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학 전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중증도에 따른 발화 형태 별 조음속도 비교

        전희정(Chon, HeeCheong),이수복(Lee, SooBok) 한국음성학회 2016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ttering severity on articulation rate measured from different types of utterance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Participants were 40 boys who stutter (CWS) and age-matched 10 boys who do not stutter (CWNS). CWS were sub-grouped based on the severity of their stuttering: 15 mild, 13 moderate, and 12 severe. Utterances were categorized as “overall utterance” including all utterances that children spoke and “fluent utterance” which did not contain any disfluencies. Utterances containing abnormal disfluencies were categorized as “SLD utterance” for CWS. The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any type of utteranc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rticulation rates between utterance types. Stuttering severity was not a factor for characterizing the articulation rate of each type of utterance. Also,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articulation rate may not predict speech motor control ability in preschool CWS.

      • KCI등재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과 회복된 아동의 기질 특성 비교: 종단연구

        전희정(HeeCheong Chon)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의 지속과 회복에 따른 하위유형의 기질 특성을 종단적으로 비교하고,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와 기질 특성의 관련성을 살피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학령전 아동으로 41명의 말더듬 아동(CWS, children who stutter)과 30명의 말을 더듬지 않는 아동(CWNS, children who do not stutter)이었다. 아동들은 4년간 종단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마지막 평가에 참여하였을 때 전체 CWS 중 27명은 말더듬이 회복된 아동으로, 14명은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각 아동의 기질 특성은 유아기질척도-간편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기질 평가는 첫 평가 이후 1년이 지난 시점과 첫 평가 이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기질 특성 비교를 위해 유아기질척도-간편형의 상위요인(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과 15개의 하위영역 점수를 분석하였으며, 집단과 평가 시점에 따른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 집단은 말더듬이 회복된 아동 집단과 CWNS보다 상위요인인 부정적 정서 점수가 평가 시점과 관계없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 집단은 다른 아동 집단보다 부정적 정서를 구성하는 하위영역인 ‘공포’와 ‘분노/좌절’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평가 시점별로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와 기질의 상위요인 및 하위영역 점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와 기질 특성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기질 특성이 말더듬의 지속 및 회복과 관련 있는 요인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지지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질이 말더듬으로 인한 반복적인 경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mperam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tuttering subtypes (persistent and recovered) over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haracteristics and stuttering severity. This four-year longitudinal study covered 41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30 preschool children who do not stutter (the CWNS group). At the final visit, 27 CWS were classified as the Recovered group and 14 CWS were classified as the Persistent group. Using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each participant’s temperament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wice: at one year and two years after the initial visit. The three subscale scores (Extraversion, Negative Affectivity, and Effortful Control) and the 15 component scores were analyzed, and they were used for between-group and between-visit comparisons. The Persist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Negative Affectivity subscale score at every visit than the Recovered and CWNS groups. Within this subscal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ear’ and ‘Anger/Frustration’ components, demonstrating that the Persist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Recovered and CWNS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scale and component scores and the stuttering severity scores within the Persistent group at any visit. These results support the proposition that these two stuttering subtypes have different temperament characteristics; they also imply that temperament might be influenced by stuttering experience over time.

      • KCI등재
      • KCI등재

        음운적 단어에 나타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발생 위치

        전희정(HeeCheong Ch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EXPLAN모델의 한국어 적용을 살피기 위하여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발화에 나타난 비유창성이 단어 범주 간(내용어와 기능어)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음운적 단어 내의 단어 범주 위치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방법: 두 집단의 말더듬 아동에게서(2∼3세 8명, 4∼5세 10명) 수집된 발화를 전사하여 비유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단어는 내용어와 기능어로 나눈 후 음운적 단어로 분류하였다. 단어 범주 간, 음운적 단어의 형태 간, 그리고 음운적 단어 내 단어 범주 위치에 따른 말더듬 비율을 계산하여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1)말더듬 비율은 연령에 상관 없이 내용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가장 적은 비율을 보인 음운적 단어의 형태는 ‘기능어+내용어+기능어’ 였으며, 음운적 단어 형태 간 말더듬 비율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3세 아동은 ‘내용어’형태의 음운적 단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말더듬 비율을 보인 반면, 4∼5세 아동은 ‘내용어+기능어’형태에서 말더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기능어+내용어+기능어’형태의 음운적 단어에서 단어 범주의 위치에 따른 말더듬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용어+기능어’형태의 경우 ‘내용어’가 ‘기능어’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말더듬 비율을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내용어에서 말더듬의 비율이 높았던 것과 두 집단이 음운적 단어의 형태 간 말더듬 비율에서 차이를 보인 것은 한국어의 특성 및 아동의 구문적 발달과 관련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기능어가 내용어에 선행한다 할지라도 기능어와 내용어 사이의 말더듬 비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어에서 관찰되는 비유창성이 내용어를 계획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라고 여기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말더듬의 발생 위치가 언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EXPLAN 모델을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동에게 적용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422-432.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ci of stuttering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XPLAN model could be applied to Korean. Methods: Eighteen CW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2- to 3-year-olds and 4- to 5-year-olds. The participant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transcribed, and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single-syllable word repetitions, part-word repetitions, prolongations and blocking) were noted. Each word in the samples was classified as either a content word or a function word. Following Howell and colleagues, the rules of phonological words were applied to the speech samples. Stuttering rates of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overall speech samples, as well as those within the phonological words,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tuttering on content words compared to those of function words in overall speech samples regardless of age group. The most frequent type of phonological word was ‘content word (C) + function word (F).’ The younger-age group revealed a higher stuttering rate for a ‘C’ structure, whereas the older-age group showed a higher rate for ‘C+F’ stru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ttering rate between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which preceded a content word in the structure of ‘Fpre+C+Fpost.’ Discussion & Conclusion: Significantly more stuttering episodes on content words may be related to different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ldren. Additionally, the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ttering rate between C and Fpre in the ‘Fpre+C+Fpost’form implies that the loci of stuttering may be among languages and that the EXPLAN model, may not be fully applied to Kore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422-432)

