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적용

        정수연 ( Su Youn Jeong ),강윤수 ( Yun Soo K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ies in mathematic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ir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teaching-learning process,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m. As a result, we found that participants had a disposition of being dependent and highly participating, so we made an effort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an make the students active and highly involved in.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to Engineering Mathematics class for one semester, we conducted survey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is model is very helpful for Engineering students to utilize a self-directed learning by diagnosing and adjusting their learning process in Meta-cognitive way. Also, it is confirmed that this model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learning.

      • KCI등재

        대학 공업수학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정수연 ( Su Youn Jeong ),송영무 ( Yeong Moo S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의 전자공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 내용과 전공 교과 내용의 연관성 및 수학교과 내의 선수 학습 내용과의 연관성을 이용한 공업수학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학학습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전자공학과 전공 학습을 위해 필요한 공업수학 내용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수학습 내용 및 전공교과 내용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후 연관성이 있는 내용을 학습자료의 주제로 선정하여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학습자료를 이용하여 학습하게 한 후 학습자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고, 학습 태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료의 도입부에 기술된 전공내용은 학생들에게 공업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에 도움을 주었으며, 공업수학 학습 내용 전에 기술된 선수학습 내용은 학생들에게 공업수학 학습내용의 학습에 집중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개발된 학습자료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 중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Engineering Mathematics materials using the relations between Engineering Mathematics contents and not only pre-study contents but also major contents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 mathematics study which is applying them for students majoring in electronics To accomplish the goals, I made list of Engineering Mathematics contents which is necessary to study electronics. Based on the list, I researched relations between Engineering Mathematics contents and not only pre-study contents but also major contents. After research, I selected some subjects which are related each other, developed study materials and examined responses to the materials. Then I analysed the effects on study attitude after used developed materials in my class. As a result, the major contents which was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helped students to be motivated to stud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Pre-study contents described before Engineering Mathematics contents helped them to concentrate on studying Engineering Mathematics. Also it showed that developed study material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self-confidence which is one attitude in the subcategories for Mathematics study.

      • KCI등재

        팽이버섯 균사체의 급여가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상범(Sang-Bum Lee),김지희(Ji-Hee Kim),정수연(Su-Youn Jeong),왕도(Tao Wang),조성근(Seong-Keun Cho),신택순(Teak-Soon Shin),강한석(Han-Seok Kang),김윤칠(Youn-Chil Kim),김선구(Seon-Ku Kim),이홍구(Hong-Gu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7

        본 연구는 FVM이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역의 버섯재배 농장에서 FVM을 수거하여 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부화 후 1주령의 육계 병아리 96수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구(C)는 기초사료만 급여하였고, 시험 1구(T1)는 기초사료에 FVM 1%를, 시험 2구(T2)는 FVM 3%를, 시험 3구(T3)는 FVM 5%를 6주 동안 급여하였다. 7주령에 도계한 다음 가슴근육과 대퇴근육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육색의 명도(L<sup>*</sup>)값은 FVM 3%, 5% 첨가 시 가슴근육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다리근육에서는 3%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황색도(b<sup>*</sup>)는 FVM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가슴, 다리근육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모든 FVM 첨가 수준에서 가슴근육의 가열감량은 높아졌고(p<0.05), 보수력은 낮아졌으나(p<0.05), 다리근육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총 수분함량에서는 가슴, 다리근육 모두 대조구 및 처리구간의 영향이 없었다. 수용성 단백질의 용해성은 FVM 첨가 수준이 증가될수록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아졌고(p<0.05), 염용성 단백질의 용해성은 가슴근육에서는 1%와 3%, 다리근육에서는 3%와 5%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가슴근육의 조지방 함량은 FVM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낮아진 반면(p<0.05), 다리근육의 조지방 함량은 높아졌다(p<0.05). 지방산 조성은 FVM을 3%와 5%를 첨가할 경우 가슴근육의 포화 지방산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추고(p<0.05),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유의하게 높였다(p<0.05). 아미노산 함량은 가슴근육(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valine)에서는 FVM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다리근육(glutamic acid, lysine, methionine, serine, threonine)은 FVM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FVM의 3%와 5% 첨가급여는 육계에 있어서 명도와 황색도,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 함량, 오메가-6에 대한 오메가-3 비율, 유리아미노산함량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Flammulina velutipes mycelium (FVM)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chicken meat. Ninety-six broiler chicks (HanHyup No. 3, Korea)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basal diet), T1 (supplemented with 1% FVM), T2 (3%), and T3 (5%). Broiler chicks in each group were slaughtered at 7 weeks of age, and their breast and thigh meat were collected. Lightness (L<sup>*</sup>) and yellowness (b<sup>*</sup>) in the T2 and T3 groups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loss of breast meat during cooking was increased in the T1, T2, and T3 groups, and the water-holding capacity of the breast meat was also decreased in these three groups (p<0.05). The water-soluble protein solubility was lower in the T1, T2, and T3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but the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in these three group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crude fat content of the breast meat was decreased and that of the thigh meat was increased as the level of FVM was increased (p<0.05).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the breast meat was higher in the T2 and T3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 in the T1, T2, and T3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feeding with 3% and 5% FVM increased the L and b values in thigh meat, improved the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and increased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