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상섭 문학에 나타난 '죽음'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본고는 다수의 염상섭 작품에서 죽음이라는 소재가 빈번히 다루어지는 현상에 주목하여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죽음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 초반 염상섭의 작품에 나타나는 죽음은 부정적인 현실에서 초월하여 영원, 진·선·미 등 형이상학적 가치들로 표상되는 진정한 삶에 진입하는 구원의 방편으로 제시되며, 이것은 죽음을 신비적이고 낭만적인 기호로 취급하는 당대 문단의 담론과 이어진다. 염상섭의 작품에서 데카당스의 대표작이나 죽음에 깊은 관심을 표명한 러시아 작품이 산발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것을 볼 때 작가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일차적으로 서구문학의 독서체험과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작품에서 나타나는 죽음의 형상은 서구의 것과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창작과정을 거치면서 작가 고유의 미학적 관념이 투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염상섭이 죽음과 창작에 대해 가졌던 생각은 '죽음의 예술화'로 정식화되는데, 죽음은 그 자체로는 일종의 자연현상에 속하지만 주관적 관념을 거치면서 미를 멱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관적 관념의 매개를 강조한 결과 1920년대 초반 발표된 염상섭의 작품에서는 죽음이 사건으로서의 의미보다는 인물의 내적 성찰을 이끌어내기 위한 계기로 설정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서사 전체가 죽음에 이르는 인물의 내적 고민과 방황의 과정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는 작품의 특성상 죽음은 주로 작품의 결말 부분에 집중적으로 제시되고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1930년대의 대표작에서 죽음이 형상화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이전 시기의 작품에서와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된다. 이상적인 구원이나 신비적인 형이상학적 가치와 연결되던 모습이 사라지고, 죽음에 이르는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려는 '죽음의 예술화'가 생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한 인물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다루는 것에서 벗어나 주변 인물의 반응이라든지 죽음 이후의 이야기 전개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서사적 차원에서의 변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죽음의 미적 인식에 관한 작가의 전면적인 태도 변화와 관련이 깊다. 1920년대 중반 염상섭의 산문에서는 죽음에 대한 미화가 일본적인 미의식과 깊이 연관된 것임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를 볼 때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일본적인 감수성에서 탈피하려는 작가의식의 소산임을 알게 된다. 또한 죽음을 계기로 인간의 내면 탐색을 추구하려는 시도가 약화된 자리에는 민족이나 사회에 대한 관심이 대체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researches on the figure of death in Sangseop Yeom's fictions. Until now, researchers regard Yeom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realist writers in Korean literature. So the theme of death in Yeom's fictions is untouched. In Yeom's fictions that were presented in early 1920s, death means entering a state of enlightenment. Death is not the termination of life, but the entrance of new stage that is filled with metaphysical value like truth, goodness, and beauty. This imagery about death seems the results of influence by romanticism. Yeom bethought how to make art with the subject matter of death. He came to a conclusion that death in itself is part of nature but passing through writers subjective, death can be part of art. The meaning of events is reduced to the lowest minimum and death is the medium that leads a person to introspection. Meanwhile, the figure of death in Yeom's works that were presented in 1930s went through a lot of changed. He did not make a mystery of death; consequently, death is treated as event for unfolding the plot. In mid-1920s, Yeom realized that the aesthetic of death have relevance to Japanese traits. (E.g. Japanese enjoy going cherry-blossom viewing and admiring the falling blossoms as the symbol of death) So the changes about the figure of death inform us that Yeom took a position contrary to Japanese sensibility. Furthermore, we can confirm that attempt to introspect with the theme of death is substituted with research on the reality of colony.

