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전해옥(Hae Ok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연구는 기혼 직장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갈등 및 정신건강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기혼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창작지향형: 28.6%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자아신뢰형: 26.5%, 가족중심형: 18.4%, 성공지향형: 13.5%, 모범책임형: 13.0% 순으로 분류되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직장-가정갈등과 정신건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창작지향형의 경우 직장-가정갈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고, 정신건강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신뢰형, 가족중심형, 모범책임형과 창작지향형은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모범책임형은 직장-가정갈등과 정신건강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창작지향형과 성공지향형은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직장인의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직장-가정갈등 해결과 정신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직장 내의 사회적 지지자원 확보와 치료적인 사회?심리적 간호중재를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job-stress, job-family conflict,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lifestyles of married office worker.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m 185 married office worker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May to August 2011. In our research outcomes, it found that job-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family conflict in the self-belief type, family-centralized type, heeding duty type and creative type. Job-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mental health in the heeding duty type. And job-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metal health in the creative type and individual success pursuing type.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rapeutic psychosocial nursing intervention and to locate social-support-resources for reducing high job-stress, solving job-family conflict, and improving mental health in the married office worker.

      • KCI등재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정도와 우울 대응행동 간의 관계

        전해옥(Jeon, Ha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및 우울 대응행동에 대해 파악하고, 심리적 독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4개교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우울하지 않음 54.2%, 경증 우울 22.9%, 중 증 우울 16.8%, 심한 우울 6.1%로 나타났으며, 우울 대응행동은 인지활동지향행동 30.76%, 혼자하는행동 28.32%, 대 물지향행동 25.50%, 대인관계지향행동 15.06%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수준에 따라 아버지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정 서적, 갈등적 독립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심리적 독립은 우울수준에 따라 갈등적 독립만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의 모든 영역에서 우울과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갈등적 독립만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는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수준을 강화하고 어머니와의 갈등적 독립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바람직한 우울 대응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separation,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depression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131 students who were in 4 university in Chungcheong-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index,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instrument. The level of depression was classified into; not depressed, 54.2%; mildly depressed, 22.9%; moderately depressed, 16.8%; severely depressed, 6.1%. Among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cognitive activity-oriented behaviors was the one with highest percentage(30.8%). Depres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functional independence, attitudinal independence, emotional independence from father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mother. And dep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fa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strengthen psychological separation form parents and to be able to help desirable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전해옥(Hae Ok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에 자가보고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총 13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연령,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 주관적으로 인식한 SNS 의존도,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 대한 인식을 통제한 상태에 서, 남자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능력(β=-.41, p=.009)만이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약 1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2.26, p=.049). 여자대학생의 경우,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β=.42, p<.001)과 긍정학업정 서(β=.27, p=.010)가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약 2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F=5.19, p<.001). 그러므로 남녀 대학생의 SNS 중독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남자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요구되며, 여자대학생의 경우 SNS 사용시간을 줄이고 긍정학업정서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influence of a college student's academic emotions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30 college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2015.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in the case of male college students, only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β=-.41, p=.009) was understood as a variable with an influence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having approximately 16% power of explanation (F=2.26, p=.049) after controlling for age, daily average duration of using SNS, subjectively-perceived level of dependence on SNS, and one's own level of using SNS. In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t was understood that the daily average duration of using SNS (β=.42, p<.001) and positive academic emotions(β=.27, p=.010) were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having approximately 28% power of explanation (F=5.19, p<.001). Accordingly, to solve the psycho-soci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male and female students' SNS addic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might be helpful for planning a program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우울과 생활스트레스의 비교

        전해옥(Jeon, Ha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 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5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를 이용하여 자가보고방식으로 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가치관은 개인지향 가치관 64.6%, 사회지 향 가치관 35.4%로 분류되었다. 가치관에 따른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생활스트레스는 경험빈도와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지향 가치관을 가진 경우, 우울은 장래문제, 동성친구, 경제문제, 가족관 계, 가치관문제, 학업문제와 관련된 생활스트레스의 경험빈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장래문제, 경제문제, 가 치관문제, 학업문제에 있어서 생활스트레스의 중요도 인식과 우울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지향 가치관을 가진 경우, 우울은 장래문제, 가치관문제의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 치관문제, 학업문제에 있어서 우울과 생활스트레스의 중요도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대학생의 우울 및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간호전략은 가치관에 따른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야하며, 특히 개인지 향 가치관을 가진 대학생의 우울 관리에 있어, 당면과제 및 가족과 친구의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조절에 관한 부 분이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life-stress by values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m 212 student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type of value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oriented values, 64.6%; social oriented values, 35.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by valu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y of experiences and importance of life-stress by value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life-stress by val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university student, the nursing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ability to reduce life-stress and depression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by value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attention in management of stress and depression for students with personal oriented values.

