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여성의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만족도에 관한연구

        장숙희 ( Suk-hee Jang ),이명진 ( Myung-jin Lee ),이기혜 ( Ki-hye Lee ),도희진 ( Hee-jin Do ),김진아 ( Jin-a Kim ),권은숙 ( Eun-suk Kwon ),김미향 ( Mi-hyang Kim ),장제현 ( Jee-hyun Jang ),김금란 ( Kum-lan Kim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6 No.1

        According to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role of cosmetics, recently, cosmeceuticals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consistently. Cosmeceuticals are expected to contribute much in pioneering a new market internally and raising our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cosmetic market externally. In these environments, it is essential to verify the effect of cosmeceuticals scientifically. S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duce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ordinary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for adult women. To make an accurate estimate customer behavior and purchasing pattern about cosmetics, we deduce the age-specific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ordinary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for adult women through the product famil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n these result will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 domestic cosmetic market.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from 20 to 50 year of age women was conducted in this paper. And preliminary survey targeting 32 adult women was conducted during November 17th to 22th in 2011, and main survey was conducted during November 30th to December 3rd. 284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recovered during question perio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 Depending on groups categorized by age, in contrast with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there were rather remarkable an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20’s and 30’ s in that of ordinary cosmetics. Also, in research of 40’s and 50’ s, same result with 20’ s and 30’ s was derived. On the whole, although survey results of all age group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t cosmeceuticals than ordinary cosmetics, but that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smetic market, domestic cosmetic industry insiders should provide superior cosmetics through constant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various information activities about ordinary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 KCI등재후보

        분수의 사칙 연산이 적용되는 문장제 해결의 장애 유형 분석

        장숙희 ( Suk Hui Jang ),박만구 ( Man Goo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분수의 사칙 연산 문장제를 단순한 계산적 절차로 해결하지 않도록 학생들이 분수의 문장제 해결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분수의 문장제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분수 연산을 학습하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수의 사칙 연산 문장제 1, 2차 검사지 평가 후에 반복되는 유형으로 오답을 보이는 학생들을 개별 인터뷰하여 자신의 장애 유형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분수의 문장제에서 보이는 학생들의 장애 유형은 매우 다양하여 문장제 이해와 분수의 연산을 기준으로 크게 5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 풀이 과정을 말로 다시 설명해보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장애를 인식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맞는 수준별 지도를 하여 이를 적절하게 표현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인수 학급에서 분수의 사칙 연산 문장제에 대한 학생들의 장애 유형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study the cases of obstacles from which students face when they should solve the word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auses of the obstacles and found the methods to effective guide students to solving the problems. For this study, twice tests with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were used to 5th or 6th grade students who had learned to compute the fractions. The researchers interviewed with students who responded the wrong answers repeatedly for the 1st and 2nd tests and let them know their obstacles when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From the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At first, the cases of obstacles that student showed when solving the word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were diverse. We classified these cases under 5 categories on the basis of word comprehension and calculating the fractions.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fractions, there were many obstacles to face because they couldn`t understand the concepts of fractions and fundamental mathematical knowledge. To remedy this obstacles, it was very efficient that let the students explain the procedure that they used to recognize their err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learning, the grades of these obstacles were different and immediate effects were diverse. However, many students could not solve the problems with the same obstacles. There were many obstacles that students showed while solving the word problems than calculating fractions. Thus, the fundamental learning of calculating fractions must keep pace with the comprehension of word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After analysing the cases of obstacles and the reasons, it is needed to reflect these analyses on the word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Students have diverse cases of obstacles, Consequently, it is needed to research about the methods of efficient learning to remedy the obstacles when solving the word problems related to the fraction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장숙희 ( Suk-hee Jang ),최세영 ( Se-young Choi ),박효진 ( Hyo-jin Park ),이인희 ( In-hee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7 No.1

        Recently, keen competition of global market demands the expanding individual’s capabilities, so that almost of workers who are on duty at each companies suffer from various diseases caused by job stress. These problems cause the economic loss and make our quality of life deteriorate day by day.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job stress on their physical conditions. To carry out a survey contextured by questions as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condition, we distribute 189 copies of questionnaires to workers of C healthcare center located in Cheongdam-dong, Gangnam-gu, Seoul, Korea, from June 4th 2012 to June 30th 2012. Through this survey, we could understand survey subject’s current job, workload, physical condition and the stress about their capabilities and promotion. The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hysical conditions shows that the effects of workload, physical condition and the stress about their capabilities and promo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on investigation about the subordinate factors of job stress and physical condition, it shows that excessive workload and job stress bring out muscle pain and deterioration of the condition. Finally based on this research, it will need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index of job stress deducted from accurate experiments as follow up researches. Also for development of various health care programs, diverse research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care should be progresses steadily.

