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서지역 고려·조선시대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임형수(Lim, Hyung-soo),박범(Park, Beom)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100

        본고는 1971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반세기 동안 호서지역과 관련된 고려 및 조선시대사 연구를 되돌아보고, 지역사 연구자의 관점에서 개선이나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대체로 호서지역에 대한 역사 연구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다수의 성과가 누적되었다. 먼저 고려시대는 나말여초 호족과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지방통치와 행정구역, 대외항쟁과 지역별 전투, 연안해로와 육상교통, 불교 관련 및 특정 가문 연구의 총 5개 주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선시대는 지방 행정, 지방 군제, 향촌 사회, 서원과 향고, 군사사, 지방 재정과 경제, 일기와 고문서의 총 7개 주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과제로는 지역사 연구의 기초 작웁으로 자료 수집 및 목록과 해제의 정비, 다양한 연구 주제의 발굴, 지역 간의 연구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광역 단위의 연구 시도, 인물사 연구의 필요성, 장기적인 후속 연구세대의 양성 등을 언급함으로써 지역사 연구 역략을 한층 더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ical studies on Goryeo and Joseon, conducted in the Hoseo region during the half century from Jan., 1971 to Aug., 2021 and proposed the parts which are thought to be improved or complemented as the challenge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researcher. Most of fully-fledged historical studies on the Hoseo region began since 1980s and multiple performances of them were accumulated by 2000s. At first,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five themes: powerful families in the period betwee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post three kingdoms were united into Goryeo, local governance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strife against foreign aggression and battles by locations, coastal routes and land transportation, and research on Buddhism and specific families. Next,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seven themes: local administration, the local military system, rural community, private schools and local schools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historical research on military, local finance and economy, and diaries and ancient documents. This study attempts to seek out an opportunity to further enhance the capacity of historical studies on regions, by referring to the collection of data and the organization of list and bibliographical notes of them, the discovery of various study themes, metropolitan-based research for resolving the imbalance of studies on different regions, the need for historical studies on figures and the regular cultivation if future research generation, as the ground work for historical studies on regions, the future challenge.

      • KCI등재

        13~14세기 高麗 官人層의 元都宿衛와 그 전개 양상

        임형수(Lim, Hyung-soo)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6

        1231년에 對蒙抗爭이 개시된 이래 몽골은 고려에 대해 복속의 증표로 여러 가지 의무 조항과 함께 토르각(turγaγ, 禿魯花)이라고 하는 質子를 줄곧 강요하였다. 그로 인해 고려는 강화협상을 벌이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왕족과 관인의 子弟를 선발하여 몽골에 볼모로 보냈으며, 전쟁이 끝나고 元의 정치적 간섭을 받는 시기에도 수십 년간 그들의 요구에 따라 부정기적인 인질 파송을 지속적으로 치러야만 했다. 고려의 토르각은 고위관료의 자제들로서 혹자는 대물림하여 충원되기도 하였는데, 원 황제의 친위조직인 케식(kešig, 怯薛)에 소속되어 宮廷에서 宿衛를 담당하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귀국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원은 고려 관인층에 대해 구속 수단을 확보하고 親元 성향을 가진 인물을 육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14세기 초반부터는 麗元關係가 심화되면서 고려 관인층 가운데 토르각을 거치지 않고 개별적인 사유로 인하여 원의 숙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先代가 원에 정착하여 출세한 것이 배경으로 작용하거나 고려 국왕과 원 관료의 추천 및 원 황실의 직접 발탁 등을 통해서 숙위에 들어갔으며, 후일 원 조정에 출사하여 대략 5~7품 범위의 중앙관직을 初任職으로 받았고 3~4품까지 승진하는 등 중급관료로서 활동한 양상이 확인된다.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고려 관인층의 원도숙위는 당시 고려와 원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줄 뿐 아니라 역대 중국 왕조와의 관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인적 교류의 一樣相이었다. Since the anti-Mongol struggle began in 1231, Mongolia continuously imposed a hostage, called Turγaγ (禿魯花) as a pledge of subjection in addition to various obligations on Goryeo. Accordingly, Goryeo inevitably selected and sent the children of the royal family and bureaucrats to Mongolia as hostages in the process of signing a peace treaty and had to dispatch them consistently as irregular hostages, according to Mongolia’s demands for decades, even under the political interference of Yuan Dynasty after the war. Turγaγ of Goryeo consisted of the children of high-ranking bureaucrats, and some of them were recruited by inheritance. They served as imperial guards in the court, belonging to Kešig (怯薛), the guard system of the Emperor of Yuan and returned after a certain period. In this way, Yuan Dynasty could secure a means to fetter Goryeo bureaucrats’ families and could expect that it would be able to foster pro-Yuan persons as a result. Since the beginning of the 14<SUP>th</SUP> centur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Yuan was developed, the number of Goryeo bureaucrats’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serving as the imperial guards for the Yuan Dynasty began to increase for individual reasons without serving as Turγaγ. They came to serve as imperial guards, thanks to their ancestors who had been settled in Yuan and rose in the world during Yuan Dynasty or the recommendation of the King of Goryeo and the bureaucrats of the Yuan Dynasty and the direct selection of the imperial families of the Yuan Dynasty. Later, they Yuan Dynasty entered the court and go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official on Grade (品) 5 through as their first appointment and got promoted up to Grade 3 through 4. It is noted that they were active as middle-level bureaucrats. Like this, Goryeo bureaucrats’ families who served as imperial guards in the Capital of Yuan Dynasty in the 13<SUP>th</SUP> century and the 14<SUP>th</SUP> century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Yuan Dynasty at the time, and it was an aspect of unique personal exchange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evious dynasties in China.

