second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of identification and 106 elementary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higher identification with a game character increased the likelihood of the intention of prosocial behaviors. However, the expected mediational effects of arousal and priming were not found.

      • KCI등재

        모바일 그룹웨어 활용이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용구(Ji, Yong Gu),정용국(Chung, Yong Kuk)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그룹웨어의 사용이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그룹웨어의 매체특성으로 편재성, 유용성, 용이성과 정보시스템 특성으로 콘텐츠 접근성, 직무관련성, 정보품질을 도출한 후 각각의 특성이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업무효율성에는 유용성, 콘텐츠 접근성, 정보품질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는 콘텐츠 접근성, 유용성, 편재성, 직무관련성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마트워크의 효과인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모바일 그룹웨어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the introduction of a mobile groupware application to a business environment affects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we have selected three of media attributes including ubiquity,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three of information system attributes including content accessibility, job relevance, and information qu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usefulness, content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quality, respectively, have an association with work efficiency, while content accessibility, usefulness, ubiquity, and work relevance, respectively, 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im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SNS 뉴스 신뢰도 결정요인 연구

        수신(Shu, Xin),육건엽(Lu, Jianye),정용국(Chung, Yong Kuk)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SNS 뉴스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언론사 뉴스가 그대로 링크 형태로 유통되는 SNS 뉴스의 경우 개인의 신뢰성향 외 다른 변인에 의한 신뢰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기존 언론사 뉴스에 이용자 개인의 의견을 추가해서 재구성한 SNS 뉴스의 경우, SNS를 많이 이용할수록, 상호작용적 동기가 높을수록, 정부의 언론정책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진보적 정치성향을 가지고 있을수록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적 동기가 높을수록, SNS를 많이 이용할수록, 도구적 동기가 높을수록, 정부의 언론관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개인이 만든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focus on studying the factors that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credibility of SNS news.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redibility of SNS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274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only personal trust scales are associated with the credibility of SNS news that is linked by existing press. Second, the credibility of SNS news, which is modified and added by users’ opinions, was influenced by SNS use, motivation for interaction, negative evaluations on government press policy,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Third, the credibility of SNS news, which is created by users, was influenced by motivation for interaction, SNS use, motivation for information, positive evaluation on government view on the press.

      • KCI등재

        시청자의 개인적 특성이 양방향 광고의 평가, 태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무곤 ( Mu Kon Kim ),강재원 ( Jae Won Kang ),정용국 ( Yong Kuk Chung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2

        본 논문은 시청자의 개인적 특성이 양방향 TV 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시청자의 개인적 특성은 인지욕구, 감각추구성향, 광고회의주의, 채널전환습관을 살펴보았고, 광고 효과는 양방향 TV 광고에 대한 평가, 태도, 상호작용 행동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감각추구성향, 광고회의주의, 채널전환습관은 양방향 광고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지욕구는 양방향 광고 효과를 증진시키는데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iewer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ve TV advertising. The characteristics of TV viewer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need for cognition, sensation seeking, ad skepticism, and TV channel changing habit, while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was assessed by measuring attitude towards, evaluation on, and search behavior of interactive TV adverti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nsation seeking, ad skepticism, channel changing habi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nhancement of ad effects, while need for cognition was not.

      • KCI등재

        텔레비전 뉴스의 형식적 특성이 시청자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뉴스 길이와 티커의 영향

        이혜미 ( Hye Mi Lee ),장정우 ( Jung Woo Jang ),정용국 ( Yong Kuk Chung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2

        본 논문은 텔레비전 뉴스의 형식적 특성인 뉴스 길이와 뉴스 티커가 시청자의 뉴스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뉴스 정보원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매체에 비해 뉴스의 전달력과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시청자들이 뉴스의 내용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뉴스를 전달하는 방식과 관련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뉴스 길이, 뉴스 티커의 존재 유무, 그리고 뉴스 티커의 종류에 따라 본 뉴스 내용에 대한 기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실험 연구를 통해 발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자들은 짧은 뉴스보다는 긴 뉴스를 쉽게 회상할 수 있었다. 둘째, 티커의 존재는 본 뉴스의 부호화, 저장, 회상 등 기억의 전반적인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티커의 형식(플로우 혹은 롤-업 티커)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은 뉴스가 길 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뉴스가 짧을 때는 롤-업 티커가 본 뉴스에 대한 회상 기억을 더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 또한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ructural features of television news programs influence a viewer`s memory for news. Two structural features were selected for the investigation: news length and news ticker. Despite TV news is one of the main sources for gaining new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t has been criticized for a viewer`s poor comprehension and memory. Based on previous studies suggesting the presentation styles of TV news influence news memory, this study examined how news length, presence of news ticker, and type of news ticker influence news mem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e recall for news stories was higher for the longer than the shorter news. Second, presence of news ticker impaired the three sub-processes of memory which were indexed by recognition, cued recall, and free recall. Third, types of news ticker (flow type and roll-up type) have marginal effects on news memory in that the difference in memory by the type of news ticker only appeared in the shorter new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가변 신호시간을 갖는 개선된 신호등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정용국,용승일,원충상 한국교통대학교 2015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0 No.-

        Current of a simple traffic light system varies in a certain direction.Standby regardless of whether a certain order to change the signal or increase the vehicle's system is inefficient.This paper tries to design and implement the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variable signal and the presence of vehicle standby.Series of logic circuits using PLD and 74 to control the order of the length of the signal, the signal circuit design.Signal was verified using a breadboard circuit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amount of atmospheric presenc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system was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