      •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숙희 ( Sook Hee Jang ),김창숙 ( Chang Sook Kim ),김미란 ( Mi Ra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계를 보인 변수는 용돈수준이었다. 이를 사후검증한 결과 용돈이 매우 부족하다고 한 대상자가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용돈이 충분하다고 한 대상자가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더 높게 높게 나타났다는 Cho (2000)와 Choi와Suh (1999)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였다. 이는 용돈이 매우 부족하다고 한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생활보호 대상 등의 저소득층으로서 사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변수는 직업유무, 건강상태, 질병유무, 생활비 부담이었고, 건강상태와 생활비 부담은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직업이 있다고 한 대상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직업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직업이 없는 노인에 비해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았다고 한 Kim (200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현재 직업의 유무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 있었다.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매우 나쁘다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Ahn (2005), Park 등(2004)과 Kim (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인지할수록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의 건강상태가 양호하면 노인의 자아존중감도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노인의적절한 건강증진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병유무에 따라서는 질병이 없다고 한 대상자에서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Kim (200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만성적인 질병을 갖고 사는 노인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질병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질환을 조절하고, 질병이 양호한 범위 내에서 관리하므로 자신들이 주관적으로 질병이 없다고 여길 때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실제로 질병이 없어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도 있으므로 노인분야에서 일하는 간호사나 종사자는 노인들에게 질병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생활비 부담에 따라서는 자신이 부담한다고 한 대상자와 자신과 자녀가 함께 부담한다고 한 대상자에서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ark 등(2005)과 Kim (2003)의 연구 결과와비슷한 맥락으로 국가 보조나 타인에게 의존하거나 자녀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노인보다 본인이 경제적 능력이 있는 사람이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미미한 평균값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분석한 결과로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혼자 산다고 한 대상자와 결혼한 딸과 함께 산다고 한 대상자,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산다고 한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혼자 사는 노인에 비해 두 부부만 사는 노인에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Song (2003)의 연구 결과와는 다른 결과였다. 또한 동거가족형태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Moon (2000)의 연구 결과와도 다른 결과였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노인들의 의식 속에 노후 부양의 책임은 자녀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미혼의 자녀는 출가시켜야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다했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살고 있기 때문에 결혼한 자녀와 함께 사는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건강하다고 한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Song (2003)과 Moon (200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건강한 노인들이 생활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단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는 자아존중감은 15%를 설명하였고, 생활만족도는 12%를 설명한 것으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노인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이나 가족들, 기관들에서는 노인들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노년기를 보내는데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지 해주고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study was undertaken from June 1 to July 15, 2008 to asses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volunteers. Method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determined using previ-ously established and accepted methods.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regression. Results: Subject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closely related. The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self-esteem, social support/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15% of self-esteem and 12%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Social suppor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ocial support, which sustains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represents one of the best strategic nursing interventions.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장숙희 ( Sook Hee Jang ),박재경 ( Jae Kyoung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 능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를 토 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행복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직업과 자아 이미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먼저 직업을 살펴보면, 상업, 사업, 서비스를 가진 직업군에서 행복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업의 분포가 너무나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비교라 할 수 없겠다. 대상자 중 57.5%가 전업 주부였는데, Park과 Kim (2009)의 연구에서는 전업주부와 직장이 있는 주부는 행복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없으며, 직업을 가진 주부에서도 직업의 종류가 아닌 직업의 성취 정도가 행복에 영향을 미침을 보고하였다. 이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상업, 사업, 서비스의 직업군에서 행복정도가 높게 나온 것 은 아마도 대상자가 자유롭게 봉사를 할 수 있는 시간적, 경제 적 여유가 있는 직업성취도가 높은 구성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다른 하나는 대상자의 자아 이미지 만족정도였는데, 대상자 가 자아 이미지에 매우 만족할수록 행복이 높음을 나타내 주었다. 이는 자아 이미지에 대한 만족정도와 행복과의 관계는 순 상 관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 이미지란 개인이 대상인 객체 로서의 자기 자신과 관련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의 총 체로서(Rosenberg, 1979),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 적이든 생활경험에 근거하여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끊임없이 평가하며, 그 평가 결과는 자존감의 기초가 된다. 자기평가에서 중요한 한 가지 기준은 이상적 자기상이며 자신이 지녀야 한다고 생각하는 특성들을 의미한다. Moerretti와 Higgins (1990)는 실제적 자기상과 이상적 자기상의 격차가 적을수록 긍정적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이 증가함을 보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자아 이미 지를 위해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필요하며, 자신이 가치 가 있다는 태도와 신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대상자의 고독감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월수입이 100만 원 미 만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경제적 수준이 낮으면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들(Lee, 2004; Yang & Hong, 2003)과 일치하며, 수입원인 직업이 없을 때 고독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입과 고독감간의 관련성을 나태 내고 있는 Kwon (1998)의 연구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아마도 경제적 수준은 대상자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중요 한 수단이므로 낮은 경제력을 가진 집단에서는 대상자의 다양한 기본적인 욕구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저소득 집단에서는 자 기계발과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나 사회적으로 안정된 지위를 얻고 인정을 받는 것이 고소득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태이므로 저소득 집단에서의 높은 고독감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로 보여 진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문직의 직 업군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전문직의 과제가 단순한 직무가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필요로 하며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어 직업가치 인식 수준이 높아 지기 때문에 이러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자기효능감이 다른 직업 종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해석되며, 높은 자기효능감 을 가진 집단이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집단보다 직업 가치 인식수준이 높다는 Lee (2003)의 연구가 이를 뒷받침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취미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서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미활동은 휴식과 재미를 줌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강요가 아닌 스스로 선택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높은 자기효능감이 내제되어 있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설 1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이 고독감에 영향(β=-.450)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으나,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인 자기효능감의 교호작용을 투입한 결과는 유의하지 않아(p>.05), 가설 2는 행복과 고 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어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봉사자에게 자기효능감이 없어도 행복만으로도 고독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Yoon (1996)은 노인들이 자원봉사 활동을 함으로써 고독감이나 소외 감이 해소된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이유가 봉사 기관에 대한 소속감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소속감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이 높아진다는 Lee (2008)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인 고독감의 저하의 이유가 주관적 안녕 즉 행복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해준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이 높다는 여러 연구결과 (Koo & Kim, 2006; Park & Kim; 2009)들을 근거로 행복과 자기효능감의 교호작용시 고독감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계적 분석에서 오직 행복만이 고독감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고독감 해소를 위해서는 행 복을 더욱 증진시켜야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봉사자의 고독감을 감소하기 위해서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적용한 행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 하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roll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lonely-ness of hospice volunte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hospice volunteers in G City. This study uses the happiness scale that Lee and Yu developed, the loneliness scale that Russell revised and Park translated, and Bandura`s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OVA, and hierarchal regression by using SPSS 12.0. Results: The happiness scale of the subjects, based on general traits, was significant in occupation and image. The loneliness scale was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obby. The happiness of the volunteers affected lonelines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loneliness of the volunteers, self-efficacy did not have controlling influenc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happiness can affect loneliness without the controll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As such, it would be beneficial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hospice volunteers.

