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모와 영아의 혈청 렙틴 농도와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박진희(Park Jin Hee),배종우(Bae Jong Woo),전호남(Chun Ho Nam),조여원(Choue Ryowon)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1

        To estimate whether serum leptin has any effects on body composition during the lactational and postnatal period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serum leptin level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t right after delivery and 16 weeks after delivery in mothers and their infants. Subjects who signed the concent form,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hospit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 31.0 ± 4.2 yr, gestation period; 39.5 ± 1.0 wk) were investigated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and percent body fat for mothers, and weight, height, head circumference, chest circumference, and Kaup index for infants) were measured. Serum leptin levels of mothers and their infants also measured. Mean maternal serum leptin levels were 9.9 ± 8.2 ng/㎖ and 9.1 ± 7.2 ng/㎖ at right after delivery and 16 weeks after delivery,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Mean infant's serum leptin levels at birth (1.8 ± 0.4 n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t 16 weeks after birth (4.2 ± 0.8 ng/㎖) (p<0.001). Leptin levels of male infan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female infants.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serum leptin levels with their body weight, percent body fat after delivery. However,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aternal serum leptin levels with their body weight, BMI, percent body fat at 16 weeks after delivery (r=0.80, p<0.01; r=0.90, p<0.001; r=0.83,p<0.01, respectively).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the infant's serum leptin levels and their weight, height,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No significant relations were also found between maternal serum leptin levels with those of their infants. As a conclusion, maternal serum levels of leptin should be used with a caution to estimate their infant's leptin levels as well as their anthropometric parameter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ptin levels of mother's serum, breast milk, placenta, and infant's serum. (Korean J Nutrition 40(1): 49~57, 2007)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가 지질 농도 및 식욕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박정윤(Jung-Yoon Park),박미나(Mi-Na Park),최유영(You-Young Choi),윤숭섭(Sung-Seob Yun),전호남(Ho-Nam Chun),이연숙(Yeon-So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식이성 비만 모델 수컷 흰쥐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유청단백질 및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급여하였을 때,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에 따른 체중, 장기 및 체지방, 지질 농도 및 식욕 조절호르몬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실험동물 흰쥐에게 18% 우지를 첨가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질소원으로 유청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80, 매일유업(주)) 10%를 4주간 공급한 후(control period), 4군으로 나누어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유청단백질,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whey protein hydrolysate), 유청 macropeptide fraction(whey macropeptide fraction; WH중 MW≥10,000)의 3종을 함유한 실험식이를 각각 6주 동안 급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무게는 가수분해물 섭취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신장, 고환 및 비장의 무게는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신장의 무게는 고단백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조직의 무게는 신장 주변 지방과 부고환 주변 지방 모두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의 총 지질과 중성지방은 가수분해물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반면,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은 유청단백질 수준과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고단백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일일 분 배설량은 고단백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지질함량과 중성지방 함량은 가수분해물 섭취 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반면, 분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청 중 glucose와 insulin 농도는 가수분해물 섭취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leptin 농도는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 ghrelin 농도는 고단백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특히, 가수분해물 섭취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는 intact 유청단백질보다 흰쥐의 혈청과 간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고, 분 중으로의 지질배설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glucose농도와 insulin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켰으며, ghrelin 감소를 통한 식욕조절 효과를 보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체중감소나 조직의 지방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25% 단백질 수준이 체중감소나 조직 지방량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라 사료되며, 단백질 수준에서의 증가 또는 보다 장기간 동안의 섭취가 수행되어진다면 식욕 촉진 호르몬 분비 감소를 통해 체중 감소에 있어서 더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s of whey protein concentrate, its hydrolysates and macropeptide fractions obtained from papain treatment of whey protein on lipid levels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obesity model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Four 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high fat (18% w/w) and low protein (10% w/w) diet for 4 weeks and then divided into four groups (n=8/group). Rats were fed high fat diets containing various nitrogen sources; 10% whey protein concentrate (10WPC), 25% whey protein concentrate (25WPC), 25% whey protein hydrolysates (25WH), and 25% whey macropeptide fractions (25WP, MW≥10,000), respectively for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and food intake among groups. A significant decrease of total lipid, triglyceride in serum was observed in 25WH and 25WP groups.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25WPC, 25WH and 25WP groups compared with 10WPC group. However, in the li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among 25WPC, 25WH and 25WP groups. The daily amounts of fe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5WH and 25WP groups and the excretion of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5WH group. Serum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25WH group. The concentration of serum ghrel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5WPC, 25WH and 25WP groups compared with 10WPC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serum leptin among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y protein hydrolysates and macropeptide fractions may show beneficial effects on the lipid profile in serum and liver, appetite regul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model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다양한 침지처리가 대두의 미생물 오염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김태진(Tae-Jin Kim),김영진(Young-Jin Kim),정병문(Byung-Moon Jung),김응률(Eung-Ryool Kim),최원선(Won-Sun Choi),정후길(Hoo-Kil Jung),전호남(Ho-Nam Chun),성창현(Chang-Hyun Sung),유상호(Sang-Ho Yoo),김우정(Woo-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9

