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장혜성(Chang Haes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269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ver the country a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o collect basic data for community use skills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order in korea. Pla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necessity and support need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listed in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are 1) Link to IEP objective of students with disorder are not enough wh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laned. 2) ecological assessment are actively practiced for prior and post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3) class-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efore community-based instruction. 4) instruction strategies that is important to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ut visual prompt is not used enough. 5) Instruction for use of money in community are not enough. Every teacher gives positive response to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but their biggest inquiry are staffs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surveyed specifically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needs, and then proposed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 KCI등재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장혜성(Chang Haes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 중심교수 계획,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행, 지역사회중심교수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위한 계획서 작성 및 실시 전 평가에서 IEP와의 연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를 계획, 실시, 평가할 때에 필수적인 과정인 현행수준파악을 위한 평가, 실시 전 답사, 가정연계, 실시 후 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인 자기결정권, 다양한 일반화, 시각적 촉진, 사전지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4) 비장애학생의 참여가 매우 저조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연령 및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비장애학생의 참여가 증가하였고, 중고등학교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수강한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보다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we will propose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fter we research community-based instruction of special class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all over Korea and teacher s support needs. We surveyed 2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over the country with questionnaire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plan, community-based instruction implementati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evaluation and support, community-based instruction necessity, and community-based instruction support needs. Several survey results can be presented. Link betwe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plan and IEP are poorly performed. Process and instruction strategy required for pl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oorly done. Peers don t participate in a lot. Eve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agree on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eachers who joined lectur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need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more than those who didn t join the lecture. High school teachers need it more than middle school teachers.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장혜성.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특수교육』, 2011, 제10권, 제3호, 5-31.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한 교사들의 경험에 초점을 둔 질적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하여 긍정적인 경험을 한 특수학교 고등부 담임교사 5명과 교사와 함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참여하여 교사의 경험을 말할 수 있는 담임교사가 추천한 자원봉사대학생 5명이었다. 데이터 수집은 문서면담, 구술면담, 포커스그룹면담으로 세가지 면담법을 사용하여 교사의 경험이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으로 경험이 변화되는지에 대한 현상을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6가지 주제와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인 교사의 경험은 주제 1 학생들에게 독립적 수행의 기회를 제공하게 됨; 주제 2 장애학생에 대한 잠재력을 발견하게 됨; 주제 3 지역사회중심교수는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함; 주제 4 학생에게 경험과 지도를 병행해야 함; 주제 5 교사의 교육방향이 변화됨; 주제 6 교육자로서 역량의 재발견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 경험기회를 위한 학교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 연수의 기회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This is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experience of teachers who undertook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five teachers of special high school and five volunteer university students who gained positive experience from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per interview, oral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hat teacher's experience is and how teacher's perspective has been changed were the core research questions. Six themes emerge from the teachers' experience: (1) they were abl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independent performance: (2) they discovered student's potential: (3) community-based teachers must instruct in a systematic way: (4) practical experience must complement theoretical instructions: (5) change of teacher's educational objectives: (6) rediscovery of capabilities as an educator.

      • KCI등재

        AAC를 활용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 ( Chang Haes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판을 활용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하여 의사소통판 사용빈도와 의사소통 형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사소통판으로 오케이 톡톡 및 자석판을 이용하여 간식 먹기, 놀이하기, 미술활동의 3가지 상황에서 자신의 요구 및 표현에 대한 의사소통 횟수를 제스쳐, 의사소통판 사용, 발성의 세 가지 범주별로 분석하여 백분율 환산하여 제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은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상황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판 사용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빈도를 높이고 제스쳐를 줄이는 효과가 있었고 일반화되었으며 3주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손쉽게 적용 가능한 의사소통판을 통한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진보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us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oard and change of communi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pplying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board.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for research plan, and four steps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maintenance were done for research.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se of communication board improve communication frequency, reduce gestures and vocal use, and these outcomes were generalized and continued after 3 week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by the communication board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easily apply in working place.

      • KCI등재

        온라인 영아발달선별 검사도구(e-DEP)의 타당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소정(Seo, So Jung),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가정이나 어린이집에서 주 양육자나 보육교사가 1차적으로 영아발달 선별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온라인 영아발달선별 검사도구(e-DEP)의 타당성 및 만족도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e-DEP의 타당성은 이미 타당성이 입증된 print-version의 영아발달선별검사도구(DEP, 장혜성, 서소정, 하지영, 2010)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2689명의 영아가 온라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온라인 본검사-재검사 및 전문가에 의한 print-version 검사 모두를 실시하는 영아는 총 310명이었다. 본 연구결과, e-DEP는 DEP와 비교 분석한 결과, 어느 정도 타당하고 신뢰로운 영아발달 선별검사도구임이 검증되었으며, 검사-재검사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영아발달 선별 검사도구 사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접근성, 타당성 및 유용성 차원에서 살펴 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현장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n-line version of Early Development Screening Test for young children(aged 0-36 months old) (e-DEP). Als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DEP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int-version of the same test(DE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89 young children(aged 0-36 months old), and 310 young children of the total sample were on-line tested, re-tested by their primary care-givers and were tested by the trained professionals at centers where parenting support services were provided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Overall internal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relatively high, as equivalent to those of the print-version of the same test(DEP).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n-line version of early development screening test was accessible and useful enough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developmental status of very young children, which were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diagnostic instrument.

      • KCI등재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혜성,서소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진단·평가와 연계하여서 조기중재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중심평가(CBA)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활용하였을 때에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영아는 장애위험군 영아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9명, 장애영아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는 「DEP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사용하여서 16주간 조기중재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비교집단 영아들이 재학하고 있는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조기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활용하였을 때에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한 장애위험군 영아집단과 장애영아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많은 발달변화를 보였다. 셋째,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 발달점수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장애위험군 영아집단보다 장애영아집단의 발달변화가 훨씬 많았다. 넷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한 장애위험군 영아집단의 의사소통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서 가장 발달변화가 많았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에 효과적인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검증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로서 선정하기 쉽지 않은 3세 미만의 영아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교육현장에서 1학기 이상의 기간에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둘 수 있겠다. It is researched in this study that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at risk can be effected when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is used. Eight young children at risk of experiment group with nine children of control group, and twelv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xperiment group with twelve children of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EP development assessment” is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was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for 16 weeks. There are four research results. First, young children at risk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meaningfully improved when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as used. Second, young children at risk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ere more improved than control group. Thi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oup were more improved than young children at risk, Fourth, communic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at risk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ere improved more than other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