      • KCI등재

        『사랑과 죄』의 통속성과 1920년대 후반 염상섭의 장편소설 인식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2

        본고는 『사랑과 죄』에 나타난 통속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1920년대 후반 염상섭의 장편소설에 관한 인식 및 문학적 입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사랑과 죄』에 이념적 지향의 면모와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가 동시에 나타나며, 양자는 독자의 미적 체험 측면에서 대립적이라기보다 상보적인 관계에 놓일 수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되었다. 작품 분석을 위해 대중문학에 관한 여러 이론을 참고하였으며, 특히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서사 장치의 기능과 원리 및 도식적 구조를 구성하는 도덕적 관념의 의미 파악에 집중하였다. 2장에서는 『사랑과 죄』의 서사가 ‘자극과 해소’ 과정의 반복을 통한 ‘감정의 과잉’ 상태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이야기 끊기’, 정보의 양 조절, 감정이입을 통한 파토스의 생성, ‘상황’을 통한 서스펜스의 제공 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3장에서는 단순하고 명료한 도덕적 이분법에 기반한 도식적 서사 구조를 살펴보았다. 인물들은 단순하고도 구체적인 기준에 따라 선과 악의 양 극단으로 나뉘고, 선인의 고통으로 시작하여 악인의 징벌로 종결됨으로써 도덕적 정의가 구현된다. 이때 이념은 선인의 도덕적 근거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흥미를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 4장에서는 염상섭이 쓴 평론에 대한 검토를 통해 2장과 3장에서 분석된 작품의 서사적 특성이 1920년대 후반 염상섭의 장편소설 인식의 산물임을 확인하였다. 염상섭은 장편소설을 ‘대중 교도’를 위한 일종의 수단으로 여겼으며, 흥미성과 공리성이 동시에 확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작품에서는 독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흥미를 통제하기 위한 개입이 수시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흥미와 관련된 기본적인 정서적 체험의 하나인 ‘위안’의 형식마저 파괴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모습은 이 작품이 장편소설 창작을 통해 대중을 교도하겠다는 작가의 문학적 입장이 작용한 결과임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opularity of Love and Sin, and to examine Yeom Sang-seop’s literary stance in the late 1920s. In Love and Sin, we can find ideological orientations and elements of interest at the same time, the former and the latter can be in complementary relations in terms of reader’s aesthetic experience. This thesis consulted popular literature theories to analyze Love and Sin that has been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Yeom’s realistic literature. Chapter 2 analyzed narrative strategies of Love and Sin. Repetitive processes of excitation and relaxation aim for reader’s emotional excess. For this narrative purpose, it utilized dividing running stories, controlling information, pathos, situation, suspense. Chapter 3 examined schematic narrative structure. It based on moral polarization between good and evil. Protagonist’s agony arouses pathos, and punishment toward antagonist leads to upsurge of suspense. In Love and Sin, ideological issues are not contrary but correspond to popularity. Chapter 4 checked that combination element of interest and ideological subject is the product of Yeom’s stance and perception about novel and literature in the late 1920s. He regarded novel as a tool for edification of the public. First of all, novel have to be interesting to attract public’s attention. And then, novel have to hold value direction to guide readers onto the right path. In Love and Sin, there are many interventions to arouse or restrain readers’ interest. They confirm that Yeom intended edification of the public by writing novel.