      • KCI등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해옥(Hae-Ok Jeon),염은이(Eun-Yi Yeo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남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4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대처(β=0.33, p<.00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약 22%설명하였다. 또한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성역할 갈등, 동아리 활동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전체 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약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3.50, p<.001). 그러므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처능력 강화와 성역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 선후배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망 구축이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gender role conflicts,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225 male nursing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April 1 to June 4, 2014.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β=0.33, p<.001),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gender role conflicts and club activity.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33% of the adaptations to college life in male nursing students(F=23.50, p<.001). Therefore, programs for resolving gender role conflicts and reinforcing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social support network which consist of professors and the senior-junior nursing students will help to improv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in male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경험한 언어폭력, 학업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해옥(Hae Ok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시 경험한 언어폭력, 감정반응, 학업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C시 소재의 4년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시 언어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41.9%로, 언어폭력 경험 횟수는 1회 16.9%, 2회 15.5%, 3회 4.7% 순이었다. 언어폭력 가해자는 환자 42.9%, 간호사 37.7%, 보호자 15.5% 순이었다. 대상자의 언어폭력 경험 시 감정반응은 언어폭력 경험 횟수 (r=.16, p=.049) 및 우울(r=.39,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 대처는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r=-.19, p=.021), 전문직 자아개념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 p<.001). 우울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8, p<.001). 회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 대처(β=.40, p<.001)와 우울(β=-.32, p<.001)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해 2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F=12.37,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학업스트레스 대처수준을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특히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우울을 조절하기 위해 이와 관련 있는 언어폭력 후 감정반응에 대한 적절한 치료적 중재 적용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ractice, emotional responses, academic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given to nursing students in grades 3-4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October 25 to November 1, 2017. As a result, 41.9% of the subjects experienced verbal viol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frequency of experiences for verbal violence was `1 time` at 16.9%, `2 times` at 15.5%, and `3 times` at 4.7%. The verbal violence attackers were patients (42.9%), nurses (37.7%), and protector (15.5%). Emotional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frequency of verbal violence. Academic stress cop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cademic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se variables had a 28% explanatory pow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o raise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coping and to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해옥(Jeon, Hae Ok) 한국간호교육학회 201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ocial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 and October 16, 2015 via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70 nursing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about nursing professionalism, academic failure tolerance, social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WIN 20.0. Results: Establishment vision about nursing science (β=.27, p=.006), academic failure tolerance (β=.17, p=.031) and social self-efficacy (β=.19, p=.012) of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after adjusting for establishment vision about nursing science and satisfaction in nursing science. This model explained 21.0% of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F=6.38,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ocial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lso, as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help to establish apparent vision and to improve satisfaction in nursing science.

      • KCI등재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감염관련특성과 환자안전문화가 혈행성 감염예방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해옥(Jeon, Hae Ok),안경주(An, Gyeong Ju),이종희(Lee, Jong Hee),이경미(Lee, Kyoung Mi) 한국기초간호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3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awareness of blood-borne infection prevention between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98 nurses(operating room nurses 98 and general ward nurses: 100)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and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three cit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14,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WIN 26.0 program. Results: Typically, 39.8% of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and 24.0% of ward nurses experienced injuries such as needles and sharp instruments used by the patient.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identified to be higher for the ward nurses.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blood-borne infection prevention in operating room nurses were patient safety culture and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for infection prevention while nursing infected patients. Moreov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19.4%. In general ward nurses, the patient safety culture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which accounted for 16.5% of awareness of blood-borne infection prevention. Conclusion: To prevent hospital infection, a strategy is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awareness of blood-borne infection prevention and patient safety culture of operating room nurses.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infec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the operating room nurses and the general ward nurses should be considered and plann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여가활동에 따른 완벽성과 자아탄력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전해옥(Hae Ok Jeon),김지혜(Ji Hy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여가활동에 따른 완벽성과 자아탄력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A시와 B시에 소재한 2곳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 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여가활동 유무에 따라 자아탄력성(t=-3.80, p=.001)과 불안 (t=3.71, p<.001)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의 완벽성(β=.71, p<.001)과 자아탄력 성(β=-.29, p=.003)은 불안에 5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34.50, p<.001). 여가활동의 분류에 따른 분석에서, 관광, 취미 및 오락 활동의 여가활동을 하는 경우, 완벽성(β=.54, p=.003)은 불안에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약 2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5.66, p=.009). 그러므로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간호대학생의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완벽성을 낮추기 위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간호대학생의 여가활동 방해요인을 해결하고, 이들이 선호하는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대학 내에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ego-resiliency on the anxiety in two groups of nursing students: leisure activity, and no leisure activity group. A total of 134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at two universities in A and B cities, Korea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 11 days in October,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go-resiliency (t=-3.80, p=.001) and anxiety (t=3.71, p<.001) according to the leisure activity. In the subjects who did not have leisure activities, perfectionism (β=.71, p<.001) and ego-resiliency (β=-.29, p=.003)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anxiety and this model explained 58.0% of the variance in anxiety (F=34.50, p<.001).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urrent leisure activity, Perfectionism (β=.54, p=.003)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nxiety in subjects doing travel watch and pastime amusement, and this model explained 26.0% of the variance in anxiety in nursing students (F=5.66, p=.009). Therefore, providing strategies to control anxiety can not only improve ego-resiliency, but also reduce perfectionism among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disturbance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leisure activities in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