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대학의 인성교육 - 명지대학교 기독교 인성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정대경 ( Daekyung Ju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0 No.-

        기독교 대학에서 시행되는 인성교육은 확실한 신앙의 기초 위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인성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 대부분은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지 않은 비기독학생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 대학 인성교육이 추구해야 하는 전략은 무엇일까?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한다: 기독교 대학 인성교육의 목적이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인간 혹은 인간 본질의 실현이라면 그 목적을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교육적 차원의 방법은 기독교 상징체계를 포함하지만, 그것에 국한될 수 없다. 기독교신앙이 고백하듯 하나님이 세계의 창조자라면, 하나님은 자신을 세계 안에서 드러내실 때 기독교 전통 안에서 다루어져 온 상징들뿐만 아니라 그 외의 매개들을 사용하여 자신을 계시하실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자기 계시안에서 기독교 대학들은 전통 기독교 예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채플, 철학과 과학 등 학제 간 대화를 토대로 하는 다양한 기독교교과목들을 통해 학생들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본 논문은 비기독학생들이 다수인 기독교 대학 특성상 효과적인 기독교 인성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 기독교 대학들이 열린 마음과 태도를 가지고 기독교 인간이해와 인간화 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매개와 방법을 고안하고 발전시켜야 함을 역설한다. 이를 피력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기독교 인성교육의 상황을 파악하고, 기독교 인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분석적으로 제시한 후, 명지대학교 사례를 기독교 대학들이 처한 현재 상황에 적용하고, 수용해볼 수 있는 대안적 사례로 제시한다. 기독교 인성교육의 상황과 의미에 대한 고찰은 기독교 대학 인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하고,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되는 기독교 인성교육의 실제 사례는 구체적으로 그 방향성을 어떻게 실현해나갈지에 대해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 personality eduction in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definite Christian faith. However, class students who take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 mostly non-Christians. In this situation, what kind of a strategy should Christian universities take? This article strives to answer the question as follows: the pedagogical method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Christian tradition and its ecclesiastical symbols, if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pursues the actualization of "humanness." For if God is the creator of the created reality including humans, God can disclose Godself in the world via various symbols beyond the Christian tradition. If the case, chapels and Christian courses in the universities can be comprised of ritually non-Christian-format chapels and various contents based upon multi-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at regard, this article claims that Christian universities must take open minds and attitudes with regard to the formats and methods of the chapels and the Christian courses. To argue this, the article first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is embedded and the direction toward which the education must follow, and then the article introduces the examples of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at Myongji university as an alternative-robust education model. This effort will help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in itself, and it also will help to construct a practical model that can be adopted in other Christian universities.

      • KCI등재

        종교의 기원에 관한 과학적 연구 - 마이클 아빕과 매리 헤세, 월터 버커트, 어거스틴 푸엔테스의 기포드 강연들을 중심으로 -

        정대경 ( Daekyung Ju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1 대학과 선교 Vol.47 No.-

        종교와 과학은 대화해야 할까? 어떻게 보면 진부해져 버린 이 질문은 대학현장에서 종교와 과학을 가르칠 때마다 항상 받는 질문이다. 대학생들 중 인문학 전공자들은 종교에도 과학에도 관심 없어 한다. 학생들 중 이학과 공학 계열 학생들 또한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두 학제 간 대화와 협력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인지과학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인류학적으로 종교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피력하기 위해, 본 논문은 기포드강좌를 통해 종교의 기원에 관해 인지과학적, 생물학적, 인류학적 관점을 제시한 마이클 아빕과 매리 헤세, 월터 버커트와 어거스틴 푸엔테스의 주장을 분석, 소개한다. 이들의 강연을 살펴보는 것은 국내 종교와 과학 연구가 보다 심도 깊은 단계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본 시도는 종교의 기원, 종교현상을 과학적으로 빈틈없이 설명하는 것이 종교의 허구성을 드러낸다는 과학주의, 환원주의 입장을 비판하고, 과학시대 종교의 실재성과 의미를 재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s the dialogu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necessary? The question sounds outdated, since the dialogue has been animated from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skepticism in relation to the dialogue is still pervasive in university contexts. The students of liberal art college, at least in South Korea, are mostly indifferent to religion as well as science. The situation of students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re not different. Nevertheless, this article claims that the dialogu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should be promoted. For human is innately religious from the perspectives of cognitive science, biology, and anthropology. To argue that, this article examines three Gifford lectures given respectively by Michael Arbib, Mary Hesse, Walter Burkert, and Augustin Fuentes, who propose scientific models (i.e. cognitive science, biology, and anthropology) with regard to the origin of religion. The examination on the Gifford lecture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our domestic study on dialogu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Furthermore, this attempt will help to advocate the reality and meaningfulness of religion in an era of scientific naturalism, which questions the validity of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