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백산 초오속 초오아속(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의 잡종형성

        임채은,박종욱,Lim, Chae Eun,Park, Chong-Wook 한국식물분류학회 2001 식물 분류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 초오아속 개체군들과 이들의 부모종으로 추정되는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소화경에 분포하는 털의 종류와 분포양상, 잎의 형태 및 결각 상태 등 주요 식별형질에 대한 비교형태학적 연구 및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소백산 본 아속 개체군들의 형태 변이 양상 및 기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백산에 분포하는 본 아속 식물은 소화경에 분포하는 털의 종류 및 분포양상에 따라 크게 (1) 소화경이 완전히 무모인 개체, (2) 소화경 상부에만 유두상 돌기가 있는 굽은 털이 소수 분포하는 개체, (3) 소화경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 유두상 돌기가 없는 굽은 털이 다수 분포하는 개체, (4) 소화경 상부에만 굽은 털과 함께 표면이 평활한 선형의 개출모가 소수 혼생하는 개체, 그리고 (5) 소화경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 굽은 털과 함께 표면이 평활한 선형의 개출모가 다수 혼생하는 개체 등의 5가지 형태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5가지 형태유형을 가진 개체들은 소백산 대부분의 지역개체군에서 다양한 비율을 가지면서 모두 나타난다. 상기 비교형태학적 연구 결과와 주요 식별 형질의 주성분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소백산에 분포하는 본아속 재체군의 개체들은 과거, (1) 암술 및 소화경이 무모인 A. kusnezoffii, (2) 소화경에 유두상 돌기가 있는 굽은 털을 가진 A. japonicum subsp. napiforme, 그리고 (3) 소화경에 선형의 개출모를 가지는 A. jaluense subsp. jaluense 등 최소한 세 분류군간의 다원 잡종형성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개체 사이에 반복적으로 유전자 침투(introgression)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We have examined the pedicel pubescence and other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s of 11 putative hybrid populations of Aconitum subgn. Aconitum at Mt. Sobaek to understand their origin. These populations show very complicated patterns of variation in pedicel pubescence ; they contain individuals having pedicels (1) completely glabrous, (2) with few micropapillate curved hairs near the receptacle, (3) moderately pubescent with micropapillate curved hairs from middle to upper portion, (4) sparsely pubescent with a mixture of micropapillate curved hairs and smooth-surfaced spreading glandular hairs near the receptacle, and (5) moderately pubescent with both types of hairs but from middle to upper portion. All five types of individuals co-occur in most populations with varying proportions. These results, in conjunction with evidence from the analysis of other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s, suggest that the populations at Mt. Sobaek were derived from the multiple hybridization events involving A. kusnezoffii, A. japonicum subsup. napiforme, and A. jaluense subsp. jaluense. In addition, the absence of "typical" forms of these putative parental taxa in Mt. Sobaek area suggests that repeated introgression has probably occurred in these populations.

      • KCI등재

        ERP시스템의 도입효과 및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홍정화(Hong, Jung Hwa),임채은(Lim, Chai Eun) 한국회계정보학회 2006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6 No.1

        본 연구는 ERP시스템에 대하여 이론적 검토에 이어 ERP시스템의 도입효과 및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의견교환을 통하여 현장감을 불어 넣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RP시스템의 도입효과를 검토한 결과, ① 업무의 효율화, ②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의 실현, ③ 기업경쟁력의 확대, ④ 글로벌화에 대한 대응, ⑤ 정보의 통합적 관리와 사용자의 자유로운 정보활용, ⑥ 고객만족도의 향상, ⑦ 정보시스템의 비용절감, ⑧ 기간업무의 비용절감, ⑨ 정보기반구조의 정비와 고속화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둘째,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ERP시스템에 관한 연구동향을 내용적으로 분류해 보면,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① ERP패키지 채택과 관련된 연구, ② ERP시스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③ ERP시스템 구현방법과 확산에 관한 연구, ④ ERP시스템의 도입효과 및 효과측정에 관한 연구, ⑤ 기타 ERP시스템 관련한 연구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roduction result and research trends of ERP System. Introduction of ERP system in company is consisting extensively, but it is real condition that batting average of introduction is not high.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have much introduction of comparative ERP system and the success analyzed effect of system introduction through success example that ERP venders present to do to tall company. The recent research trend has showed as follows: It is research that analyzes typical effect of ERP system introduction through measurements on financial statement of company on the basis of relevant research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is statistical difference in side of financial ratios analysis as profitability, activeness and safety, etc.