      • KCI등재

        김말봉『밀림』의 통속성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9

        본고에서는 김말봉의『밀림』을 대상으로 통속이냐 본격이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논의에서 벗어나 통속적 상상력 자체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감정의 과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독자에게 흥미의 체험을 제공하려는 서사전략을 분석하였다. 적절한 시점에서 지속적인 자극적 요소를 제공하는 서술은 서스펜스와 상황의 창출로 이어지며, 독자들에게 생생한 감흥을 드러내 보이려는 서술적 욕망은 영화적 상상력의 활용이나 상세감각의 제공으로 확인된다. 3장에서는 사상 문제에 대한 관심이 도덕적 양극화를 통한 선악의 이분법적 도식성을 강화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선과 악의 대립이라는 중심플롯의 층위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과잉은 작품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면서 보다 근본적인 감정의 고양을 이끌어낸다. 사상의 문제는 선인의 고통을 통한 파토스의 창출, 악인에 대한 형벌을 통한 서스펜스의 고조와 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밀림』에서의 사상 문제는 통속성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통속성을 강화하는 장치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돈, 사상, 사랑에 대한 의미화와 관련하여 그것이 당대 독자들의 이중적인 욕망을 드러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작가는 현실의 문제에 대한 자신의 이상주의적 가치 지향을 드러내고자 노력하였지만 대중소설은 작가의 이상주의적 견해의 소산이라기보다는 대중독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보편적이고 평균적인 상상력으로 담아낸다. 그 결과 『밀림』에서는 세계에 대한 이중적인 욕망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밀림』에서 서로 모순되는 이데올로기가 공존하는 현상은 작가의 개인적인 신념을 넘어서 당대 대중의 정서(감정의 구조)를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thesis researches the popularity in Mal-bong"s Kim Millim(Jungle) in order to reconsider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he existing researches about Mal-bong"s Kim novels ar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according to a standpoint about popularity. Critics of Kim"s novels criticize the popularity because her works are indifferent to contradiction in world and they cater to a depraved popular taste. On the other hand, advocates emphasize the awareness of reality in her works and it overcomes the defect of popularity. In spite of confrontation, existing researches seem to presuppose a common notion that popular novels inferior to serious novels. Chapter 2 analyzed narrative strategies of Millim. The principle is excess to provide interest for readers. Suspense, situation, cinematic imagination, and the sense of details are main narrative devices and the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arouse vivid emotional inspiring. Chapter 3 examined subject matter on ideology. It contributed to intensify the extreme moral polarization between good and evil. Dong-seop(protagonist)"s agony that results from an ideological introspection arouses pathos in novel. Ideological and moral punishment toward Sang-man(antagonist) who represents wicked capitalists leads to upsurge of suspense. At least, in Millim ideological issues are not contrary but correspond to popularity. Chapter 4 checked the meanings about money, ideology and love in Millim. Kim Mal-bong tries to express her value orientation toward contemporary social contradictions but a popular novel is not only the products of author"s idealism but also the reflection of reader"s ambivalent desire. So opposing ideas appear in text simultaneously. Coexistence of conflicting ideas in a work is interpreted as a result from the public reader"s the structure of feeling beyond author"s individual creed.

      • KCI등재

        이해조 신소설의 가정소설적 특성 연구 - 1910년 이전 『제국신문』 발표 작품을 중심으로 -

        장두영(Chang, Du-Yeong)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이 글에서는 1910년 이전 『제국신문』에 발표된 이해조 작품의 가정소설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흔히 신소설에서 확인되는 가정소설적 특성은 고소설의 유제로 인식되어 소설사적 발전 단계상 미숙함을 보여주는 근거로 간주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해조 작품의 가정소설적 특성을 단순히 고소설의 반복으로 보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전대 소설과의 차이점 확인, 작품에 반영된 개화기 시대상 분석, 가정 위기 극복의 서사에 담긴 개화에 관한 작가 인식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 우선, 전대 가정소설은 여성인물의 고난을 중심으로 펼쳐지지만, 이해조 작품에서는 가족이라는 집단 전체의 운명이 부각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히 가장의 부재나 무능이 가정 위기의 근본 원인으로 확인되며, 이에 이해조 작품의 가정소설적 서사는 가족 전체 차원의 위기가 발생했다가 가부장의 권위가 회복되고 가정의 질서를 되찾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로 파악할 수 있었다.(2장) 다음으로 가정의 운명이 하강하도록 서사 내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악인 인물을 살펴보았다. 전대 소설에 등장하는 본래적 악인과는 달리 이해조 작품의 악인은 개화기 신분제 변동과 그로 인한 개인적 욕망의 증대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기생, 인신매매, 개항장 등 개화기 사회 변동의 산물이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이것이 인물 설정과 사건 전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3장) 마지막으로 가정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기능하는 인물 유형을 살피는 동시에 개화를 바라보는 작가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위기의 발생과 극복이 모두 신문물의 이용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작가는 신문물이라는 수단을 누가 적절하게 사용하는가에 관심을 보였다고 파악하였다. 이러한 관심은 의리를 지키는 충직한 조력자와 개화주의자인 동시에 전통적 질서를 옹호하는 구원자 형상으로 나타난다. 요컨대 이해조 소설의 가정소설적 형식은 가부장제 질서로 대표되는 전통 윤리를 바탕으로 서구 근대 문물을 수용하겠다는 중도적 개화사상을 담아내는 데 적합한 도구였다고 할 수 있다.(4장)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novels in Yi Hae-jo"s works published in Jeguk Sinmun before 1910. Often, the features of family novels in sinsoseol are regarded as a legacy of old novels, and thereby considered immature in terms of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the novel history. This paper questions the perception of judging the family novel characteristics of Yi Hae-jo"s works as simply reiterating an old novel, ascertains how it is different from the old novel, analyzes the image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reflected in the work, and reviews the writer"s perception of enlightenment contained in the narrative of overcoming a family crisis. First, this paper states that the narrative of old family novels revolves around the hardships of female characters, while Yi Hae-jo"s works highlight the fate of the entire family. In particular, the absence or the incompetence of the head of the family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root cause of family crisis. In this regard, Yi Hae-jo"s family novel focuses on the crisis affecting the entire family and the process of restoring family order. (Chapter 2) Next, the paper looks at the negative character that plays a practical role in ensuring the downfall of the family. Unlike the evil fictional characters in old novels, the villain in Yi Hae-jo"s work reflects the changes in the social standing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 which led to an increase in personal desires. It also established that developments that reflected social change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 such as the invasion of parasites, human trafficking, and open ports, were incorporated in the work; this was directly reflected in the characterization and the unfolding of events. (Chapter 3) Finally, the novel analyzes the characters that helped a family overcome a crisis, and examines the writer"s perception of enlightenment. Both the occurrence and the overcoming of the crisis are related to the portrayal of modern culture by the author. The writer"s characters developed into a loyal helper and a savior who is a reformer and advocate of traditional order. In short, Yi Hae-jo"s family novel format is a suitable tool to capture the moderate enlightenment thought of accepting modern Western culture based on traditional ethics represented by a patriarchal order. (Chapter 4)

