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로서의 소태산 대종사

        임전옥(林全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소태산을 상담자라는 관점으로 바라보고, 상담자로서의 소태산에 대해 탐색하였다. 소태산의 상담목표는 내담자들의 당면 문제 해결과 인격 양성이었으며, 이를 위해 교사이자 촉진자, 안내자, 치료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내담자들과 신뢰가 돈독한 상담관계를 형성하였다. 소태산은 중생교화의 방편으로 상담을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소태산이 중생들의 업의 문제를 다루어주는 과정에서 활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바로 상담의 원리와 기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점차 삼대력을 기르고 인격이 향상되도록 안내하는 과정에서도 상담이 활용되었다. 상담의 특징으로는, 소태산은 모습과 인품으로 감화를 주었고, 내담자의 근기와 상황에 따라 이에 적합한 상담을 하였으며, 상담의 바탕에 큰 자비심이 있었고, 생활 속에서 직접 실행하고 모범을 보였으며, 내담자들을 차별과 장벽이 없는 마음으로 대하였고, 현실문제의 해결을 넘어 진리적인 성장과 완성을 지향하였다. 또한 지시적 상담 방법과 다수 또는 대중 가운데서의 상담을 활용하였다. 주요 상담방법으로는 공감, 질문(문답)으로 이해와 변화를 촉진, 직면과 지시적 상담 방법의 활용, 해석을 통한 새로운 안목의 제시, 정보제공, 칭찬과 격려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Sotaesan as a counselor because holy men have been well known as great counselors. Sotaesan utilized counseling as an expedient to enlighten mankind. That is, various methods that Sotaesan utilized to help mankind be relieved from suffering and improve their character included counsel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modern counseling psychology. In this study, situations that Sotaesan interacted with disciples were considered as counseling sessions. His counseling goals were to solve problems facing clients and to improve clients’ character. To reach these goals, he acted as a teacher, a facilitator, a guide, and a therapist. Also, he had good counseling relationships by trust with clients. As a counselor, he showed several distinctions of counseling and used several main methods during sess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임전옥 ( Jeon Ock Im ),장성숙 ( Sung Sook Ch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1

        본 연구는 자기수용의 다양한 정의들을 탐색하고 연구동향을 파악하며,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다양한 자기수용의 정의들을 탐색하고 몇 가지 특징들을 분류함으로써 자기수용의 정의를 새롭게 통합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자기수용을 평가하기 위해 그동안 개발된 척도들을 개관하였는데, 현재의 척도들은 타당도의 문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자기수용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한 결과, 자기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부모의 자기수용 정도와 양육태도, 자기이해, 그리고 마음챙김이 있으며, 자기를 수용하게 되면 타인을 수용하게 되고 행복이나 삶의 만족도 등 안녕감이 높은 반면, 자기를 수용하는 능력의 부재는 분노와 우울을 포함한 정신건강 문제와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수용과 상담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자기수용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담자의 자기수용 역시 상담자로서의 자세 및 상담자발달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새로운 자기수용 척도의 개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관계에 대한 현대적 조명, 그리고 자기수용과 정신건강 또는 안녕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변인 탐색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various definitions of self-acceptance, to perceive trends in research on self-acceptance, and to giv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First, a new and integrative definition of self-acceptance was produced after investigating various definitions of self-acceptance. The scales that have been used to assess self-acceptance were also reviewed. The review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self-acceptance was affected by parents` self-acceptance, parenting style, self-understanding, and mindfulness. Many research studies showed that self-accept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others. A self-accepting person reported greater well-being; on the contrary, the lack of self-acceptance wa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with emotions including anger and depression. Selfacceptance also had the implications for both counselors and clien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원불교적 관점에서의 수용(acceptance): 의미와 역할

        임전옥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59 No.-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적 관점에서의 수용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수용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자기수용과 심리적 수용의 측면을 통해 크게 두 가지로 이해할 수 있는데, 하나는 자신의 다양한 측면들뿐만 아니라 자신이 처한 현실적이고 환경적인 측면까지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이며, 둘은 내적인 사건들을 회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자각하면서 기꺼이 그리고 온전히 경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원불교적 관점에서의 수용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불교적 관점에는 진리적인 차원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대적 수용과 절대적 수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대적 수용은 진리의 인과적 측면에 바탕해서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차별적이고 현상적인 사건들을 지은 바에 대한 결과로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며, 절대적 수용은 일체 분별이 없는 진리의 본성으로부터 갖가지 분별과 차별현상들이 일어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지켜보고 경험하는 것이다. 원불교 마음공부 사례를 중심으로 수용의 역할을 탐색한 결과, 수용은 안정, 통찰, 정의와 은혜를 가져오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은 마음공부의 다양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마음공부가 지속됨에 따라 수용이 거듭되면서 내적 성장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원불교 내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수용에 대해 탐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심리학에서의 학문적 성과를 참고하여 원불교 내에서도 수용에 초점을 맞춘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마음공부의 보다 세밀한 과정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시도하는 일이 될 것이며, 수용이라는 일반적인 주제를 가지고 원불교인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보다 구체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인격 단련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트레스,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임전옥,장성숙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04 학생생활상담 Vol.22 No.-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에 대한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중재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그리고 이 두 변의 상호작용을 모두 생활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스트레스와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상호작용 양상을 좀더 정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두 변인을 각각 상하위 두 집단씩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낮은 스트레스보다는 높은 스트레스 상태일 때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중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중재적인 역할을 한다는 본 연구의 가정은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상담에서의 함의와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clarity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sample of the study was 560 college students and I have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ANOVA as means of analysi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stress as well as their interaction had significant impact upon life satisfaction. To further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emotional clarity in regards to life satisfaction, I have divided each variable into two groups and applied ANOV A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up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levels of stress are high.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emotional clarity has a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has been proven valid. Finally, I have also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ts potential implications in counseling.