      • 외모 콤플렉스 개선을 위한 셀프매니지먼트 `봄` 브랜드 개발 - 메이크업, 이미지 트레이닝,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

        김다영 ( Kim Da-young ),엄연정 ( Eom Yeon-joung ),우예림 ( Woo Ye-lim ),임채은 ( Lim Chae-eun ),조아란 ( Cho A-ran ),이진민 ( Rhie Jin-min ),장미정 ( Jang Mi-jeong ),신은별 ( Shin Eun-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우리 인(人)적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셀프 매니지먼트로 뷰티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서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의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4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人의 `인물`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봄`(Bom)`은 기존의 수많은 뷰티 콘텐츠의 과포화로 인한 정보 선택의 혼란과 실제 적용의 어려움을 겪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봄 브랜드는 디자인과 마케팅측면을 융합하여 로고 및 사인물의 그래픽 디자인에서부터 제품디자인 및 공간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人(인)을 활용한 문화 공간 디자인에서 `봄`은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looks at the convergence of brand and design marketing, in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that solves our society`s social issues by utilizing Beauty contents with self-management in order to solve our society`s social issues and also aims to examine the series of processes used to establish the integrated brand of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Identity . The study subject is the resultant organized work completed through the course “Brand Space Marketing"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nvironmental Design Division by one of the four teams during the 15 weeks of March through Jun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subject of `person` within the four proposed categories (物, 事, 人, 場). As a result, as `Spring (Bom)` was regarded from the aspect of both design and marketing, the study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30s who face confusion and thus difficulty in deciding due to the supersaturation of numerous beauty contents. From that design and marketing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consistency, objectivity, and narrative of the logo and signboard graphic design and product and space design of the`Spring(Bom)` brand. Fin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and design aspects of `Spring(Bom)` in regards to the topic of `people` in cultural space desig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of the consequential creation of a manual of the more systemized, integrated brand of G.I, P.I, and S.I.Furthermore, this study shows promise in henceforth becoming a foundational resource in future development of such integrated brands.

      • KCI등재

        M&A를 통한 KOSDAQ 우회상장 현황 및 벤처캐피탈의 우회상장 사례연구

        김정희(Kim, Jung Hee),김창은(Kim, Chang-Eun),조상위(Cho, Sang Wui),임채은(Lim, Chai Eun) 글로벌경영학회 200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3 No.2

