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활용의지와 활용인식 분석

        장순선 ( Soon-sun Jang ),이옥화 ( Ok-hwa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학생 중심 교실수업 개선을 목표로 하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보급을 앞두고,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활용의지와 활용인식들을 조사하고, 활용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활용인식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55%가 다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싶어하였다. 활용인식은 탐구 가능성, 흥미성, 만족성, 상호작용성, 학습효능성, 편의성 순으로 높았다. 활용인식 중에 흥미성만이 활용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작기반 이러닝 학습 시스템을 위한 첼로 연주 모델링 연구 개발

        이옥화(Ok-Hwa Lee),장순선(Soon-Sun J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0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초고속망을 활용하여 온라인 첼로 교육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악기 교육은 일대일 면대면 교육으로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 경우 전문 음악가를 선생님으로 만나기 어렵고 또 레슨에 따르는 비용 부담도 높아, 악기 음악 교육은 특수층에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악기 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사교육비 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역적 제한 없이 전문가로부터 음악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오프라인에서의 첼로 레슨의 현장성과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고화질과 음질이 가능한 초고속망을 활용한 온라인 첼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고속망 활용 온라인 첼로교육에 참여했던 학생들과 첼리스트들은 온라인 레슨이 면대면 학습에 비해 현장감이나 교사와 의사소통에 큰 차이가 없음을 검증해 주었다. 향후 온라인 음악 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초고속망, 대형스크린, 비디오카메라 등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상시되어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online cello education using the broad band network. Traditionally instrument instruction has been conducted through face to face off line education. But it shows difficulties of meeting professional musicians and high cost which limits instrumental education only to special group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method, that is the online cello education using high broad band network. The online cello education through high speed broadband network successfully showed the visual and audio quality. Students and cellists participated in this new approach claimed that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online cello lesson are as real as off line education although there was a audio delivery time lag of 0.5 second which was not a problem for lessons where one plays independently. The easy access to the high speed network, hardware and software set up for the lesson is suggested to make this method to be more applicable to the public.

      • 동작기반 이러닝 학습 시스템을 위한 첼로 연주 모델링 연구 개발

        이옥화(Ok-Hwa Lee),장순선(Soon-Sun J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0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초고속망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는 온라인 첼로 교육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악기 교육은 대면교육으로 일대일 교육으로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 경우, 전문 음악가를 선생님으로 쉽게 만나기 어렵고 또 레슨에 따르는 비용 부담도 높아, 악기 음악 교육은 특수층에 제한되어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악기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사교육비 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역적 제한 없이 전문가로부터 음악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으로 첼로 연주를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오프라인에서의 첼로 연주의 화질과 음질을 유지하는 온라인 첼로 교육을 위해 초고속망에서의 화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온라인 첼로교육은 오프라인에서의 교육의 질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사용 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활용인식 분석

        이옥화 ( Ok Hwa Lee ),장순선 ( Soon Sun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4

        교육부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보급되는 초중고의 일부 교과목의 경우 디지털교과서를 2018년부터 전면 제공하기로 발표하였다. 이는 디지털교과서가 시범연구 단계에서 본격적 보급의 단계로 이행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향후 디지털교과서를 자율적으로 지속적 활용을 할 의지 여부를 물어 지속의지그룹과 비지속의지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인식들을 비교하였다. 활용인식은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6개의 구인으로 도출하였다: 상호작용성, 편의성, 흥미성, 탐구가능성, 학습효능성, 만족성. 2015년 10-11월 전국 1266명의 중학생들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한 연구결과,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46%가 자유의지에 의해 다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싶어 하였다. 학생들 중 35%가 디지털교과서 접근이 가능한 PC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과가 나와 스마트폰을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편의성은 디지털교과서에 접근을 유도하는 가장 강력한 구인이다. 학습효용성이나 만족도, 흥미도를 높이는 것도 디지털교과서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상호작용성이나 탐구가능성과 같은 구인은 활용의지에 기대보다 낮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경험자들의 향후 활용의지에 따라 그룹을 나누고 이들 간의 인식을 비교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notice in 2016 that asked public opinion what legal status of digital textbooks should hold for a few subjects when printed textbook of those subjects are to be distributed based on the 2015 updated national curriculum. This policy indicates it is the time that the study of digital textbook should focus on the directions applicable for the mas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is study asked their free will to continue to use digital textbooks and based on their will, two groups were formed to compare their recognition of digital textbook use: group to continue and group not to continue. Their recognition of digital textbook used 6 domain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prio study analysis: interaction, convenience, interests, investigation, effectiveness, satisfaction. 126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nation replied the survey in 2015 Oct. - Nov.: 46% students want to continue to use the digital textbook when the pressure from the school is not there. 35% students do not have access to the PC for the digital textbook use, which promotes the idea of using the smartphone. Convenience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the will to continue to use the digital textbook.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nd interests influence to the will to use digital textbooks also but the interaction and investigation are not as influential to promote the will to use digital textbooks as expected. The study is meaningful in recognizing groups by the free will to use digital textbooks and compare their recognition of the digital textbook uses.

      • KCI등재

        대학의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의 활용 가능성 탐색

        이은복 ( Eun Bok Lee ),이옥화 ( Ok Hwa Lee ),장순선 ( Soon Sun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학생평가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생평가(자기평가와 동료평가)와 교수평가와의 일치도,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북지역 대학의 신입생 51명으로 학생들은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두 그룹으로 나뉘어 4주간의 컴퓨터 ITQ 실습에 관한 평가활동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평가와 교사평가, 동료평가와 교사평가 사이의 일치도는 두 평가 그룹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모두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지만 동료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자기평가나 동료평가는 교사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기평가가 동료평가에 비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는데, 이는 자기 성찰의 유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평가는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교사 평가를 대체할 수 있으며, 형성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교수·학습 과정에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feasibility of using student evaluation in the computer class with practice at higher education leve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the agreement level between students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and teacher-evalu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evaluation for academic performa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51 university first year students from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They are divided into 2 groups; self-evaluation group and peer-evaluation group and conducted the student evaluation for 4 weeks on ITQ practice. The results are first self-evaluation effect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however, peer-evalu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This result is similar to many prior studies but they do not show inconsistant results. Second, both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showed high synchronization with teacher-evaluation. This results is quite consistant in many studies but it requires orientation prior to the evalu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ean that both self 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 teacher evaluation. Self evaluation method can be used for formal evaluation while peer evaluation can be for formal evaluation as well but also for summative evaluation with teachers` co-evaluation (collaborative evaluation). The instructional methods to integrate student evaluations into instructional processes for the university IT courses with practice are instruction for rubric use prior evaluation and reflection after both self and peer evaluations can enhanc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