      • KCI등재

        말운동 연습과 언어적 복잡성이 말더듬 성인의 조음속도에 미치는 영향

        전희정(HeeCheong Chon),Torrey M. Loucks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3

        본 연구는 조음속도를 사용하여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의 말운동 특성과 운동기술 학습 능력을 비교하고, 언어적 복잡성이 조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말더듬 성인 11명, 일반 성인 11명이었다. 각 참여자는 길이와 구문적 복잡성이 다른 4개의 문장(짧고 단순한 문장, 길고 단순한 문장, 길고 복잡한 문장, 길고 구문적 오류가 있는 문장)을 반복해서 산출하였으며, 문장별로 전체 조음속도 및 문장산출 순서에 따른 조음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적 복잡성과 상관없이 말더듬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전체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긴 문장들이 짧고 단순한 문장보다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산출순서에 따른 조음속도 비교 결과, 두 집단은 모든 문장에서 중간 4개 문장과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가 첫 3개 문장의 조음속도보다 유의하게 빠른 모습을 보였다. 길고 구문적 오류가 있는 문장은 중간 4개 문장의 조음속도보다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빨라 지속적인 연습효과를 보인 반면, 다른 세 개의 문장들은 중간 4개 문장의 조음속도와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말더듬 성인이 일반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미숙한 말운동통제 능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문장의 길이와 구문적 복잡성이 조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은 문장을 반복적으로 산출하며 조음속도가 빨라지는 연습효과를 보였으며, 연습효과가 나타나는 패턴은 두 집단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ech motor control in adults who stutter (AWS) by testing whether articulation rate changes with practice and linguistic complexity. Eleven AWS and 11 adults who do not stutter (AWNS) repeated four sentences of different lengths and syntactic complexity [simple-short (SS), simple-long (SL), complex-long (CL), and faulty-long (FL) sentences]. Overall articulation rates of each sente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groups. Practice effec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rticulation rates of the first three, middle four, and last three productions. Overall, the AWS had significantly slower articulation rates than AWNS across the four sentences. The longer sentence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articulation rates than the baseline sentence (SS). The articulation rates of the middle four and the last three production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of the first three productions of each sentence in both groups. The articulation rates of the SS, SL, and CL sentences indicated a consistent practice effect. The slower articulation rates of the AWS are consistent with a speech motor limitation. There was no interaction with linguistic complexity or practice, so a slower articulation rate may be a general feature of the speech of AWS. Both AWS and AWNS showed practice effects with faster articulation rates which may reflect a degree of adaptation to the stimuli.

      • KCI등재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P-FA-II)와 말더듬 중증도 검사(SSI-4)를 사용한 말더듬인의 말더듬 중증도 비교 및 검사 요인들 간 상관 분석

        전희정(Heecheong Ch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2

        Purpose: Due to the variability and individuality of developmental stutter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various sub-factors of stuttering. The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SSI-4) and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 (P-FA-II) are the protocols which are well known for stuttering evaluation. This study aimed to (1)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percentage of agreement of stuttering severity levels as measured (SSI-4) and the (P-FA-II) and (2) seek sub-factors accounting for stuttering severity from each assessment protocol. Methods: Participants comprised 96 people who stuttered (40 preschool children, 26 school-age children, and 30 adults). They performed three required speech tasks from the P-FA-II, and their speech samples were analyzed to decide stuttering severity following the analysis procedures of each protocol.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stuttering severity between the SSI-4 and the P-FA-II. The level of stuttering severity tended to be higher when using the P-FA-II than the SSI-4, resulting in an agreement in stuttering severity levels between the assessment tools of 53.12%. Although abnormal disfluency scores could significantly account for total scores regardless of age and stuttering severity in the P-FA-II, normal disfluency scores could account for the total scores only in the adult group. The scores of all sub-factors (i.e., stuttering frequency, duration, and physical concomitants) could account for the total scores of the SSI-4.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variability of the stuttering in individuals who stutter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stuttering assessment and diagnosis.