      • 스마트 외피시스템의 최적 제어를 위한 방법론 연구

        홍성기(Seong Kim Hong),장숙희(Suck Hee Jang),남윤광(Yun Gyang Nam),조성환(Sung-Hwan Cho)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5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ptimal control method and the energy saving possibility when the dimming control and suspended particles display(SPD) were applied to reduce the lighting load and the cooling load in office buildings.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except for the transmittance, and the baseline model, the dimming control model, the dimming control and suspended particles display(SPD) model were performed at 8:00 am to 7:00 pm on August 14.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oling and lighting energy usage is reduced to 21.2% compared to the baseline model.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optimum control method of the suspended particles display(SPD) to control the transmittance with time and dimming control.

      • 아쿠아로빅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김창숙(Chang-sook Kim),장숙희(Sook-hee Jang),김영재(Young-jae Kim),박명희(Myung-hee Park),이숙자(Suk-ja Lee)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9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quarobics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enty-six elderly women enrolled in an Aquarobics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6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a week during the period of 12 week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sessed using the instruments to measure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before and after the aquarobics exercise program. Data was collected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in 2006, and analyzed by frequency, paired with a t-test, using a SPS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ility,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quarobics exercise can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elderly women.

      • 제로에너지타운 성과검증을 위한 성과산정 옵션에 대한 연구

        홍성기(Seong Ki Hong),장숙희(Suck Hee Jang),남윤광(Yun Gyang Nam),조성환(Sung-Hwan Cho)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5

        In this study, we have defined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methods and procedures to assess the energy use of zero energy towns. Time series data conversion methods and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in performance evaluation option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freezer, which is an energy saving method, was measured and analyzed. we present an algorithm based on the annual base conversion and analyze it based on actual data. As a result, a k-means clustering moving average method is defined for the performance calculation option a, and the use time correction coefficient method is proposed. The validity of this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ver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