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승화 ( Seung Wha Chung ),임지선 ( Ji Sun Lim ),박선주 ( Sun Ju Park ),정예림 ( Ye Rim Chung ),박경민 ( Kyung Min Park ),최정혜 ( Jeong Hye Choi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성과와 한계점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 동안 SSCI급 저널에 게재된 437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분석 대상, 연구 방법, 핵심 참조학문, 그리고 이론의 성숙도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이를 기준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2008년부터 소셜미디어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소셜미디어의 이용 행태와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 왔다. 분석 단위는 주로 개인이었고, 양적 연구 방법론이 주를 이루었다. 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소셜미디어 확산에 따른 사회의 변화 및 특성과 같은 시의 적절한 이슈를 다룸으로써 실질적 기여를 해온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 미디어의 확산으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분석 대상이 개별 참여자뿐만 아니라 구조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이론 개발을 위한 연구 방법론의 다양화와 데이터 수집에 소셜미디어의 강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다양한 학문의 이론과 학제간 이론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영역에서 이론적 기반의 구축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methodologies, and general trends in social media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listed in the SSCI indexes from 2006 to 2013. A total of 437 articles published were examined with a content analysis. Our analysis focuses on the papers` topics, subjects of analysis, methods,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published social media studie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2008. Descriptive analyses of users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in social interactions were the predominant subjects of the articles. Individual-level of analysis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used in social media researches. Social media researches have become independent fields in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Our study serves as the foundation from which to assess current findings and offers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ocial media, including the rigor and diversity of research methodologies,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eory building.

      • KCI등재

        중소제조기업의 수출 비중과 지식탐색 활동 간의 관계

        김선영,박상문,정예림,최윤,Kim, Sun Young,Park, Sangmoon,Jung, Ye Lim,Choi, Yun Jeong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국내 중소제조업에서 수출비중과 지식탐색활동 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1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에 참여한 중소제조업체 2,145개를 대상으로 각 기업의 수출 비중이 조직 내부와 외부 지식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중소기업의 지식탐색활동은 주요 고객과 시장의 지리적 구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즉, 내수 지향적이거나 수출 지향적 중소기업은 조직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데 적극적이었지만, 수출과 내수 시장을 모두 추구하는 기업은 조직 내부 및 외부지식탐색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중소기업이 수출과 지식탐색 및 역량 간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한 것이다. 또한, 외부 지식탐색활동 자체도 조직 내부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한 것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관점에서는 내수기업에서 수출확대 및 글로벌 중소기업으로 발전에 대해 각 과정의 기업들이 서로 다른 지식탐색활동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정책 및 지원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에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ort intensity and knowledge search activities of Korea SME manufacturers. Using 2,145 firm data from the 2011 SME Technology Statistics Survey, we focused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s of export intensity and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 search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U-shaped relationships between export intensity and both of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 search activities. Local market-oriented or global market-oriented SMEs than the middle-level of exporters have more search activiti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is study extends our understanding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ort intensity and knowledge search activities. There are some policy implications to develop supporting programs differing in knowledge search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of export or globalization of Korean SME manufactur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