      • KCI등재
      • KCI등재
      • 축류압축기 팁 인젝션시 스톨 특성에 대한 연구

        임형수(Hyung Soo Lim),영천(Young Cheon Lim),송성진(Seung Jin Song),강신형(Shin Hyoung Kang),양수석(Soo Seok Yang) 한국유체기계학회 2009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Vol.2009 No.-

        In this research,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observed to enhance 4 stage axial compressor stability by steady air injection. By injecting air in front of 1st stage rotor tip, compressor operation range was extended about 4% based on no injection condition. The stall onset stage, signal frequency and stall cell feature were analyzed and these characters were compared with no injection condition's. Even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t was detected in steady air injection, except stall onset performance point, this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injection stages in multistage compressor.

      • KCI등재

        고려 충렬왕대 鷹坊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재검토

        임형수(Lim, Hyung-soo)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3

        동북아시아에서 매사냥은 오래전부터 지배층의 유희로 각광을 받았고 상황에 따라 국가적 행사로 거행되거나 일부분 군사 훈련의 목적을 가지기도 하였다. 특히 매사냥이 한창 성행하던 시기에는 鷹坊이란 기구를 설치하여 매를 전문적으로 사육하게 하였는데, 한국의 경우 元의 간섭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하는 高麗 忠烈王代(1274~1308)에 처음 등장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고려 응방은 원으로부터 매의 징구를 대비하였으며 충렬왕의 매사냥을 수행하면서 그로 인해 얻은 총애를 믿고 각종 폐단을 자행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근래에는 주로 충렬왕의 왕권 강화와 맞물려 측근양성, 시위부대, 재화수집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음이 강조되었다. 주지하듯이 고려 응방은 대원관계 속에서 원의 영향을 받아 파생되었으므로 그들의 제도와 일정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리라 추정된다. 여기에 착안하여 본고는 고려 응방이 원의 숙위기구인 怯薛에서 유래하였다고 파악하였으며, 구조나 기능면에 유사한 점이 있는지를 비교 검토하면서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려 응방은 충렬왕이 원 공주와의 혼인을 통해 駙馬의 지위를 얻으면서 설치될 수 있었는데 중앙은 관직자로 구성된 鷹坊官, 지방은 유민과 군현민 등으로 편성된 鷹坊戶의 상하 이중 구조로 운영되었다. 또한 매의 포획과 조련은 물론이고 원으로의 진헌 등 매와 관계된 기능을 주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국왕의 숙위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In Northeast Asia, falconry has been long highlighted as a game for ruling circles and was sometimes performed as a national event or conducted partly for military training. In particular, Falconry Office, an agency was established to professionally raise falcons, when falconry was actively boomed. In Korea, it first appear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ryeol of Goryeo Dynasty(1274-1308), when Yuan Dynasty began to earnestly intervene in the domestic affairs of it. Previous studies explained that Goryeo"s Falconry Office prepared for falcons to be collected by Yuan Dynasty and committed a variety of vices because it performed falconry King Chungryeol, so it was favored by him. Recently, it was emphasized that Falconry Office performed various functions related with King Chungryeol"s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such as cultivation of close aides, royal guard, collection of property, etc. As noted above, Goryeo"s Falconry Office was derived from effects of Yuan Dynasty in the relationship with it, so it might have a relation with Yuan"s institutions. In this regard, this paper understood that Goryeo"s Falconry Office was originated from Kešig, an Yuan"s Imperial Guard, and attempted to examine its identity, by comparatively analyzing similarities in structures and functions between them. Goryeo"s Falconry Office could be established as King Chungryeol acquired the status of a son-in-law of the king through the marriage with a princess of Yuan Dynasty. It was operated with the upper-lower dual structure: the central Falconer Officer consisting of managers and the local Falconer Household of wandering people and inhabitants in counties and provinces. In addition, it primarily performed functions regarding falcons, such as the captivity and training of them as well as bringing falcons to Yuan Dynasty, while serving as palace guard of King Chungryeol.