      • KCI등재

        딥러닝-워드임베딩을 기반으로 한 말더듬 대상자의 읽기과제 비유창성 분석

        송상헌(Sanghoun Song),전희정(HeeCheong Chon),이수복(Soo 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최근의 딥러닝 자연어 처리는 언어단위를 수치 벡터로 변환하여 공간상에서 연산을 도모하는 임베딩 기술을 활용한다. 본 연구는 이 기법을 언어병리학 유창성장애 데이터에 적용하여 비유창성의 위치와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110명의 중학생 이상 청소년 및 말더듬 성인의 읽기발화(800음절) 데이터를 음소 단위로 분절한 뒤 수치 벡터로 변환하여 거리 연산을 수행하였다. Word2Vec을 활용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측정하여 각 비유창성 유형 별 유사성을 도출하고, 또한 전체 데이터를 t-SNE 그림으로 모델을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음소 환경을 분석하고자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II의 읽기발화와 세종 코퍼스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 번째, 총 8개의 ND 유형(‘UR’, ‘I’, ‘H’, ‘R1’)과 AD 유형(‘URa’, ‘Ia’, ‘Ha’, ‘R1a’)은 .9 이상의 유사도로 근접하여 출현하였다. 두 번째, ND 유형과 AD 유형 간의 분포적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분포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 유형은 상당히 높은 유사도로 AD 유형 간에 발생 위치가 중첩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R2’와 ‘DP’는 다른 비유창성 유형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소 환경에 따른 비유창성 출현 빈도는 ‘ㅁ’, ‘ㄷ’, ‘ㅈ’ 음소에서 비유창성 빈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비유창성 유형들 간의 군집화 특성, 정상적 비유창성과 비정상적 비유창성 사이의 분포적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 그리고 비유창성 출현 음소 등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유창성장애 진단과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Recen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s employ embedding techniques, which convert linguistic expressions into numerical vectors in order to measure the geometric distance between expressions. Using skills and focusing on the reading tasks, the present study aims to reveal the distributional properties of disfluencies. Methods: The current work segmented the reading data of 110 adolescents and adults who stutter, transformed the data into a vector space, and then conducted the embedding calculation. Utilizing Word2Vec, the cosine similarity was measured so as to look at how the types of disfluencies were co-related to each other. Results: The eight ND (Normal disfluencies) and AD (Abnormal disfluencies) types, excluding the R2 (Repetition 2) and DP (Disrhythmic Phonation) types, were clos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osine similarity (>.9). In particular, the AD types such as Ha (Abnormal hesitation), Ia (Abnormal interjection), URa (Abnormal unfinished/revision word), and R1a (Abnormal Repetition1) larg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R2 and DP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al properties from other types of disfluenci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each ND and AD pair seldom differed in their distributional properties. Finally, this study it found that several consonants tended to appear more often when the speakers produced disfluencies. Conclusion: This study draws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fluency disorders in an automatic way using deep learning skills. The findings are of u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luency disorders.

      • KCI등재

        말더듬 가계력 연구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지숙(JiSu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가계력은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주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27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80명, 여자 47명)이었으며, 각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 여부를 조사하고 가계력의 유형(부계와 모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은 112명(49.3%)으로 나타났다.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 중 일차친족(가족: first-degree relatives)의 말더듬을 보고한 아동들(남자 48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일차친족의 성별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47.9%,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0.0%로 나타났다. 여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7.1%,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가 42.9%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번 결과는 말더듬 아동 가족에게서 높은 비율의 말더듬 가계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 그리고 말더듬 가계력이 보고된 아동의 부계 또는 모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은 말더듬 집단의 이질성을 시사한다. 또한 말더듬의 시작과 진전은 말더듬이 진행되기 쉬운 유전적 소인뿐 아니라 환경적인 결합 또는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young Korean children who stutter (CW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7 CWS, 2 to 6 years of age (180 boys and 47 girls). Information regarding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collected. Results: In this study, 49.3% of CWS (112 CWS) reported a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Of children whose first-degree relative(s) had stuttering problems (48 boys and 14 girls),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boys was 47.9%,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50.0%.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girls was 57.1%,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42.9%. Discussion & Conclusions: The high incidence of stuttering in the family of CWS supports previous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stuttering is higher in stuttering populations. Differences in sex or type of family history (i.e., paternal, maternal),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This may indicate that stuttering is not a homogeneous disorder.