      • KCI등재

        베트남전쟁 소설론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본고는 베트남전쟁의 현장을 정면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한국군 파병을 둘러싼 당시의 정치사회적 담론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베트남 파병논리는 반공이데올로기를 전면에 내세우는 동시에 경제적 실리를 추구하였다. 참전 군인은 파병담론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합의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사회는 참전 군인을 경제발전의 기초를 마련한 역군이자 국위를 선양한 영웅으로 미화하였다. 베트남전쟁 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야만스러운 베트남인의 이미지는 파병논리가 형성한 아류제국주의적인 편견의 결과이다. 그러나 베트남전쟁 소설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편견이 담긴 묘사는 현장을 충실히 재현하는 작가의식의 소산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계기로 자기반성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참전과 파병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제기와 베트남인에 대한 편견을 스스로 교정하려는 의지가 발견된다는 점에서 소설적 형상화의 의미부여가 가능하다. 전쟁 체험의 강렬함에서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는 작품들에서 베트남전쟁을 해석하려는 의지를 발견할 수 있다. 과거를 회상하며 전쟁 현장을 재구성하는 작품들에서도 파병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다. 미국의 문화에 친화를 보이는 이들 작품은 파병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별다른 거부나 저항 없이 이루어진 배경을 짐작케 한다. 한국과 베트남의 역사적 상동성에 근거하여 베트남전쟁을 해석하려는 작품들은 파병논리를 반복하거나 비현실적인 대안 제시로 그치는 한계를 노정한다. 이는 지배담론으로부터 벗어나기가 쉬운 일이 아님을 예증한다. 한국을 베트남과 상동성을 지닌 피해자로 규정하거나 참전 군인을 일방적으로 전쟁의 희생자로만 규정할 때 쉽게 자기합리화의 회로에 빠져드는 반면, 역설적으로 전투의 현장에서 빠져나옴으로써 가해자로서의 입장을 반성적으로 서술할 가능성이 확보된다. 요컨대 베트남전쟁 소설의 의의는 파병논리와 전쟁체험이 유도하는 자기합리화에서 벗어나는 길 찾기로 정리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novels depicting Vietnam War in Korea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literary works and social-political discourses about the dispatch of forces to Vietnam. The discourses about dispatch of forces urged the necessity of anti-Communism internally and pursue economic returns from America externally. Most Vietnam veterans cannot free from the effect of consensus about the dispatch of forces in Korea. Public opinions glorify dispatched Vietnam veterans as pillars of society and heroes who boost National prestige abroad. The images of barbarian Vietnamese that are commonly discovered in the novels depicting Vietnam War in Korea are the result of prejudices produced from sub-imperialism and discourse about dispatch. But such representations have to be regarded as the causes of authors’ consciousness because they can lead readers to self-reflections. And the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and dispatch to Vietnam War are worthy. In addition, those works try to overcome prejudices; it is in need of reconsideration. Intentions to interpret Vietnam War can be found in works keeping a distance from intensity of experience of war. The atmosphere of society at that time can be perceived in works recalling the scene during war. These works have no feeling of refusal toward American culture, and it tells us the background of social consensus about dispatch. Works based on homology between Korea and Vietnam expose limits such as plain reproduction of discourses about dispatch or unrealistic proposals. It exemplifies the difficulty of escaping from dominant power of society. Both setting Korean and Vietnamese peoples to victims and treating soldier as suffers have an aptitude to fall into circuit of self-rationalization. Paradoxically, escaping from battle field, reflective narration about harmer’s position can be established. In brief, the significance of Vietnam War Novels is escaping the circuit of self-rationalization that is induced by logic of dispatch and experience of war.

