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ouble U-tube 지중열교환기 설계법 정립을 위한 해석적 검토

        임효정(HyoJeong Lim),천동하(Dong Ha Chun),배상무(Sang Mu Bae),전재영(Jae Young Jeon),남유진(Yu Jin Nam) 대한설비공학회 2017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6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GHE) is higher coefficient of system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heat source system. For the high performance of the GSHP syste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ground heat exchanger (GHE). However GHE depends on various design factor such as double U-tube diameter, grout thermal conductivity and shank space, Therefore, In this research GLHE-Pro was calculated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borehole and the length of required heat exchanger.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design factors for GHE.

      • KCI등재

        멀티코어형 모바일 GPU의 작업 분배 및 효율성 분석

        임효정(Lim, Hyojeong),한동건(Han, Donggeon),김형신(Kim, Hyung-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7

        모바일 GPU가 발전함에 따라 멀티코어 GPU를 효과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은 스마트폰의 성능을 높이는데 있어 중요 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모바일 GPU에 관한 연구는 싱글코어 모바일 GPU에 대해 다루고 있거나, GPU 공급 자에 의한 제한적인 연구만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코어 GPU의 작업 분배 패턴과 효율성 분석을 통해 성능향상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DS-5 Streamline을 사용하여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였을 때, GPU의 코어 수의 변화에 따른 그래픽 처리 소요 시간을 측정한 실험과 GPU의 코어 수에 따른 작업 분배 패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프로파일링 결과, GPU의 코어수가 더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요구 되는 전체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경우를 발견하였다. 또한 GPU가 그래픽을 처리할 때, 약 4ms의 오버헤드가 CPU와 GPU 사이의 통신에서 발생하고, GPU 내부 드라이버의 활동으로 인한 지연이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GPU 동작의 비효율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앞으로의 모바일 멀티코어 GPU의 연구에 있어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Mobile GPU has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mart phone graphic technology. Most recent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multi-core GPU. How a multi-core mobile GPU can be utilized efficiently will be a critical issue for improving the smart phon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most current research has focused on a single-core mobile GPU; studies of multi-core mobile GPU are rare. In this paper, the job scheduling patterns and the efficiency of multi-core mobile GPU are analyzed. In the profiling result, despite the higher number of GPU cores, the total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certain graphics applications were increased. In addition, when GPU is processing for 3D games, a substantial amount of overhead is caused by communication between not only the CPU and GPU, but also within the GPU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more active research for multi-core mobile GPU should be performed to optimize the present mobile GPUs.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의 특성 분석

        노현정 ( Hyun Joung No ),임효정 ( Hyojeong Lim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9 지식재산연구 Vol.4 No.3

        서로 다른 산업이나 기술 경계간의 접점에서 혁신이 발생할 때 융합이라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같은 종류의 산업이나 기술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혁신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며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간다. 기술융합이 생명공학이나 정보기술과 같은 지식집약적 기술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나 데이터 부족 등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특허 정보를 이용하여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의 발전 현황을 관측할 수 있는 여섯 가지 특허 지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특허의 인용 및 피인용 정보를 활용하여 기술 지식의 융합 및 확산 수준, 기술의 영향력, 잠재력, 축척 정도에 관한 탐색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활발한 특허활동과 큰 잠재적 기술 규모를 보여준 미국특허분류 435(molecular biology and micro bilology), 436(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424(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 기술 분야는 기술의 확산정도를 측정한 기술확산 지수에서도 높은 값을 보여주어 다양한 기술 분야로의 파급효과 또한 높은 기술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미국특허분류 528(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600(surgery), 436(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은 선행기술의 융합수준을 계측하는 기술융합지수에서 높은 값을 보여 이들 기술이 다양한 기술 분야의 지식이 융합된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의 기술동향이나 공백기술, 원천 특허기술 파악 등을 도출하고 로드맵 기획의 근간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innovation occurs with the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technological/ industrial fields, it is called technology fusion. This phenomena influences broader areas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echnology fusion appears more frequently in knowledge-intensive fields. Despite its attractiveness, there is limited research in technology fusion due to insufficient data in this field. In this paper, we, utilizing nanobiotechnology, suggest six patent indexes that measure the degre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usion technology. By using backward and forward citation information of US patent, we obtain degree of technological diffusion and fusion, technology impact, technology potential, technology cumulativeness, and technology potential. The fields of USPC 435(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436(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and 424(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 that show the high level of patent activities and technology potential also exhibit the high value of technological diffusion index. This suggests that these technology fields have higher diffusion effects into diverse fields of technologies as well. The values of technology fusion index for 528(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600(surgery), and 436(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are high, which implies that these technology fields are developed with diverse fields of technologies. These outcomes can help us to predict the technological trend, new technology opportunities, and the source technologies of nanobiotechnology as well as serve as a basis for technology roadmap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