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철학 : 구한말 도서지방의 교육환경과 수령의 흥학 활동

        정순우 ( Soon Woo Ch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1 嶺南學 Vol.0 No.20

        본고에서는 수령 吳宖默을 통하여 한말 도서지역에서의 교육환경과 수령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1896년, 조선이 역사의 격랑 속에 잠겨 있을 때 오횡묵은 智島의 초대군수로 부임하였다. 이 시기는 갑오, 광무 연간의 행정개혁과 맞물려 지방조직의 대대적인 개편이 단행되던 시기이다. 당시 지도군 내의 여러 섬들의 촌락들은 이미 서재를 포함한 다양한 사학 교육기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향후 대부분 이 지역의 頭民이나 鄕任 으로 성장한 계층으로 보여 진다. 오횡묵은 부임 후, 학부와 관찰부의 정책에 부응하여, 이들 사학들을 관장하고 관리할 양사재의 설립에 진력한다. 각각의 사학기구를 느슨한 형태로나마 공적인 교육 체제 속으로 편입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는 비록 관찰부가 ``新制學校``를 구상하고는 있으나, 정작 어떻게 새로운 교육을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교과과정이나 교육목표는 부재한 상태였다. 따라서 전래의 방식대로 유자들을 양성하고 초집하는 과도기적 모습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오횡묵은 부임 후 다양한 고시문과 감결 통해 하달되는 갑신년간의 교육개혁 정책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고, 양사재의 설립도 결코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그의 興學 활동은 새로운 신식학제의 제정이라는 과도기적 흐름 속에서 한말의 관료들이 대응했던 방식을 알려 준다. 이 시기는 교육을 면리단위에서부터 중앙까지, 법제적이고 통일적으로 관리할 새로운 국가 경영 모델이 필요하였고, 각 각의 군은 이를 행정적으로 현실화하여야 하는 최 일선의 장소였다. 그러나 문제는 이를 실현하기에는 아직 당시의 관료집단은 전통적인 유학적 명분론과 질서율에 긴박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그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t islands district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through the case of a county magistrate(守令)`s educational activity. There were variou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tudy(書齋)`` which accepted many schoolchildren in Yellow Sea islands district at that time. We know that educations for commoners were done at islands and isolated areas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this fact. Most of those schoolchildren grew into ``local resident representatives(頭民)`` and ``local advisors(鄕任)``. After ``O Hoing-muk(吳宖默)`` started for his new post as county magistrate, he attempted to incorporated thos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to public education system. His attempt was done for matching policies of ``education ministry(學部)`` and ``provincial office(觀察府)``. The provincial office at this period conceived ``the school under the new system(新制學校)``, but It didn`t have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how to realize the education under the new system. Therefore, the education at this period didn`t get over the transitional phenomenon which train and convene confucian scholars in traditional way. At that time, it was requested the new model of national management which supervise the education legislatively and integratedly from town and village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Each of ``the district county(郡)`` was the foremost place which actualize the request of that new model administratively. However, there were problems that bureaucracies at that time adhered to the traditional confucian ``opinions on justifications(名分論)`` and ``senses of public order(秩序律)``. ``O Hoing-muk``, belonged in that hierarchy, didn`t free from that environment at that tim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세기말 서원 강회를 통한 학파의 분화와 학설의 형성과정 -주리사상을 중심으로-