      • KCI등재

        유창성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최근 발표된 유창성장애 치료관련 연구 자료들을 살핌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약 10년간의 국내외의 연구자료 중 말더듬 치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실험연구와 말더듬 중재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2000년부터2009년 사이의 논문 중 유창성장애 관련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언어청각장애연구󰡕, 󰡔언어치료연구󰡕,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그리고 Journalof Fluency Disorders (JFD)에 등재된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연구유형별 분석결과,중재(치료효과)연구 29편(37.66 %), 중재관련 비교연구 24편(31.17 %), 그리고 중재관련 특성연구 24편(31.17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분석결과, 청소년 및 성인이 50편(64.94 %)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학령전기 아동이 14편(18.18 %), 기타 7편(9.09 %), 학령기 아동이6편(7.79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분석결과, 중재연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그룹 간또는 그룹 내 비교의 실험절차를 따랐으며, 중재연구는 종단비교를, 특성․비교연구의 경우횡단비교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분석결과, 중재연구의 경우 행동적 측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비교연구의 경우 발화형태를 비교하거나 변화를 관찰 한 연구(행동적 측면)가 대부분이었다. 종속변인 분석결과, 중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발화특성이 대부분이었으며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수반행동, 심리․성격적 측면, 기타 순으로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 아동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는 외국에서도 그 역사가 길지 않으나최근 10년간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이 개발 혹은 보완되고 그 프로그램의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예: 리드콤 프로그램, 페일린 상호작용치료 프로그램). 국내연구는 국외연구와 비교해 볼 때 중재연구보다는 특성․비교연구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에서도 말더듬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가 검증될 필요가 있으며, 외국의 치료방법의 경우 국내적용의 타당성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중재 논문들이 증거중심치료(evidence-based treatment: EBT)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rends and advancements in treatments for stuttering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stuttering. Methods: Experimental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stutter (PWS) related to treatment or treatment affects; (2)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within a 10 year span); and (3) publication in one of four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JCD), Kore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KJSLH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and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JF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parately analyzed. Results: A total of 77 articles that met all criteria were chosen. The results show that 29 articles (37.66%)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tuttering treatment, 24 articles (31.17%)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with people who do not stutter, and 24 articles (31.17%)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In terms of participants, 50 articles (64.94%) included participants who were adolescents and/or adults, 14 articles (18.18%) included preschool children, and 6 articles (7.79%) included school-aged children. Articles based on the effects of treatment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using treatment methods and longitudinally compared the change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majority of characteristic articles also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and cross-sectionall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analyses of dependent variables demonstrated that articles on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characteristics mostly measured or compared speech patterns, such as types and frequencies of disfluencies, naturalness of speech, and speaking rate. Perceptions of stuttering treatment, accessory behaviors, and emotional/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also studied. Discussion & Conclusion: Overall trends show that there are more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than the effects of stuttering treatment. Even though the history of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s of stutter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is relatively short, 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recently, several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or updated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and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efforts to validate the treatment efficacy. For the adolescent and adults who stutter, several behavioral and/or cognitive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are used to diminish stuttering.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vidence-based treatment are provided as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상호작용치료경험을 중심으로 한 학령전기 말더듬아동 부모의 치료경험 분석

        이경재(Kyungjae Lee),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치료는 치료목표와 치료대상에 따라 크게 간접치료와 직접치료로 나뉜다. 하지만 치료방법과는 상관없이 두 방법 모두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치료에는 부모의 참여가 핵심적이다. 본 연구는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부모가 치료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학령전기 말더듬아동 부모의 치료경험을 분석하였다. 총 여섯 명 말더듬아동 어머니의 인터뷰를 근거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총 네 개의 클러스터가 확인되었다. 네 개의 클러스터는 각각 말더듬 치료를 받으면서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부모가 느끼는 감정의 변화, 치료 목표의 변화, 변화 주체로의 인식 변화, 치료에 영향을 주는 요소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치료는 종합적이어야 하며, 부모가 긍정적인 책임감을 갖는 것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치료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reatment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CWS) can be categorized into direct and indirect treatments according to treatment goals and targets. However, parental involvement is necessary for the treatment of pre-school PWS regardless of treatment strateg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parents of pre-school CWS taking part in indirect treatment.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in the current study for analyzing treatment involvement experiences of pre-school CWS. Interviews of six mothers were analyzed following the grounded theory. Results: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from the interview: changes in emotions of mothers of pre-school CWS taking part in the treatment, changes in treatment goals, changes in cognition toward greater agency, and factors influential for treatment.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reatment of pre-school CWS be comprehensive. In addition, a change toward "positive" responsibility of parents is also important in stuttering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