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희적 상호작용성을 기초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장예은 ( Yeaeun Jang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기술의 발달로 공간의 역할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현상으로 공간디자인에서는 스토리텔링과 놀이, 체험 등의 요소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희적 상호작용성을 기초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연구방법) 가장 먼저 유희, 상호작용,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론을 차례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과정을 연구하고, 공간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분석 요소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분석 요소들을 토대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사례 연구 결과를 통해 유희적 상호작용성의 유형을 구분한다. 이러한 유형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 과정에 따른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과) 이론 고찰과 사례 분석 결과, 유희의 유형에 있어서는 미미크리(모방)에 기초를 둔 공간들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규칙성을 강조해 경쟁을 통한 재미를 얻는 체험보다는 비일상적이고 환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일탈의 즐거움을 주는 유형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작용 방식에 있어서는 매체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매체 종류에 따라 참여자가 사용하는 신체 영역이 달라졌다. 사용하는 신체의 영역에 따라 긴장성에도 차이가 발생했다. 신체의 운동성보다는 신체의 위치가 긴장성에 더욱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매체의 가변성이 클수록 시간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매체의 외관도 긴장성에 영향을 주었다. 매체의 변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보다 확인할 수 없는 상호작용의 경우에 긴장감 강하게 발생했다. 소리를 활용한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전체적인 요소들은 긴장감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에 따라 즐거움의 성격과 크기가 달라졌다. (결론) 유희적 상호작용성 공간 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목적에 따라 놀이의 유형을 선정해야 한다. 그 후, 유형에 맞는 적합한 매체를 선택해야한다. 매체 선택에 따라,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감각이 달라진다. 또한 참여자가 움직이는 신체 영역이 정해진다. 이때 외관, 소리, 질감 등을 고려해야 하며 상호작용 시간을 예측하고 디자인해야 한다. 외관, 소리, 질감 등의 요소는 공간의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공간디자이너는 각각의 디자인 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oles of space are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technology. As part of this phenomenon, elements including storytelling, play and experience are increasingly present in spatial design. These spaces are expected to constantly increase. Thus, this study begins by suggesting spatial storytelling guidelines based on playful interactivity. (Method) First of all, theories related to play, interaction, and storytelling are examined. The design processes is then researched and the analyt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in spatial design process are derived from this. Based on these analytical factors, domestic and foreign case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ypes of the playful interactivity spatial storytelling are classified. Methodology related to the design process are proposed as a result. (Results) Having examined the theories and analyzed the case studies, in terms type of pla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spaces based on mimicry (imitation) was the greatest. This means that more types employ the joy of escapade through abnormal and fantastic interaction than through enjoyable experiences based on competition by emphasizing regularity in the spatial design field. In terms of the form of interaction, the media has the greatest influence. The body part used by participa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The degree of tonicity varied according to body part. The part of body had greater influence on tonicity than body motility. Temporality was also emphasized as the variability of media increased. The exterior of media also influenced tonicity. There was higher tonicity in where which the variation process of media was unidentifiable than the opposite cases. The interaction using sound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Overall, the element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tension and the character and degree of joy were found to be different. (Conclusion) For playful interactivity spatial storytelling, play and typ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pace. The most media suitable for the type must then be selected. The senses used during interaction differ according to the media selected. The body parts which participants move are also selected. Exterior, sound, and texture must be considered and design should be conducted once interaction time has been predicted. The elements - exterior, sound, and texture - are influenced by space. Spatial designers must therefore organizationally understand respective design elements and comprehensively take them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