        정순우 ( Chung Soon-woo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19말 조선의 강회(講會)가 사상의 분화(分化) 과정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를 주리(主理) 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이 제기한 심즉리(心卽理) 이론은 그의 사상적 모태 역할을 하였던 퇴계학파(退溪學派)로부터 맹렬한 비판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미묘한 시점에 열린 산천재(山天齋) 강회(講會)는 한주 이진상의 주리론이 과연 남명학파(南冥學派)와 노사학파(蘆沙學派)의 중심부로 무난하게 진입할 수 있는지를 알려 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이 모임은 사상사적으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이 모임에 주빈으로 참가한 박만성(朴晩醒)의 경우 이진상이 해설한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심설(心說)에 대해 본격적인 비판을 제기하였다. 반면 조성가(趙性家)와의 토론은 이진상이 노사학파(蘆沙學派)와의 만남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 강회에 참여하였던 후산(后山) 허유(許愈)는 스승인 이진상의 학설을 경상우도(慶尙右道) 지역에 뿌리내리고, 그의 사상을 남명 학파와 노사 학파 내부에 전달하는데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어서 열린 선석사(禪石寺) 강회는 그 동안 퇴계 학파의 강력한 영향권 내에 경상우도 지역의 학문적 지형도(地形圖)가 재편되는 첫 단서를 보여 준다.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원장(院長)을 역임하였던 이종기(李種杞)가 퇴계의 전통적인 학설을 대변하였다면, 장복추(張福樞)는 퇴계학과는 사상적 성향을 달리하고 있던 여헌(旅軒) 학파의 주리론을 표방하였고, 이진상의 심즉리(心卽理) 설은 주리론의 또 다른 분화과정을 제시해 주고 있었던 것이다. 선석사(禪石寺)의 강회는 영남(嶺南) 주리론의 분화과정을 잘 알려 준다. 한편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학자들이 주관한 오천강회(浯川講會)는 퇴계의 주리철학이 이진상의 학설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정치적 당파의 색깔을 뛰어 넘어 퇴계학파의 주리론(主理論)과 사상적 흐름을 공유하는 화서(華西) 학파의 장담강회(長潭講會)는 주리철학이 서양을 배척하는 척양(斥洋)의 논리로 전환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이렇게 19세기 말 각각의 지역에서 진행되었던 강회는 서로 다른 이념적 지평을 유지하면서도, 상호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새로운 시대정신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과 공감의 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ole of Ganghoe(講會)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ideas, focusing on the flow of Chu-li(主理) philosophy. The theory of simjeonri(心卽理) proposed by Han Ju(寒洲) Jinsang Lee(李震相) faced fierce criticism from the Toegye School (退溪学派), which served as the birthplace of his ideology. The Sancheonjae(山天齋) lecture(講會), held at such a delicate point, is a lecture that shows whether Hanju Lee Jinsang's theory of Chu-li(主理) can safely enter the center of the Nammyung(南冥) school and the Nosa(蘆沙) school. Although this meeting had a very peaceful atmosphere on the surface,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major conflict in ideology. In the case of Park Man-seong (朴晩醒), who participated in this meeting as a guest, he raised a full-fledged critique of the Taegeukdo theory(太極圖說) and the heart-seol (心說) explained by Jinsang Lee.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with Seong-ga Cho(趙性家) provided an opportunity to materialize Lee Jin-sang's meeting with the Nosa School. In particular, Husan(后山) Huo Yu (許愈), who participated in this lecture, took a special role in establishing his teacher Jin-sang Lee’s doctrine in the Gyeongsang-u-do province and transmitting his ideas to the Nammyung School and the Nosa School. The lecture at Seonseoksa(禪石寺) Temple, which was held next, shows the first clue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academic topographical map of Gyeongsang-Udo(慶尙右道), which had been within the strong influence of the Toegye School. Lee Jong-gi(李種杞), who served as the director of Dosanseowon (陶山書院), consistently represented the traditional doctrine of Toegye(退溪). In the case of Jang Bok-chu(張福樞), he argued for the Chu-li theory of the Yeoheon(旅軒) school, which had a different ideological inclination from the Toegye School. Now, Jinsang Lee's theory of Simjeonri(心卽理) became a clear sign suggesting another differentiation process of Chu-li theory. The lecture at Seonseoksa Temple contained the process of eruption of Chu-li thought in Yeongnam(嶺南) province. Meanwhile, the Ocheon Ganghoe(浯川講會) organized by the scholars of Dosanseowon(陶山書院) tells how Toegye's Chu-li philosophy responds to the theory of Lee Jin-sang. And the Jangdamganghoe(長潭講會) of the Hwaseo(華西) School, which shared the ideological flow with the Chu-li philosophy of the Toegye School beyond the color of political factions, turned the Chu-li philosophy into a logic that rejected Western ideology and cultu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lectures held in each reg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re a forum for discussion and sympathy to seek a new spirit of the times while maintaining different ideological horizons and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