        다양한 조건으로 대두를 침지하여 대두 발아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대두를 멸균수, 0.1%의 자몽씨 추출물과 0.1%의 비타민 B₁ 유도체(AS5, vitagen)용액 등에 25℃, 35℃, 45℃, 55℃에서 3~1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25℃,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발아시키며 발아율을 관찰하였다. 침지전 대두의 일반 미생물수는 6.0×10? CFU/g, 대장균군수는 3.0×10? CFU/g이었고, 대부분의 침지조건에서 미생물오염 정도는 감소하였다. 침지 대두의 발아율은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침지 대두보다 발아율이 떨어졌고 45℃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져 55℃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대두의 발아율은 침지용액의 종류와 침지시간 및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대두의 미생물 오염감소와 초기발아를 유도를 위한 최적 조건은 자몽씨 추출물을 사용하여 35℃에서 6시간 침지시켰을 때였다. The presoaking conditions of soybeans in various solution for decreas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improving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Soybeans were treated with presoaking solutions (sterilized water, 0.1% grape fruit extract, 0.1% vitamin B₁ derivate solution AS5 and vitagen) at 25℃, 35℃, 45℃ and 55℃ for 3~12 hr and germinate at 25℃, 95%RH for 3 days. Total bacterial count and coliform count of soybeans were 6.0×10? CFU/g and 3.0×10? CFU/g, respectively, and the most of presoaking treatments decreas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The increase of presoaking time induces low germination ratio compared with unsoaked soybeans and the germination of soybeans was not detected at 55℃. The germination of soybeans was effected by presoaking solutions, temperature, and time. The optimal presoaking condition for decreas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promoting initial germination was using grape fruit extract at 35℃ for 6 hr.

      •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분석에 의한 식용유의 풍미 평가

        전호남 서울保健大學 1995 論文集 Vol.15 No.1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분석 방법으로 식용유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옥배유, 채종유 및 면실유를 여러가지 조건으로 저장하면서 산가 및 과산화물가를 분석하고, 관능 검사 및 GC 분석을 병행하여 관능검사와 상관 관계가 높은 성분으로 회귀식을 구하고 그 회귀식을 이용하여 관능검사 실측치와 예측치 간에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가는 60℃에서 21일 저장 후 옥배유, 채종유 및 면실유가 각각 0.168, 0.103 및 0.047의 값을 보였으며, 70℃에서 20일 저장후에는 각각 0.168, 0.212 및 0.047의 값을 나타냈고, 과산화물가는 60℃에서 21일 저장 후 옥배유, 채종유 및 면실유가 각각 24.31, 22.44 및 29.40의 값을 보였으며, 70℃에서 20일 저장 후에는 각각 39.50, 32.00 및 41.67로서 면실유, 옥배유, 채종유의 순서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측정 값,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곱한 값, pentanal 과 hexanal의 측정 값, pentanal과 hexanal을 곱한 값, 각 성분에 대하여 log를 취한 값과 제곱을 취한 값 등 17가지를 변수로 하여 회귀식을 구하고 이 회귀식을 이용하여 얻은 관능검사 예측치와 관능검사 실측치 간에 상관분석을 한 결과 산가와 과산화물가, pentanal과 hexanal의 상관 계수의 값이 다른 성분을 변수로 한 경우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상관 계수의 값이 옥배유, 채종유 및 면실유의 순서로 산가는 각각 0.8541, 0.9063 및 0.9623의 값을, 과산화물가는 각각 0.7902, 0. 8930 및 0.8787의 값을 보였고 pentanal은 각각 0.7853, 0.8039 및 0.8638의 값을 hexanal은 각각 0.8394, 0.8976 및 0.8854의 값을 보였다. The changes of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volatiles of several commercially processed corn, rapeseed and cottonseed oils stored at 60℃ and 70℃ with daily exposure of fluorescent light for 12 hours were analyzed. The volatiles of stored vegetable oils were recovered by porous polymer trap and flushed into a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at 250℃ and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y.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stored vegetable oil was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nsory analysis and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volatiles was calculated b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tatistical Analysis System. Acid value of corn, rapeseed and cottonseed oil changed from 0.132, 0.069 and 0.022 to 0.168, 0.103 and 0.047 after 21 days stored at 60℃ and changed to 0.186, 0.212 and 0.047 after 20 days stored at 70℃, respectively. Peroxide value changed from 0.67, 0.60 and 0.53 to 24.31, 22.44 and 9.40 after 21 days stored at 60℃ and changed to 39.50, 32.00 and 41.67 after 20 days stored at 70℃, respectively. Among volatiles of corn, rapeseed and cottonseed oil, pentanal and hexanal were correlated well with sensory analysis. A very simple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organoleptic flavor scores and amounts of two volatile compounds with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 similar linear relationship was also obtained for acid and peroxide value with sensory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