        최근 코스닥 시장은 주식스왑, 영업양수도, 합병과 같은 M&A 방법으로 우회상장을 시도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우회상장이 벤처캐피탈들이 투자금의 회수를 앞당기려 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우회상장이 증가하는 원인으로 벤처캐피탈들이 투자한 벤처기업들이 코스닥 시장의 등록규정에 미달되어 상장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장기간에 거친 등록 심사기간으로 인해 투자금 회수에 시간이 걸리게 됨으로 M&A를 통한 우회상장을 많이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벤처기업의 입장에서도 우회상장을 안정적인 기업공개를 통하여 기업의 자본력 확대와 투자자금의 빠른 회수가 가능한 방법으로 이용하려 하고 있다. 이에 우회상장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을 시도하는 기업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업연관성이 전혀 없는 장외 우량기업들이 코스닥 등록기업을 대상으로 M&A를 통한 우회상장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우회상장을 통한 주가상승은 대주주들에게만 투자금 회수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주지만 뒤따른 투자자들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경제적인 원칙이 아닌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투자 자세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이다. 빈껍데기만 남는 쉘컴퍼니 현상이 나타나게 됨으로 코스닥 증권본부는 이에 각종 규제 규정으로 우회상장을 규제하려 하고있다. 이와 같은 시장의 경제원리에 맞는 우회상장은 기업과 투자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측면을 가져다 줄것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입장에서 우회상장을 바라보게 되면 규정과 절차에 묶여 우수한 장외 우량기업들이 코스닥 시장에 등록이 늦어짐으로 인해 기업성장과 자본운영의 어려움이 나타나게 될 수 도 있다.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are attempting back door listing on KOSDAQ through M&A such as stock swapping, business takeover and merger. This is because ventures financed by venture capitals frequently try back door listing through M&A as they can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being listed on the KOSDAQ market or have to wait for a long time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ation for listing until the venture capitals recover their investments. In addition, ventures want to use back door listing as a way of expanding its capital and recovering investments promptly through safe initial public offering. However, recently it is raised as a problem that unlisted successful companies try back door listing through merging KOSDAG companies that are not relevant at all in terms of business. It is because, although the rise of stock prices through back door listing is positive to major share holders in recovering investments, many of investors who buy the stocks suffer a loss. This problem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investors invest not according to economic principles but according to their feeling. As a consequence, there happens shell companies without any substantial value, and the Stock Division of KOSDAQ is moving to regulate back door listing by applying various regulatory rules. Back door listing complying with economic market principles will bring positive results to both the enterprises and the investors. However, if back door listing is viewed from a negative standpoint, many unlisted successful companies may be hindered from being listed on the KOSDAQ market by regulations and procedures, which may, in turn, cause difficulties in the growth and capital operation of the businesses.

      • KCI등재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해란초아재비

        김중현(Jung-Hyun Kim),남명자(Myoung Ja Nam),임채은(Chae Eun Lim),김진석(Jin-Seok Kim)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4 No.1

        An alien plant of unrecoreded Kickxia (Plantaginaceae) was found in Korea. K. eltine (L.) Dumort. was distirbuted in Yangju-si, Gyoenggi-do and Yeongcheon-si, Gyeongsangbuk-do. This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related genera by having stems that trail along the groud without putting down roots, and the leaves are sagittate, or shaped like arrowheads with longer, narrower, pointed lobes opposite the shorter tip. The new Korean names is given, as ‘Hae-ran-cho-a-jae-bi’ to Kickxia elatine (L.) Dumort. Here, we provide precise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taxonomic key to related genera and species.

      • 玉局齋 李運永의 가사문학 연구 : 유희적 성격을 중심으로

        임채은 문창어문학회 2015 문창어문논집 Vol.52 No.-

        There are two subjects to b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One is the playfulness of six of Lee Woon-yeong’s gasa works in different styles, and the other is the meaning of his gasas in the history of gasa literature. Chapter II reviewed the background of Okgukjae’s gasa creation from the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Section II-1 examined the background of his gasa creation from a biographical viewpoint through Lee Woon-yeong’s life and his peer relations. Section II-2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gasas created by 18th- century literati, and discussed the pattern of literary creation among 18th- century literati. Chapter III analyzed cases of gasa creation based on the forms of Yiseon music, dance songs, and lullabies from the aspect of intensifying the playfulness of Okgukjae’s gasas through borrowing other genres. From the results was found that Lee created gasas by adopting songs performed in feasts such as Yiseon music or common people’s genres such as dance songs and lullabies as a means to intensify playfulness. Chapter IV examined Okgukjae’s gasa works created through making up a fictional speaker, presenting a humorous conversation, or setting a judicial situation in the aspect of intensifying playfulness through theatrical situations. From the results was found that Lee intensified the playfulness of gasas by creating them with setting a theatrical situation as a device for stimulating the readers’ interest and amusing them. Chapter V, which is the conclusion, mentioned that Lee Woon-yeong, influenced by his father and brothers, pursued a life of freedom, associating with relatives and enjoying the scenery of landscapes, poetry, and go play rather than committing himself to politics or study. Gasa was a genre suitable for Lee Woon-yeong to express such a life attitude and interest in his surroundings and to lead a tasteful life. Thus, Lee Woon-yeong, although from a rich noble family in Seoul, created highly playful gasa works unlike most of other rich noble men in Seoul who seldom created gasas. Future studies may need to make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nature of Okgukjae’s gasas and their position in the history of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