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학습자의 핵심 역량: Mediation

        전지선 ( Jeon Jiseon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9 No.-

        2001년도 출간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GeR]은 2020년 Begleitband로 그 내용이 대폭 보완되고 상술되었다. Begleitband zum GeR의 핵심내용으로 Mediation 즉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중개활동을 들 수 있는데 본 고찰을 통해 그 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비대면 수업형태와 다양한 디지털 학습도구가 외국어 수업에 이용되는 상황에서 언어학습자의 궁극적 핵심 역량은 Mediation 활동능력에 있으며 그것을 사례연구에 적용하기 전 그 취지와 개념형성 과정을 먼저 살펴보는데 본 고찰의 목표가 있다. 2020년 독일어로 번역되어 출간된 Begleitband zum GeR에 소개된 <언어중개활동> Mediation의 척도들을 학습단계 B1의 예시능력문항 기술을 통해 내용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수업용 디지털 온라인도구가 지배하는 뉴노멀 시대에 <언어적 중개활동>의 개념을 이해하고 수업 및 평가에 적용하는 것은 앞으로의 외국어 수업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Der im Jahr 2020 erschienene Begleitband zum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GeRB) hat den knapp zwei Dekaden zuvor erschienenen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GeR) mit neuen Skalen und Beispieldeskriptoren wesentlich präzisiert und erweitert. Dabei wurde der Mediation als einem von vier Kommunikationsmodi (neben Rezeption, Produktion und Interaktion) eine exponierte Stellung innerhalb der fremdsprachlichen Lehr- und Lernprozesse zugewiesen. Besonders betont wird im Begleitband zum GeR der soziale Aspekt der Kommunikation als der gemeinsamen Konstruktion von Bedeutung. In diesem Beitrag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das dem Begleitband zugrunde liegende Konzept der Mediation anhand der neu entwickelten Skalen in seiner Struktur differenziert darzustellen. Dabei wird als Beispieldeskriptoren das Lernniveau B1 präsentiert. Grundlage der Betrachtungen bilden daher die Ausführungen zur Mediation im Begleitband zum GeR. Zum Ziel gesetzt hat dieser Beitrag also die ausführliche Vorstellung der völlig neu erstellten Skalen der Mediation. Konkrete Anwendungen der Skalen auf die Sprachunterrichtspraxis und daraus folgende Fallstudie nehme ich mir als nächste Forschungsaufgaben vor.

      • KCI등재

        GER 한국어 번역에 나타난 2차 번역의 문제점

        전지선 ( Jeon Jiseon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7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1 No.-

        GER의 성공적 적용과 활용은 정확한 번역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정확한 번역이라는 개념 또한 출발언어와 목표언어의 분절구조가 일치하지 않는 데서 기인하는 문제들로 인해 그 시도가 무색해 지는 경우가 있다. 위 글에서 필자는 독어의 형용사, 부사가 의미론의 층위에서 다의적, 주관적으로 해석 가능한 것은 한국어 번역에서 난제로 작용한다는 사실과 통사적 층위에서 인칭대명사의 지시체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때 번역자가 부딪히는 어려움에 대해 약술했다. 그 밖의 어려움으로는 예컨대 같은 낱말이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 번역자는 이것을 목표언어에서 한 낱말로 통일할 것인지 서로 다른 용어를 고안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모국어 화자에게는 어쩌면 가상문제로 여겨질 수 있는 이러한 번역상의 난제들이 어쩌면 영어에서 독일어 그리고 다시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부지불식간에 파생된 문제는 아닌지 추측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