      • KCI등재

        염상섭 초기 문학론의 형성과정 연구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early development of Yeom Sang-seop’s literary theory in 1918∼1921. Before starting Yeom’s literary career as a fiction writer, he wrote several critical essays under the name of Jewol. They are mostly related to two arguments. The issues of the argument between Yeom Sang-seop and Hyeon Sang-yun ar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Yeom was insistent in the advocacy of individualism against Hyeon who was the center of Korean student studying in Japan and a believer i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Yeom quoted Natsume Soseki’s idea about individualism to back his argument. Individualism that Yeom accepted at that time led to the theory about individuality in 1920’s. The argument between Yeom Sang-seop and Kim Dong-in lead Yeom to systematize literature theory. Yeom’s gave an obscure answer to Kim’s question at an early stage of argument. In the argument continued, Yeom suggested the concept of author’s self-expression and he elaborated the concept. In this argument, Yeom borrowed Natsume Soseki’s idea about art and artist. But it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Yeom’s opinion. In his opinion, we can find some keywords that form basic of Yeom’s literary theory in 1920’s and those keywords don’t coincided with keywords of Natsume Soseki’s theory. Two arguments associated with Yeom’s entry to literary circles. Going through two arguments, he considered individuality and writing fiction. Several essays in early 1920’s such as “Under a tree of heaven”, “Individuality and Art” show that Yeom emerged from influence of Natsume Soseki and he was trying to establish his own independent literary theory. In short, Yeom Sang-seop addressed himself to the theme of art and literature in consequence of two arguments and attained the theory of individuality.

      • KCI등재

        염상섭 단편 「박래묘」의 상호텍스트성

        장두영 ( Chang Du-ye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4

        이 글에서는 염상섭의 첫 소설 작품인 「박래묘」의 상호텍스트성을 살펴보았다. 「박래묘」는 미완으로 남은 작품이라는 점에서 단독 작품론보다는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해석상의 여백을 보완하고 나아가 작품의 자리매김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박래묘」가 나쓰메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패러디한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두 작품 간의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박래묘」의 주제와 기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염상섭의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박래묘」에서 표명되었던 작가의 문학적 관심이 이후에도 지속되고 확장되었음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패러디 기법과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패러디를 ‘비평적 거리를 둔 반복’으로 파악함으로써 형식적 구조와 실용적 효과를 동시에 아우르려고 하는 린다 허치언의 이론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소재적 유사점의 확인을 넘어 염상섭이 의식적으로 패러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패러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독자들이 텍스트 간의 거리를 의식하면서 작품을 해석하도록 요청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패러디 작업은 새로운 의미와 맥락의 생산으로 이어지는 데, 「박래묘」는 풍자의 수법과 나쓰메 소세키의 ‘자기 본위’ 주장을 전유함으로써 식민통치를 비판하고 주체적 근대화를 촉구하였다. 한편 「박래묘」는 염상섭의 다른 작품과도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맺는다. 「박래묘」에 나온 독특한 소재나 발상이 이후에 염상섭이 발표한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며, 특히 『만세전』에서 ‘여행을 통한 관찰과 풍자’라는 주제가 반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점에서 「박래묘」는 1920년대 초반 염상섭의 문학적 지향을 가늠케 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intertextuality of “Imported Cat” (Baklaemyo), the first piece of fiction written by Yeom Sang-seop. “Imported Cat” is an unfinished work, so comparisons with other works supplement analytical deficiencies and help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k.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Imported Cat” is a parody of I am a Cat (吾輩は猫である)(1905), and tries to understand the subject and technique of “Imported Cat” by analyzing the mutual textual relationship between two works. This paper also attempts to examine the continuity and development of the Yeom’s interest revealed in “Imported Cat”. In analyzing parody, Linda Hutcheon’s theory that regards parody as a repetition with critical distance was mainly us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Yeom consciously parodied the original text and that the reader is required to be conscious of the distance between texts. This parody technique leads to the production of new meanings and contexts. “Imported Cat” criticizes colonial rule and calls for autonomous modernization by appropriating satire and Natsume Soseki’s individualism. The textual relationship with the other of Yeom’s works is also noted. The unique material and idea of “Imported Cat” are repeated in other works. Especially in Before Hurrah (Mansaejeon), the theme of “Observation and Satire During Travel” is repeated. In this sense, “Imported Cat” is an important medium through which Yeom’s literary interests in the early 1920s can be measured.

