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yncML 기반의 자료 동기화 클라이언트 개발

        장대진(DaeJin Jang),박기현(KeeHyun Park),주홍택(Hong Taek Ju)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1 No.4

        최근 이동컴퓨팅 기술과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무선 이동 단말기가 매우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무선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중앙 통합 서버의 자료와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의 자료를 일치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자료 동기화(Data Synchronization)라고 한다. 현재 주요 단말기 제조 회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타 동기화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각각의 단말기와 응용 서비스 간의 호환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무선통신 업체가 주축이 된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SyncML(Synchronization MarkupLanguage) 자료 동기화 방법을 제안하여 공개적인 표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yncML 표준 규격을 준수하면서 PDA와 같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PIMS 데이타를 동기화하는 자료 동기화 클라이언트를 개발하였다. According to the recent advancement of mobile computing technology and the hardware technology, the mobile device has rapidly come into wide use. The data i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needs to confirm to that in mobile devices in order for the mobile device users to access the needed data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is is called Data Synchronization. Currently, major mobile device manufacturing companies provide the data synchronization solutions, but these solutions are not compatible with other mobile devices/other applied servic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MA(Open Mobile Alliance), mainly composed of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has suggested using the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data synchronization method. This is an attempt to make a public standard. In this paper, the data synchronization client that synchronizes the 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ata in mobile devices like PDA is developed, complying with the SyncML standard requirements.

      • KCI등재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 상호 운용을 위한 SyncML 기반의 통합 자료 동기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장대진(DaeJin Jang),박기현(KeeHyu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2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와 중앙 서버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자료에 대한 동기화는, 효율적인 이동통신 환경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회사들은 각기 고유의 자료 동기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회사가 다른 단말기들 간의 자료에 대한 상호 운용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OMA(Open Mobile Alliance)의 공개 표준안인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자료 동기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자료 동기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즉, 서로 다른 동기화 방식의 자료를 SyncML 방식의 자료로 변환하는 통합 자료동기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 상호 운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통합 자료 동기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WinCE 기반 ActiveSync 방식의 자료, PalmOS기반 HotSync 방식의 자료 및 OMA의 SyncML 방식의 자료들 간의 상호 운용이 가능하다.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data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data in a central server is one of essential tasks for efficient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Since, however, manufacturers of mobile terminals have their proprietary data synchronization mechanisms, data interoperability can hardly be achieved. In this paper, an integrated data synchronization gateway based SyncML is designed and implemented. SyncML data synchronization is one of open standards proposed by OMA(Open Mobile Alliance). In other words, by constructing a data synchronization gateway which can transform various proprietary data into SyncML data and vice versa, data interoperability between mobile terminals which use different data synchronization mechanisms can be achieved. With an integrated data synchronization gateway system implemented in this work, interoperability among WinCE-based ActiveSync data, PalmOS-based HotSync data and OMA SyncML data can be achieved.

      • KCI등재

        OMA DM을 기반으로 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에이전트 설계 및 구현

        박주건(Jugeon Pak),박기현(Keehyun Park),장대진(Daejin Jang),장명숙(MyungSook Ja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4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과 서비스가 고도화됨에 따라 단말기 내의 복잡도가 증가되고 있고 관리 또한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단말기 관리를 위해 단말기 관리 표준안인 OMA(Open Mobile Alliance) DM(Device Managemen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에이전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에이전트는 현재 ADD, DELETE, REPLACE, GET 명령을 통해 기본적으로 설정 값을 관리할 수 있다. 추후 오류보고, 소프트웨어 설치 및 배포 등의 추가 기능을 위해 각 모듈을 분리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러므로 관리 명령을 해석 및 생성하는 모듈의 수정 없이 명령어 처리를 담당하는 어댑터 부분만을 수정하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단말기 관리 에이전트는 국내 표준 플랫폼인 위피(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에이전트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OMA DM 기술을 위피 플랫폼 상의 에이전트에 적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위피 플랫폼의 기능적 적합성 검증 뿐만 아니라, OMA DM 기술의 확산을 위한 실질적인 개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제안된 에이전트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SK WIPI SDK v1.2를 사용하였고, OMA DM 에이전트 테스트용 서버인 Funambol 서버와 연동하여 단말기 관리작업을 수행하였다. Mobile devices become more complex and harder to manage due to the advance of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DM Agent based on OMA(Open Mobile Alliance) DM(Device Management) which is a standard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The proposed DM Agent basically can manage parameter configuration through the commands ADD, DELETE, REPLACE and GET currently. Each module of the agen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separately fo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error reporting and software management. So the additional functions can be added by modifying Adaptor part which processes the management commands instead of modifying other modules which analyze or generate management commands. The DM Agent proposed in this paper is implemented based on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therefore portability of the agen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is research can give a development example for dissenminating OMA DM as well as verify functional compatibility of WIPI platform. SK WIPI SDK and a Funambol DM test server are used to test operations of the implemented DM Agent.

      • SCOPUSKCI등재

        Development of the Multi-DOF Myoelectric Hand Prosthesis with the Intuitive Control Algorithm

        정성윤(Sung Yoon Jung),김승기(Seung Gi Kim),장대진(DaeJin Jang),김신기(Shin Ki Kim),박세훈(Se Hoon Park),김주형(Joo-Hyung Kim)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0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7 No.2

        This paper proposes a myoelectric hand prosthesis with an easy control strategy to apply more conveniently with just two EMG sensors. Th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is composed of a multi-DOF finger mechanism, a controller, and an intuitive control algorithm. The developed hand prosthesis has 6-DOFs and can perform eight hand motions using the intuitive control algorithm. The proposed intuitive control algorithm classifies four grip motions and four gesture motions; we used the thumb position of the hand prosthesis and three EMG signals (Co-contraction, flexion, and extension) generated from the two EMG sensor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yoelectric hand prosthesis is applicable to amputees as a hand pros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