      • KCI등재

        조선후기 청주(淸州) 읍지(邑誌)의 현황과 구성

        임형수 ( Lim Hyung-soo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논총 Vol.55 No.-

        邑誌는 16세기 이후 지방의 관리나 사족이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을 대상으로 삼아 편찬한 地理志이다. 이는 행정기구 단위로 작성되었고 정치와 문화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지역사 연구에 자주 활용되는 편이다. 조선시대 淸州의 경우 忠淸道를 대표하는 고을인 만큼 현재 10여 종의 읍지가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그중 일부가 해제 또는 번역을 통해서 소개되었을 뿐이고 아직 전반적인 비교 검토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고는 현존 청주 읍지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지역사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우선 成冊의 하한 시기는 대부분 관련 기록이 실려 있지 않아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일부 내용을 통해서 17세기 중반 1종, 18세기 후반 1종, 19세기 중반 3종, 19세기 후반 3종, 미상 5종으로 대략 추정하였다. 다음으로는 각 읍지의 편제 항목을 서로 비교하고 그에 따른 내용상의 특이점을 몇 가지 정리하였는데, 戶口와 田結의 수치에 의거한 지역 경제력의 양상이나 수록 인물의 黨色을 바탕으로 향촌 사족의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Town chronicles were geographies compiled by the local gentry or government officials in the region, and they detailed the area they lived in. Written on the scale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contain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ncerning politics and culture, town chronicles are frequently used in the research of local history. In the case of Joseon dynasty period Cheongju, 13 different town chronicles remain because Cheongju was a town that represented Chungcheong-do although some of them have been introduced only by way of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r translation without general cross-checking carried ou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basic foundation that could be used for the research of local histor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isting Cheongju town chronicles. First of all, it’s difficult to know precisely when these chronicles were created because most of them lack records specifying the latest period as to when they could have been created. Nevertheless, some of their content allow approximate estimation suggesting 1 was created in the mid-17th century, 1 in the late 18th century, 3 in the mid-19th century, 3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5 unknown. Next, the study compared the compilation items from each town chronicle and accordingly arranged several significa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ir content. Specifically, as lacking as it was, the study estimated aspects of the regional economy based on household and tax-on-land figures as well as the tendencies of Hyangchon-sajok(country aristocrats) based on the party identities of the figures included.