      • KCI등재

        염상섭 소설 속 악녀의 출현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5

        이 글에서는 염상섭이 발표한 세 편의 장편소설 『사랑과 죄』(1927), 『이심』(1928), 『광분』(1929)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악녀형 인물’의 서사적 기능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1920년대 후반 염상섭의 소설 창작 방법에 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악녀형 인물은 염상섭이 이전 시기에 발표한 작품에 등장하였던 타산적이고 허영심 강한 신여성 인물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악녀형 인물의 가장 큰 특징은 그들이 직·간접적으로 범죄와 연결되어 있는다는 점인데, 소설 속에서 범죄는 악녀형 인물의 비이성적 면모와 도덕적 타락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소설의 플롯 전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한편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일본 유학생 시절 축적된 작가의 체험이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형성하였으며, 이것이 소설 창작에 영향을 미쳤다고 파악하였는데, 이런 접근법은 1920년대 초반 작품에 나오는 신여성 인물 분석에는 유용하게 활용되지만 1920년대 후반 새롭게 출현한 악녀형 인물의 분석에서는 여러 난점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작가의 실제 경험이 아닌 외국 문학 작품의 독서·번역 같은 간접 경험에서 창작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장편소설에서 흥미와 윤리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작가 염상섭의 의도가 악녀형 인물을 통해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악녀형 인물에 관한 검토는 1920년대 후반 염상섭의 문학적 관심과 소설 창작 방법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유용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function of wicked female characters in Yeom’s novels (Love and Sin(1927), Two Minds(1928), Rampage(1929)) and examined his methods for creating novel in late 1920s. Wicked female characters are distinguished from New woman characters in his previous works in early 1920s.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wicked female characters is that they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crimes. In the novel, crimes clearly reveal wicked female characters’ irrational characteristics and moral corruption and have decisive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the plot. Preceding studies that consider the author’s experience as source of creation have advantages in analyzing New woman characters in early 1920s but have some difficulties in analyzing wicked female characters in late 1920s. Therefor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indirect experience like reading and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ry works. Yeom’s intentions to pursue interest and lesson simultaneously were implemented by wicked female characters.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Yeom’s literary interest in late 1920s and the changes in methods for creating novel.