      • KCI등재

        정서인식의 명확성,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임전옥,장성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regulation styl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ample of the study was 560 college students and I have analyzed the data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EQS). The basic mediation model of emotinal clarity lead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emotion regultion style showed significant path coefficient and good model fitness. To compare with this model, I have examined another model that included a direct path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the path coefficient of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has also slightly decreased.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initial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better explained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variables. alternative model has been examined but this model showed low model fitness and thus theoretically strengthen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mediation model. Finally, I hav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potential implications in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에 대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EQS)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서조절양식의 매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기본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경로계수와 좋은 부합도를 보임으로써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기본 매개모형과의 비교를 위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 사이의 직접 경로를 포함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직접 경로의 경로계수가 유의미하지 않고 모형의 부합도 역시 미세하게 감소하여 본 연구에서 가정한 매개모형이 변인들의 관계를 더 잘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기본 매개모형에 대한 대안모형이 함께 검증되었으나 낮은 부합도를 보임으로써 기본 매개모형의 적합성을 이론적으로 지지해주는 결과를 얻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상담에서의 함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

        임전옥,장성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3

        The purpor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ounselors influences counseling relationships and counseling outcomes. One hypothesized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were specified to explain the direction from the counselor's emotional intelligence to counseling outcomes rated by counselors and clients in which the counselor's rapport formation skills and working alliance rated by both participants were assumed to be mediators. The second alternative model was selected for further considerations. The final model showed that the counselor's rapport formation skills and working alliance rated by both participant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unsel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unseling outcomes rated by both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counselor's emotional intelligence exhibited a direct effect on counseling outcomes rated by counselors.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is final model could be applied to all counselor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담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 중 상담자의 정서지능에 주목하고,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인은 상담자의 정서지능, 상담자의 관계기술, 상담자와 내담자가 보고한 작업동맹, 상담자와 내담자가 보고한 상담성과였다. 상담자의 관계기술은 공감과 역전이 행동, 상담성과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각각 보고한 상담회기평가, 전반적인 상담성과, 상담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두 개의 대안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 연구모형과 대안모형1, 2를 비교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분석 과정에서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의 나이, 성별, 사회적 바람직성, 성격 5요인은 통제하였다. 모형비교 결과, 대안모형2가 최종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최종모형에 의하면, 상담자의 정서지능은 상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상담자의 관계기술과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하는 작업동맹을 매개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 결과, 최종모형은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집단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영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임전옥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lif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self-report survey data of 630 college students(372 males, 258 females) from a local university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d that both self-acceptance and life stres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dual-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followed by life stress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spirituality contributed to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self-acceptance and, in turn, decreasing life stress.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hypothetical path model using multi-group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is relationship structure was present both in male and in female student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영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30명(남: 372명, 여: 258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성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생활 스트레스 각각의 단순매개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으며, 자기수용이 생활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영성은 자기수용을 높이거나 생활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자기수용과 생활 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거쳐 삶의 만족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집단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가정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변인들 간의 이러한 관계 구조가 남녀 대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에서 영성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임전옥 한국종교교육학회 2018 宗敎敎育學硏究 Vol.57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영성과 자기수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3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영성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마음챙김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마음챙김이 영성과 자기수용을 순차적으로 거쳐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밝혀진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가 남녀 대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 내담자의 정서지능이 작업동맹을 매개로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임전옥 ( Jeonok L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정서지능이 작업동맹을 매개로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상담자와 내담자 간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404쌍의 상담자와 내담자를 통해 수집되었다. 모형분석 과정에서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나이, 성별은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지능과 상담성과의 관계모형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자기효과와 상담자 정서지능의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정서지능과 작업동맹의 관계모형 역시 상담자와 내담자의 자기효과와 상담자 정서지능의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모형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작업동맹이 정서지능과 상담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를 통해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및 정서지능과 작업동맹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 정서지능이 작업동맹을 매개로 상담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작업동맹은 내담자의 상담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있었으며, 따라서 내담자가 상담자보다 상대방으로부터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서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unselor’s and cli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ing alliance on counseling outcomes, and investigate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ing alliance on counseling outcomes. The self-report survey data of 404 pairs of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for both counselors and clients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 actor effects on counseling outcom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ounselors had positive partner effect on counseling outcomes of client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 actor effects on working alliance for both counselors and cli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ounselors had positive partner effect on working alliance of clients. Third,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working alliance on counseling outcomes were significant. Forth, when a mediation model was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unseling outcomes was partially mediated by working alliance for both counselors and clients.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ing alliance of counselors had partner effects on counseling outcomes of clients. Finall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