      • 대몽항쟁 연구의 이정표 수립 - 「몽고(蒙古)의 침입(侵入)에 대한 항쟁(抗爭)」재조명 -

        임형수 ( Lim Hyungso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姜晋哲선생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시대 토지제도 연구에 일생을 바쳤고 여러 논저를 통해서 韓國史學史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본래 역사 연구를 처음 시작했을 때만 해도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외부적 요인에 주로 관심을 두었으며 대외관계 문제를 다룬 논문을 한 차례 발표하기도 하였다. 비록 오래지 않아 연구 대상을 토지제도로 바꾸고 한국사회를 발전시킨 내재적 요인을 구명하는 작업에 매진하였으나, 이후 대외관계사에 대한 연구 경험은 다른 계기로 인해서 다시금 빛을 보게 되었다. 1969년부터 國史編纂委員會는 기존의 한국사 연구 성과를 총망라하는 『한국사』 편찬사업을 기획하고 전문가를 선별하여 집필을 의뢰하였는데, 당시 강진철은 사회경제 분야와 함께 對蒙抗爭에 관한 부분도 담당하여 「蒙古의 侵入에 대한 抗爭」을 작성하게 되었다. 그 동안 대몽항쟁에 관한 연구는 외국학자들이 침입자인 몽골의 관점에서 서술하거나 몇몇 연구자들이 대몽항쟁의 전체 시기 가운데 일부분만을 검토하는 정도에 불과하였으며, 한편 북한학자들이 사회주의 역사관에 기초하여 반외세와 반봉건 성격의 인민 항전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자국인 고려의 입장에서 대몽항쟁의 모든 시기를 아우르는 종합적이고도 객관적인 서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강진철은 종래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13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는 물론이고 1231년부터 1273년까지 약 40여 년에 걸친 대몽항쟁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시기 구분 등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맞서 싸운 항쟁의 시각으로 서술하고 특히 항전의 주체로서 위정자인 崔氏武人政權이 아닌 피지배층인 民衆을 재조명하였다. 그의 저술은 한동안 대몽항쟁을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입문서이자 필독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에서도 거의 빠짐없이 인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설서에 실려 있는데다가 그의 토지제도에 대한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가리어져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강진철이 집필한 「蒙古의 侵入에 대한 抗爭」이 연구사적으로 어느 정도의 위치를 갖고 있으며 후속 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였다. As widely known, Kang, Jin-chul devoted his life to the study of the land system in the period of Goryeo and left a clear footpri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history study through his various articles. When he originally initiated his study of history, he had an interest primarily in the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Korean Peninsula and later published a paper on the issues of the foreign relations once. Although shortly after that, he changed the object of his study into the land system to strive to concentrate on clarifying the internal factors that have helped develop the Korean society, other occasions made his experience of studying foreign relations see the light of the day again. Beginning in 1969,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has planned a project to compile The Korean History, covering all the achievements by the existing studies of the Korean history and selected and asked some experts to write it. At the time, Kang, Jin-chul came to write "The Struggle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while in charge of the Anti-Mongol Struggle along with the social and economic field. Up to that time, studies of the Anti-Mongol Struggle had been little more than the descriptions by foreign schola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ngolian, the invaders, or had been made by a few scholars who reviewed only a tiny portion of the entire period of the Invasion. In the meantime, North Korean scholars had studied it in the way of highlighting the sentiment of anti-foreign powers and anti-feudalism, based on the socialist view of histor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and objective description covering the entire period of the Anti-Mongol Struggle from the standpoint of people of Goryeo. In this regard, reflect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Kang, Jin-chul systematically summarized not onl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13th century but also about 40 years of the process of the Anti-Mongol Struggle from 1231 to 1273 in chronological order. In addition, he made a descri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oryeo`s struggle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and in particular, re-illuminated the subjugated populace as the main players of the Struggle, not the Military Rule of the Chois, For a quite while, his writings not only have served as both a primer and a must-read for understanding the Anti-Mongol Struggle and but also have also been quoted almost thoroughly by the related studies. Nevertheless, they are listed in the general statements, and it is judged that they are relatively overshadowed by the achievements of his studies of the land system and thus do not receive proper credits.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this paper reviewed how much significance Kang, Jin-chul`s "The Struggle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has had on the history of such research and what effects it has had on the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