      • KCI등재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론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김남천 작 『사랑의 수족관』에 관한 논의는 주로 통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통속성의 문법을 채용한 결과 작가의식의 퇴보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작품에 대한 접근시각을 달리하여 ‘식민지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의 식민지 경성은 식민지 경제성장을 위한 총독부의 정책과 경제공황 이후 만주진출로 인한 일본 경제의 급속한 회복으로 조성된 경제적․사회적 결과물이다. 조선의 공업화 과정에서 일본 대기업 독점자본이 한국을 경유하여 만주로 진출하게 되고, 조선인 자본가는 일본 자본과 결탁하여 유래 없이 막대한 이익을 취한다. 이 점에서 조선인 자본가의 영애인 이경희와 일본 철도회사 직원 김광호는 각각 조선자본과 일본자본의 수혜자인 셈이다. 한편 1930년대 경제성장은 ‘만주침략=만주진출’의 관계에서도 드러나듯 일본의 군국적 제국주의의 확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주붐으로 표현된 경제적 이윤추구 이면에는 제국주의의 확장을 위한 규율과 규범의 내면화를 가용하는 동일화의 논리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식민지 경성의 인물들은 이데올로기 장치의 ‘호명’되어 주체를 형성한다. 개인은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화’라는 주체형성의 요구에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다. 현상에 대한 분석을 결여한 채 감정과 인상에 의존하는 이경희의 시선은 대상을 이상화하고 욕망함으로써 동일화의 가능성을 열어둔 반면, ‘방관자’를 자임하여 분석과 해석을 통해 대상을 추상화하려는 김광호의 시선은 판단정지를 통해 전면적인 동일화를 유보하고 있다. 이경희는 자선사업을 통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지만 결국 식민지인을 타자로 설정하고 통제하려는 식민당국의 논리에 동화되어 버리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 무비판적인 동일화를 유보하던 김광호 역시 현실의 거대한 힘에 눌려 정신적인 방황을 거듭한다. 그의 분석적인 시선은 아직 식민지 자본주의 전체를 조망할 만한 인식능력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인물들이 외부 세계인 만주를 경험하고서 크게 변화한다. 만주는 식민지 본국의 독점자본세력과 군부를 중심으로 한 제국주의 세력이 결합하여 건설한 근대적 공간이었다. 조선에 작동하는 자본주의와 식민권력의 복합작용은 내면화되었기에 쉽게 파악할 수 없었지만, 외부 세계인 만주에서 현실의 작동 원리를 목격하는 것이다. 이에 이경희는 자신의 신념이 내포한 허약성을 깨닫게 되고, 김광호는 시선의 방법론을 강화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입각지를 마련하고서 경성에 복귀한다. 그러나 작가는 김광호가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걷게 될 지는 미지수로 남겨둔다. 작가 스스로도 체제의 위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제 규율의 내면화가 강요되는 상황에서 무비판적인 동일화라는 투항을 함몰되지 않고 비동일화의 가능성을 암시함으로써 우회의 방법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사랑의 수족관』은 단순한 통속성을 벗어나 진일보를 성취하고자 한 작가의식의 소산이라 결론내릴 수 있다. Kim Namcheon's An Aquarium of Love has been paid attention to in a respect of popularity for a long time. For example, it's said that a grammar of 'popularity' which Kim adopted in his work made his critical mind as a writer blunt. But this thesis accepts the word 'colonial capitalism' as a keyword to understand the colonized Chosun. Kyoungseong is a city in which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employed the various policies to develop the colony and Japanese economy recovered through the advance to Manchuria. Japanese conglomerate's monopolistic capital went through Chosun to Manchuria and Chosun capitalists sponged on it. From this point of view, Lee Kyounghee and Kim Kwangho benefited from the colonial capitalism because the former is a daughter of Chosun capitalist and the latter is an official of Japanese railroad company. On the other hand, economic development in 1930s, as you know it's achieved from the invasion to Manchuria, is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Imperial Japan emphasized on and enforced the identification that people had to accept the rule of Imperialism to benefit from 'Manchuria Boom'. For instance, the colonialized are supposed to have the identities that were made by the 'interpellation' of Ideological Appuratus. This Process doesn't directly make the identities. The characters each response upon the call. Lee Kyounghee tried to accept the identity with the imperial self-consciousness with a point of impressive and sentimental view. She doesn't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only to idealize and desire them. For example, she has a conviction that she can develop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haritable works. But this conviction has the same logic that Imperial Japan can govern and control Chosun and Manchuria, the other. While, Kim Kwangho denies to accept absolutely the identity that imperial Japanese capitalism enforce. He, as an observer, tries to make the present situations abstract b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ut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reality makes Kwangho also wanders mentally because he has no analytic eyes to see the whole 'colonial capitalism' with. Characters' limitations are changed after their experiences of Manchuria, out of Chosun. Manchuria was the modern space that wa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colonial monopolistic capitalism and the Japanese militaristic imperialism. Characters in this work don't easily know the capitalism and the colonial authority because they internalized them in Chosun, while they can easily know them in Manchuria because it's outside of Chosun. So, Kyounhee perceives the fragility in her conviction and Kwangho comes back to Kyoungseong, which he can analyse with the methodological and objective eyes. Kim Namcheon, the writer didn't show Kwangho's future to us. It's left just a potential possibilities. Maybe even Kim didn't know the authority and influence of imperial Japan and its representative Kyoungseong. But in An Aquarium of Love, Kim showed characters to us that denied the identification logic which the capitalism of imperial Japan enforced to them. For this reason, we can conclude this work An Aquarium of Love results from the writer's critical mind to attain the progressive step forward from a simple popularity.

      • KCI등재

        염상섭의 모델소설 창작 방법 연구 : 「너희들은 무엇을 어덧느냐」를 중심으로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너희들은 무엇을 어덧느냐」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주제상의 성공과 구성상의 실패를 지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고는 이 작품에서 나타난 형식과 내용의 불균형이 모델소설 창작 방법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창작 과정에서 ‘힌트’를 얻은 것과는 달리 ‘모델’을 활용한 것은 창작 외부에서 스토리와 인물설정의 상당부분을 도입함을 의미한다. 외부의 실재성을 창작에 활용하는 것은 당시 일간지에 장편을 연재하게 된 작가의 입장에서 창작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다. 선험적으로 주어진 스토리에 의존함으로써 작가는 디테일의 창조에 주력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염상섭의 작품은 내적독백 위주에서 심리묘사의 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실재성에 치중하다보면 사건 전개의 인과성이 약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플롯 대신 스토리 위주의 구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성상의 산만함이라는 약점은 작품의 연재 도중 모델 당사자들이 연재중단을 요구하고 나선 외부의 우발적 상황과 결합되면서 그 정도가 심화된다. 이는 덕순-한규-경애의 삼각연애를 중심으로 한 상편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인물갈등구조를 중심으로 한 중 · 하편으로 바뀌게 되는 현상에서 확인된다. 비중이 덜하였거나 새롭게 등장한 인물에 대해 다시 인물성격화의 노력을 반복함으로써 서사 전개는 지연되고 대신 디테일의 풍성함은 증가하게 된다. 소설의 구상의 방식을 ‘사건적 흥미’, ‘성격적 흥미’, ‘배경적 흥미’라는 세 가지로 구분하는 염상섭의 소설작법을 참고할 때, 염상섭의 모델 소설은 ‘사건적 흥미’보다는 다른 두 요소를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물과 시대적 분위기를 제시하는 데 치중한 작가의 구상은 작중 인물인 명수를 통해 세부양상이 실현되고 있다. 명수는 스토리 전개, 인물 성격화, 작가적 의도의 표명 등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법적 장치로 규정할 수 있으며, 연애관계를 ‘인간학 연구의 재료’라고 여기는 그의 태도에서 당대의 인간군상과 시대적 분위기를 형상화하려는 염상섭의 모델소설 창작 방법의 목표를 확인할 수 있다. Sangseop Yeom’s “What Have You Gained” has been commended on theme, but criticized for narrative construction.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e success of theme and the inadequacy of construction have relevance to the creation styles of ‘model-fiction’. Drawing from a living model means that author tried to introduce stories and characters from the outside of fiction. This creation styles can lighten author’s burden of publishing a novel serially for the first time. Depending on a true story gives author room to concentrate his mind on creating the details. Consequently Yeom’s works enter the phase of psychological description escaping from the phase of inner monologue. But depending on the actual excessively can weaken the causality’ of unfolding events. For such reasons, “What Have You Gained” focuses more on story than plot. The incompactness of constitution intensified because of accidental variables like demands to stop publishing of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The main characters’ abrupt recession and new main characters’ appearance show the effect of external variable. Repeated efforts of characterization about new characters cause delays of narration and faithful depictions. To consult the Yeom’ s novel writing that determinants of writing plans are classified into event, background, character, “What Have You Gained” lays emphasis on background and character. Author’s plan to describe minutely the details of characters and the atmosphere of the times makes a figure, Myeong-Su. He performs his tasks such as developing story by being involved in events, characterizing other persons by providing perspectives, and delivering a message by uttering instead of author. And he regards love affairs as materials of anthropological research. His attitude to other people and society in 1920’s confirms what the aim of Yeom’s ‘model-fiction’ 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